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22:44:52

죄종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반적인 의미의 죄종에 대한 내용은 칠죄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도시(Project Moon 세계관)
, Limbus Company
,
,
,
,

파일:logo_Limbus.png
Limbus Company 관련 문서
<colbgcolor=#EAEAEA,#1c1d1f> 콘텐츠
설정
기타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죄종.jpg
<colbgcolor=#000><colcolor=#ffe5b8> 죄종
Peccatula / Peccatulum
大罪
다른 이름 부산물
종착한 것

1. 개요2. 탄생 과정3. 뒤틀림과의 비교4. 식별 코드5. 죄악 속성 및 의미6. 작중 묘사7. 종류
7.1. 1형7.2. 2형7.3. 3형
8. 인게임 정보9. 기타

1. 개요

Limbus Company에서 등장하는 생명체.

2. 탄생 과정

파일:죄종-고치.png
고치
두 번째 백야 이후 곳곳에서 일부 사람들이 고치에 들어간 후 변한 것이다.

고치에 들어간 단계라면 죄종을 넘어 뒤틀림 혹은 E.G.O를 각성하는 것이 가능해 보이지만,[1] 아직 고치에 있는 상태에서 사람을 억지로 끄집어내면 죄종이 되는 듯하다. 이렇게 죄종이 된 이들은 돌아올 방법이 없다고 하며 죄종이 되는 순간 자신을 유지하는 객체성을 잃어버려 사실상 사망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한다.

3. 뒤틀림과의 비교

사람들이 변이한 생명체라는 점에서 뒤틀림과 유사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뒤틀림조차 되지 못하고 죄에 먹힌 인간의 말로"라고 한다. 뒤틀림을 유발하는 목소리의 주인은 죄종에 대해 알을 깨고 나오지 못하고 죄에 잡아먹힌 찌꺼기로, 죄의 모습을 대변한다고 설명했다.

뒤틀림이 되지 못한 것이지만 동시에 뒤틀림의 원형이기도 하다.

뒤틀림보다도 짐승에 가까운 개체들로, 두 대조군을 비교했을 때 죄종 쪽이 극단적인 공격성과 적대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고 한다.

Limbus Company의 등장인물, 크로머동랑뒤틀림을 발현했을 때, 각각 색욕 죄종과 탐식 죄종과 유사한 형태로 뒤틀렸는데, 이들의 행적이 관련 죄악과 연관성이 있다.
한편, 상술한 '고치'가 일종의 뒤틀림 안전장치라는 추측이 있었지만 정작 4장에서 동랑이 고치에 들어갔다는 묘사도 없이 뒤틀리면서 아니게 되었다.

4. 식별 코드

S-08-NN-NN
변경 전 식별 코드 양식
림버스 컴퍼니는 5.5장까지는 뒤틀림과 마찬가지로 환상체의 식별 코드 형식을 돌려 쓰고 있었으나, 5.5장 이후로는 환상체나 뒤틀림은 고유성[2]을 갖고 있으나 죄종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존 환상체와는 분리해서 코드를 부여하게 되었다.

5. 죄악 속성 및 의미

5.5장 육참골단에서 밝혀진 바로는 사람마다 담아온 죄에 따라 죄종의 질이 달라지며, 그렇기에 죄종의 형태가 다양할 수 있다고 한다.

7.5장 LCB 정기검진에서 각 죄악의 의미가 대략적으로 공개되었다.[3]
<rowcolor=#ffe5b8> 죄악 상징 관련 키워드 의미
분노(憤怒) 파일:림버스분노UI.png
붉은 불
파일:림버스컴퍼니_화상.png
화상
모든 것을 태울 때까지 멈추지 않는 불 같은 화
색욕(淫慾) 파일:림버스색욕UI.png
주황색 DNA
파일:림버스컴퍼니_출혈.png
출혈
타인이 자신의 감정이나 지식을 알아주기를 원하여 의사나 육체 등을 퍼뜨리는 감정
나태(怠惰) 파일:림버스나태UI.png
노란 바위
파일:림버스컴퍼니_진동.png
진동
누가 불러주기 전까지 그저 그 자리에 가만 있는 관성 같은 감정
탐식(貪慾) 파일:림버스탐식UI.png
초록 잎사귀
파일:림버스컴퍼니_파열.png
파열
먹으면 먹을수록 뿌리를 넓히는 식물처럼 먹어도 채워지지 않는 식탐
우울(憂鬱) 파일:림버스우울UI.png
하늘색 물
파일:림버스컴퍼니_침잠.png
침잠
가라앉을수록 나오기 어려워지는 물처럼 계속 빠지는 감정
오만(驕慢) 파일:림버스오만UI.png
파란 검
파일:림버스컴퍼니_호흡.png
호흡
자신의 살이 깎이든 굴러가는 자리의 잔디가 짓밟혀도 신경 쓰지 않고 자연에 없는 완전한 원을 추구하는 과도한 자신감
질투(嫉妬) 파일:림버스질투UI.png
보라 가시덩굴
파일:림버스컴퍼니_충전.png
충전[4]
타인으로 하여금 찌릿한 전기와도 같은 느낌을 받게 하는 부러움

6. 작중 묘사

6.1. Leviathan

베르길리우스가 후원하는 보육원의 아이들이 약지에 납치당해 유리창 실험에 이용되고 대부분은 무수한 평행세계를 관측하다가 정신이 붕괴해 유리처럼 산산조각 나서 죽었다고 한다. 하지만 두 번째 백야 이후 고치로 들어간 사람들이 많아졌다고 한다. 가넷은 이것이 약지의 실험에 의한 결과로 생각했지만, 약지 역시 실험체들이 고치로 변하는 이유를 알지 못했다.

