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2:34:00

중국 신부 이야기


파일:9l3VcnO.jpg

1. 개요2. 상세3. 등장인물

1. 개요

[ruby(中国嫁日記, ruby=ちゅうごくよめにっき)]

홈페이지

일본의 일러스트레이터·TRPG 디자이너·만화가이노우에 준이치(井上純一)[1]가 자신의 블로그에 연재 중인 웹툰 형태의 만화.

2. 상세

이노우에 자신과 중국인 부인 위에(月)[2]의 일상을 주 소재로 삼고 있다. 2011년 중반 단행본 1권이 간행되어 "중국신부 붐"이라고 불릴 만큼의 인기를 누리며 한달만에 20만부를 돌파하고 제4쇄가 간행되었다. 일본에서는 시리즈 누계 80부를 넘기고 2017년 6월 현재 단행본 6권 + 번외편 '위에와 일본어'[3], '지금 당장 중국인과 친구가 되고 연인이 되고 중국에서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책'[4]이 발매 중이며, 한국에서는 서울문화사에서 2014년 8월 19일에 1권, 2015년 6월 30일에 2권[5], 같은 해 11월 27일에 3권, 2017년 6월 20일에 4권이 발간되었다. 번역가는 하지혜. 일본 현지에서는 7권까지 발매되었다.

원래는 부인 몰래 올리던 페이지였으나 부인이 다니는 일본어 학교 동급생들이 재미있다고 돌려보다가 본인에게 알려줘서 들통났다고 한다. 부인의 허락을 받은 후에는 본격적으로 연재 형태가 되었고 점점 인기가 늘어나서 현재는 각 에피소드의 평균 코멘트가 200건이 넘는 엄청난 인기만화가 되었다. '아내가 너무 재미있는 캐릭터라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어서' 그렸다고는 하는데, 실은 일반 만화로 잡지 연재를 노렸으나 콘티가 계속 퇴짜를 맞자 4컷 웹툰으로 올리기 시작한 것이 아이러니하게도 어지간한 잡지 만화를 아득히 뛰어넘는 인기와 판매부수로 이어진 것이다.

90년대부터 활약한 엄청난 오타쿠이다 보니 쟁쟁한 친구들이 많고, 이 친구들이 모여서 동인지를 두 권이나 냈다. '위에는 실제 인물이 아니라 2차원 캐릭터이며 중국신부일기의 내용은 전부 이노우에의 상상으로 만들어 낸 이야기'라고.(...) 이 동인지에 참여한 사람들 중에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사도 디자인에 참여한 것으로 유명한 아사리 요시토아리마 케이타로 같은 중견 만화가도 있다. 달달한 내용의 신작염장이 올라오면 코멘트 란은 남캐들의 열폭으로 금방 메워진다.

'개인 블로그에 주기적으로 올리는 일상물'이라는 성격상 그때그때 신변상의 사건이나 시사문제, 작가의 환경변화 등이 실시간으로 다뤄진다. 마감에 쫓겨 바쁘거나 중국을 오가느라 인터넷 사용이 힘든 시기에는 연재 페이스가 늘어지거나 휴대폰을 이용해 흑백으로 작품을 올리고 나중에 단행본 발매시 수정하는 식이다. 도호쿠 대지진을 직접 겪은 충격과 이를 이겨내는 과정을 생생하게 그려내어 감동을 주기도 했다. 다만 연재가 5년을 넘어가면서 초기의 주 소재였던 '중국과 일본의 문화적 차이'는 슬슬 소재가 고갈되어 단순히 작가의 일상을 다룬 에피소드가 많아지는 한편, 부인 위에는 어느덧 유명 캐릭터가 되고 작품 자체도 '작가의 대표작이자 밥줄사업'이 되어버려, 분위기가 변했다는 평도 나온다. 특히 2015년 이후로는 작가 부부의 불임으로 인한 고민, 오랜 지인에게 뒤통수를 맞은 사업상의 실패, 그로 인한 금전문제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작가의 모습 등이 그려지면서 더이상 맘편히 웃으면서 읽기도 힘든 작품이 되어버린 셈이다.[6] 그러던 중 다행스러운 소식으로 2016년 6월에 트위터를 통해서 위에의 임신 소식이 전해졌으며, 11월 9일 고대하던 출산 소식이 올라왔다.

2023년 이후로는 업데이트가 뜸하며, 가장 최근 갱신이 2024년 7월로 거의 연간(...) 연재로 근황을 알리는 수준이다. 작가인 이노우에가 교토청화대 특임교수로 부임해서 바빠진 것이 원인인 듯하다.

3. 등장인물


[1] 예전에는 井上純弌라는 필명을 썼지만 중국신부일기 히트를 계기로 미디어에 노출되는 일이 많아지자 본명인 井上純一로 표기를 변경했다. 弌이 잘 쓰이지 않는 글자다 보니 弐로 오기하는 경우가 많아서라고 한다.[2] 유에라고 표기되었으나 정발판에서는 위에로 번역되었다.[3] 月とにほんご. 아내를 수업료 비싼 일본어학원에 보내 주면서 "대신 그 이야기를 만화로 팔아서 등록금을 뽑겠다" 는 일념으로 그린 책이라고...[4] 今すぐ中国人と友達になり、恋人になり、中国で人生を変える本. 만화가 아니라 일반 교양서적. 작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인과의 사교법을 위에와의 대화 형식으로 소개한다.[5] 정발판은 2020년 10월 기준으로 이 2권만 유일하게 절판되었다. 왜 하필 2권만 절판인지는 불명.[6] 픽션이었다면 이런 고난과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이 흥미진진함과 카타르시스를 더해 주었겠지만 논픽션인 이 작품에서 주인공들이 겪고 있는 불운은 작가 부부에게 실제로 닥친 현실문제이며, 게다가 아직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 현재진행형이다. 게다가 아래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그 지인이라는 사람이 만화에도 등장했던지라 충격은 더 크다.[7] 인세가 1억엔 이상 들어왔을 시점인데 통장 잔고는 40만엔에 몇 년간의 미납 세금(!)이 1300만엔... 여러분, 사업을 해본 적 없는 오타쿠가 돈을 굴리는게 이렇게 무섭습니다.[8] 결론적으로 블로그가 화제가 되고 출판 후 베스트셀러가 되어 인세까지 두둑하게 들어왔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통장에 돈은 한 푼도 없고 자기 앞으로 된 빚이 한국 돈으로 1억 5천.(...)[9] 중국 남부의 전통 식재료로, 두부황주, 식초, 소금, 참기름 등의 혼합액에 장기간 담가 발효시킨 것. 취두부처럼 처음 접하는 이들은 거의 악취로 여길 정도로 강렬한 향을 갖고 있다. 냄비요리나 볶음, 조림 등의 조미료로 사용하고, 붉은색 누룩곰팡이인 홍국을 첨가해 만드는 홍푸루는 이나 등의 반찬으로 곁들여 먹는다.[10] 두부를 아와모리, 홍국 등을 배합한 혼합액에 장기간 담가 발효시킨 것. 류큐 왕국 시절 명나라를 통해 들어온 홍푸루가 현지화된 것으로, 제조법과 강렬한 향이 비슷하지만 홍국 때문에 색깔이 불그스름하고 더우푸루보다는 좀 더 단맛과 술냄새가 강한 편이다.[11] 2010년 연재 시작 당시 26세였으니 현재는 아마도 30대... 아니 27세라고 한다[12] 작중에서도 늘 위에보다 미인으로 그려진다. 간 큰 남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