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23:45:28

중리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화민국 타오위안시에 있는 역에 대한 내용은 중리역(타오위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중화민국 이란현에 있는 역에 대한 내용은 중리역(이란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폐역 중리 - [ruby(산인, ruby=~2012)] - 함안
중리역
부전·동대구 방면
마 산
← 6.6 ㎞
목포 방면
함 안
8.9 ㎞ →
역명 표기
경전선 중리
Jung-ri
中里 / [ruby(中里, ruby=チュンニ)]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함마대로 2803-3
(중리 420-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KN 여객사업처)
(마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경전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남선 1923년 12월 1일
~1931년 3월 31일[1]
경전남부선 1931년 4월 1일
~ 1968년 2월 6일[2]
경전선 1923년 12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철도거리표
경전선
중 리
파일:중리역.jpg
현 역사 (1998년 준공)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함마대로 2803-3 (중리) 소재.
경전선 이설 사업에도 본래 모습과 자리 지켜
중리역은 1923년 12월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옛 역사는 48.8㎡ 규모의 목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였으며 1998년 말 현재의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작은 대리석 외벽의 현대식 역사로 중리공단이 가까이 자리하고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다.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에 소재하고 있으며 2012년 인근 다른 경전선의 역들이 경전선 이설 사업으로 옮겨지거나 폐역이 되는 중에도 본래의 모습과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그러나 기찻길의 방향과 모습은 많이 바뀌었는데, 지금은 이용되지 않는 광려천 중리천교[3]를 통해 선로변화와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1923년 12월 1일 경남선의 마산-군북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77년 5월 16일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1998년에 현 역사가 준공되었다.

과거 1980년대만 해도 건널목만 건너면 바로 승강장으로 연결되어서 함안, 진주 지역 어르신들은 마산역보다 중리역을 더 애용하는 경우가 있었고 구 11번[4] 버스를 타고 마산 시내(창동)로 바로 앉아서 들어갈 수 있었다.

장거리 이동 시에는 훨씬 좋은 마산역이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어서 빛을 못 보는 역이다.[5]

2001년 7월 1일에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2007년 10월 11일 화물 취급도 중지되었다.

2.1. 승강장

파일:중리역 마산방면 20230723.jpg
마산 방향 승강장
파일:중리역 함안방면 20230723.jpg
함안 방향 승강장
마산
2 | | | | 1
함안
1 경전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진주·순천·목포 방면
2 마산·동대구·부전 방면

승강장은 2면 4선. 중간은 화물열차, ITX-새마을(구.새마을호)KTX 통과선이다.

2012년 10월 23일에 경전선 마산 ~ 진주 복선개통을 대비하여 승강장을 리모델링하고 선로 배선을 바꾸었다. 중리역의 역사는 불과 1998년에 완공된 준 신역사이지만, 그걸 부수기에는 곤란한 편이다.

사실 경전선 마산-진주 구간의 복선전철화 당시 시점인 마산역을 빼면 제자리를 지킨 유일한 역이다. 함안, 군북, 반성, 진주는 이설됐고 나머지들은 전부 폐역처리가 되었다. 다만 만약 부전-마산 광역철도가 중리역까지 연장된다면 신설될 가능성이 있다.

3. 역 주변 정보

중리역 바로 옆에 중부내륙고속도로 기점인 내서JC가 있다.

인근에 내서택지지구가 조성되어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
2004년 107명
2005년 148명
2006년 139명
2007년 164명
2008년 159명
2009년 128명
2010년 134명
2011년 146명
2012년 150명
2013년 232명
2014년 269명
2015년 235명
2016년 192명
2017년 184명
2018년 178명
2019년 181명
2020년 128명
2021년 132명
2022년 170명
2023년 173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여담

중리역에서 열차 접근시 박형욱 성우의 수도권 전철역 멜로디 타입의 방송이 나오며, 중리역에서 열차가 통과할 때와, 깨알같이 상행(삼랑진 방면)과 하행(광주송정 방면)의 멜로디 음은 수도권 전철의 안내 체계와 일치하다.

마산 전투 당시 미 육군 제25사단 전차중대의 헐 다운 방어선 사진이 중리역 옆 광려천에서 찍은 것으로,[6] 당시 중리역은 최전선이 아니라 후방 보급기지인 마산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해당했다.[7]

6. 둘러보기

경전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중지
}}}}}}}}}

파일:창원시 CI.svg 창원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word-break:keep-all"
철도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마산역 · 창원역 · 창원중앙역
경전선 마산역 · 창원역 · 창원중앙역 · 중리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0.svg남해선 (북창원IC32, 창원JC33, 동창원IC34) · 파일:Expressway_kor_102.svg남해1지선 (내서IC2, 서마산IC3, 동마산IC4, 창원JC5) · 파일:Expressway_kor_105.svg남해3지선 (신항IC?, 진해IC1) · 파일:Expressway_kor_45.svg중부내륙선 (내서IC1)
국도 2 · 5 · 14 · 25 · 58 · 77 · 79
지방도 30 · 60 · 67 · 1002 · 1020 · 1021 · 1029 · 1030
의창구의 로 · 성산구의 로 · 마산합포구의 로 · 마산회원구의 로 · 진해구의 로
버스 시내버스 창원시 시내버스 · 창원 S-BRT
버스 터미널 고속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마산고속버스터미널
시외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 · 진해시외버스터미널
시외 · 고속버스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경상남도의 교통 }}}}}}}}}



[1] 구마산역 ~ 진주역 구간 운영[2] 삼랑진역 ~ 진주역 구간 운영[3] 현재 교량은 완전히 철거되었으며, 기존선의 선로 역시 2015년 기준 완전히 사라져 노반만이 남아있는 상태이다.[4] 현재의 251번. 다만 마산시내 선형은 다소 변경되었다.[5] 다만 완행 단거리 이동 시에는 편수만 보장되면 경쟁력이 있어 보이기 때문에 부전-마산 복선전철 연장을 주장하는 철도 동호인도 있다.[6] 과거에는 감천 쪽으로 들어가는 철도 인입선이 있었다고 한다.[7] 실제 전투는 원북역~구 함안역사이의 방어산~삼봉산 능선에서 일진일퇴의 공방을 거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