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19:36:41

지킬 박사와 하이드/미디어 믹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지킬 박사와 하이드

1. 뮤지컬2. 드라마 《지킬3. 게임4. 노래5. 기타6. 모티브를 딴 캐릭터

1. 뮤지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킬 앤 하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드라마 《지킬

영국 BBC에서 2007년에 방영한 6부작 드라마로, 한국에는 2011년 9월 19일부터 채널CGV에서 방영했다.

스티븐 모팻이 원작의 시퀄격으로 제작했는데, 어찌보면 고전 작품을 현대적으로 재창작한다는 점에서 모팻의 히트작 셜록 제작의 발판이 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인지도와 평가 모두 모팻의 드라마치고는 꽤나 낮은 편이다.

세계관의 특이사항으로는 헨리 지킬이 실존 인물이라는 점으로, 주인공의 이름은 톰 잭맨[1]이나 에드워드 하이드로 변한다고 한다. 더 이상한 것은 실존한다는 19세기의 헨리 지킬이 주인공과 너무나도 닮았는데 이를 제대로 묘사하지 않는다는 점, 지킬 박사와 하이드 소설 자체는 작가가 지어낸 이야기이나 작가는 진실[2]을 안다는 점, 그리고 하이드 인격의 클론들을 모으고 실험해 이를 보관하는 단체가 있다는 굉장히 어이없는 설정이라는 점이다. 결정적으로 하이드가 자살하는 게 아닌 다른 인물에게로 분리된 뒤 총에 맞아 죽고 주인공은 살아남는다. 이렇듯 원작과 비교해 너무 많은 설정을 바꾸고 이상한 무리수까지 두는 등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다. 이외의 비판점으로는 연출이 셜록과 비교하면 처참한 수준이다. 주인공이 자신에게 시비 건 상대를 창문 밖으로 던져 유리가 깨지는 장면이 있는데 폭력을 쓰는 장면 자체가 없다.[3] 마지막회는 클리프행어[4]로 끝나나 흥행에 실패해 시즌 2가 무산되어 맥거핀으로 전락했다.

3.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킬 박사와 하이드(게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노래

5. 기타

영화, 만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여러 번 각색되었는데, 원작 캐릭터들의 모티브를 딴 작품들에는 왜소하고 소심한 지킬에 헐크 수준의 근육질 덩치인 하이드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 원작도 그렇다고 오해하는 사람이 있다. 그러나 원작의 지킬은 풍채 좋고 사교성 좋은 중년이고 하이드는 젊고 사악한 난쟁이다. 원작에서도 하이드의 악한 마음이 강해지자 점점 큰 체구의 남성으로 변모해가기는 한다.

6. 모티브를 딴 캐릭터



[1] 연기한 배우는 제임스 네스빗이다.[2] 약물 따위는 애초에 없으며 헨리 지킬이 하이드로 변한 이유는 지킬이 자신의 메이드를 흠모했기 때문이라고 한다.[3] 폭력 쓰는 장면은 없는데 시비 건 상대와의 대화가 거의 끝나갈 무렵 "쨍그랑"하고 유리가 깨지는 소리가 난 뒤 화면 전환이 되었을 때는 이미 그 상대가 맞고 나가떨어진 걸로 나온다. 이외에도 주인공이 와인을 아주 빨리 마실 수 있는 점을 묘사하는 장면은 아무리 봐도 효과음만 그럴듯한 빨리감기로 보이는 등 연출에 문제가 많다.[4] 톰 잭맨이 하이드의 모습일 때 본인의 엄마라고 말한 여자를 사건이 끝난 후 반년이 지나 만나는데 그 여자가 주인공이 하이드로 변한 것처럼 클론 관리인들 중 한 명으로 변하여 뻐드렁니를 드러내자 이에 경약하는 주인공의 표정과 함께 마무리된다.[5] 2008년에 폐업했다.[6] 원작처럼 여자아이를 밟고 간 하이드에게 따져 보상받으러 하이드가 사는 집으로 갈 때 인필드와 여러 사람들이 으스스하게 여기는 뒷골목을 묘사했다. 극중에서도 런던에 이런 곳이 있었냐며 모두 소름끼쳐 한다.[7] 어터슨이나 하이드도 인형탈을 쓰고 나왔다.[8] 성우 박일이 직접 연기했다.[9] 톰이 처음에 만들었을 때는 약이 워낙 독해 타버린 숟가락의 남은 부분까지 전부 들어갔는데 제리가 만들 때는 그 부분이 들어가지 않아 그런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사실 제리가 만들 때는 조심히 넣은 톰과 다르게 워낙 다급한 상황이라 재료들이 들어가는 양도 마지막 화약과 독약을 한방울 넣을 때만 동일하고 마구잡이로 넣은 느낌이 있다. 파리가 마시자 죽어버린걸 보면 먹은 이들에 따라 다른 효과를 가졌을 수도 있다.[10] 이전 본명은 잭(Zach)인데, 검볼의 또 다른 자아의 이름이다. 잭 때문에 검볼의 자아가 사라질 뻔했는데, 이름을 검볼로 개명하자 사라졌다.[11] 평범한 아이스크림 가게 사장이나 자신의 커피를 마시면 자신을 포함해 커피를 마신 이들이 모두 괴물로 변한다.[12] 나스 키노코가 이런 소재를 좋아하는지 꽤 많이 찿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