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남문산역 (폐역) | ||
역명 표기 | ||
경전선 | 남문산 Nammunsan 南文山 / [ruby(南文山, ruby=ナンムンサン)] | |
주소 | ||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동부로 556-5 (삼곡리) | ||
관리역 등급 | ||
폐역 | ||
개업일 | ||
경남선 | 1925년 6월 15일 ~1931년 3월 31일[1] | |
경전남부선 | 1931년 4월 1일 ~1968년 2월 6일[2] | |
경전선 | 1968년 2월 7일~ 2012년 10월 23일[3] | |
철도거리표 | ||
삼랑진 방면 ← 6.1 ㎞ | 구 경전선 (폐역) | 송정리 방면 5.2 ㎞ → |
1대 역사 (1925년 준공, 2002년 철거) | 2대 역사 (2002년 준공)[4] |
[clearfix]
1. 개요
경전선의 폐지된 철도역.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동부로 556-5 (삼곡리) 소재.2. 역 정보
1925년 6월 15일에 경남선 군북역 - 진주역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미 경기도 파주군 임진면(현 파주시 문산읍)에 문산역이 영업중이었으므로, 역명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남문산역으로 이름이 정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국유철도의 관행대로 조선에서도 이렇게 역명을 바꿔 붙이는 경우가 많았다. 예컨대 일본 타카하시역의 경우 사가현에 있는데, 오카야마현에도 타카하시 시(市)가 있지만 이 경우 사가현에 명명 순서가 밀려서 오카야마현의 옛 지명인 '빗츄'를 붙여 빗츄타카하시역이 되었다. 남문산도 비슷한 케이스로, 먼저 개업했던 파주 문산에 우선순위가 밀려 진주 문산은 '남문산'이 된 것이다.
여담으로 현대 한국의 경우는 1970년대에는 석계역(석관동+월계동)처럼 아예 새로운 역명을 붙이다가, 21세기에 들어와서는 천안아산역, 경성대·부경대역처럼 역명을 병렬표기해버리거나 소요산역과 동두천중앙역처럼 '~중앙'이란 이름으로 때우는 경우가 많다.
철도가 놓인 덕분에 남문산역이 놓인 문산 지역으로 주변의 물자가 모여들었고 자연스레 면의 규모가 커졌다. 그리하여 해방 후에는 진양군의 다른 면들보다 큰 규모의 마을로 성장하였다.
물론 경남 서부의 중심지였던 진주시가 바로 옆에 있던 탓에 일정 규모 이상으로 성장하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진양군 안에서는 인구가 가장 많은 면이었기에 1995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읍으로 승격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1984년 10월 12일에 시멘트 사일로가 준공되었고, 1991년 1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2002년 7월 25일에 신 역사가 준공되었고, 2003년 12월 30일부로 통표폐색 쳬계가 폐지되었다.
2006년 11월 15일부로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400호에 의거하여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2010년 12월 1일에는 차내취급역으로 지정되었고, 12월 6일에는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2012년 10월 23일부로 경전선의 마산-진주 간 복선전철화 구간이 개통되면서 최종적으로 폐지되었고, 10여년 간 방치되었다가 2023년 1월에 리모델링을 시작하여 같은 해 3월에 짹짹커피라는 이름의 카페로 영업을 시작하였다.[5]
폐지 직전에는 하루에 10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했다. 이 역이 있는 문산읍은 진주시에서 유일하게 읍으로 승격된 곳일 정도로[6] 역세권이 발달해서 무궁화호가 모두 정차를 했었다[7].
하지만 이곳 문산읍으로는 남해고속도로 문산IC를 비롯하여 2번 국도가 지나가는 등 도로교통이 워낙 발달한데다, 경전선이 단선 상태로 인해 경전선을 지나가는 여객열차의 배차간격이 매우 길어서, 정작 여객수요는 많지 않았다.
역명은 남문산역이지만 문산읍에 있다보니 마을 사람들은 이 역을 문산역으로 부르기도 한다.
3. 둘러보기
경전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낙동강† - - - - - - 용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평화† - - - 원창† - 구룡† - - - - - - 광곡† - - - - - - - - - - 남평† - - - - - - - - - | }}}}}}}}} |
[1] 구마산역 ~ 진주역 구간 운영[2] 삼랑진역 ~ 진주역 구간 운영[3] 마산역 ~ 진주역 복선전철화 이설에 따른 공식 폐역처리[4] 2012년부터 한동안 방치되어 있었으나 2023년부터 카페로 운영중이다.[5] 역 뒤에는 60년대 역명판을 재현해 놓았는데, 다음 역이 반성역으로 되어있는 고증오류가 있다. 실제로는 갈촌역이어야 한다.[6] 다만 인구 자체는 공군사령부가 있는 금산면이 가장 많으며, 금산면이 인구가 많은 이유는 '공군교육사령부와 군인 인구에 따른 특수효과'이며, 90년대 후반부터 입주인구 3만 5천여명에 이르는 대규모 주거지구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IMF 구제금융 시기를 거치며 대경건설 등이 이 택지지구의 아파트 사업을 포기하며 현재와 같은 2만명 초반대의 인구가 사는 마을이 되었다. 금산면지 및 90년대 후반의 신문자료를 참고했을 때 '일반적인 도시 발전 과정을 거친 곳이 아니다.'라는 것은 다소 틀린 감이 없잖아 있다.[7] 그러나 이는 경전선 무궁화호가 사실상 각역정차 통일호의 성격을 계승한 열차만 남았기 때문에 그랬던 것으로 과거 무궁화호 통일호가 공존하던 시절 이곳은 통일호만 정차하던 곳이었다. 실제로도 용산~진주(순천)무궁화호(일명 순환열차)는 통과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