고치에 들어간 아이들은 마에스트로 점순이에 의해 억지로 고치에서 나와 죄종으로 변해버리고, 친구들을 구하려 온 가넷은 유리창에 의한 부작용과 친구들이 괴물로 변하는 모습을 보고 정신이 붕괴해 고치에 들어간다.

베르길리우스는 죄종들이 입은 옷가지와 장신구를 통해 보육원의 아이들이라는 것을 눈치채고 혹시나 몰라 팔다리만 잘라 제압만 하나, 목소리에게 돌이킬 방법이 없다는 말만 듣는다. 이후 죄종들은 점순이의 몸에서 튀어나온 환상체 샤덴프로이데에 의해 전부 죽는다.

6.2. Limbus Company

대다수의 스토리에서 꾸준히 적으로 등장한다. 시즌 3까지는 능력치만 좀 조정할 뿐 계속 1형들만 등장했으나, 5.5장 육참골단에서 분노&우울 죄종의 2형이 처음으로 등장했다.

질투 죄종은 거울굴절철도 4호선에서 처음 등장했다.

3장까지는 L사 지부 내 던전에서만 잡몹으로 등장하며 타 스테이지에서는 코빼기도 비치지 않는다.[5] 그러나 3.5장에서는 봉이 아빠의 자아심도가 열리면서 내부에서 죄종들이 등장했고, 4장에서는 황금가지의 폭주를 통해, 5.5장에서는 모노리스를 통해 L사 지부 바깥에서 열린 자아심도를 통해 죄종들이 모습을 드러냈다.[6] 다만, 죄종으로 변할 사람들이 존재할 리가 없는 자아심도에서 죄종들이 등장하는 이유는 불명이다.

죄종에게 사망하면 죄종들 특유의 사망 모션이 나타난다.

스토리의 최종 보스들 중에서 죄종의 형태를 한 뒤틀림들[7]이 있는데, 이들은 신곡에서 2층의 음욕(색욕)과 3층의 식탐(탐식)의 순서를 따른다.

7. 종류

7.5장 LCB 정기검진 이전까지는 2형 이상의 죄종들의 명칭 뒤에 ?를 붙이고 ?의 개수로 단계를 구분했었다.[8]

7.1. 1형

각 죄종들의 초기 모습. 작중에선 꽤 약한 존재로 ZAYIN 등급으로 나온다.
파일:분노죄종.png}}}||
불타버린 나뭇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설정상 공격할 때 붉고 뜨거운 액체를 주입한다고 하며, 이 액체가 주입되면 분노를 유발한다. 연출과는 다르게 의외로 1형은 불을 다루지 못한다고 한다.
파일:색욕죄종.png}}}||
생식기는 물론 손이나 다리 등의 인간으로 보이는 생물의 살더미가 합쳐진 괴이한 형태를 하고 있다. 얼굴을 갈라 그 안에서 손들을 뻗어 공격한다.
파일:나태죄종.png}}}||
근육이 삐져나온 둥글고 노란 암석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공격 시에는 몸 속에 숨겨놨던 손을 꺼내 공격한다. 관찰일지에 따르면 어떤 원리인지 모르겠으나 평소엔 공중에 떠있고 가끔씩 냅다 날아온다고 한다.
파일:우울죄종.png}}}||
물이 고여있는 투명한 몸체에 붉은 장기가 들어있는 푸른 물벼룩의 모습을 하고 있다. 공격 시에는 물을 뿜어 공격한다. 안에 있는 물과 장기는 생명 활동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파일:오만죄종.png}}}||
살더미가 엮인 바퀴 모습을 하고 있으며, 공격 방식 또한 바퀴를 굴려 갈아버리는 것이다. 오만 죄종이 이러한 형태인 이유는 이것이 인간의 첫 발명인 바퀴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이를 창조를 처음으로 모방한 행위로 정의했기 때문이라고 도감에서 추측한다.
파일:질투죄종시체.png}}}||
상대의 모습으로 변한 상태로 등장하기 때문에 온전한 모습이 어떤지는 알 수 없다. 변신 상태에선 주변에 짙은 보라색 안개가 일렁이고 말을 못 하긴[10] 하지만 베낀 대상의 스킬과 E.G.O를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 정신력이 음수가 되었을 때 E.G.O 침식이 발생하는 것도 동일하다. 묶인 왕 도감 설명에 의하면 다른 죄종들과 달리 질투 죄종은 자아가 없는 듯하다.

7.2. 2형

죄종들이 성장한 모습. TETH 등급이며 5.5장 육참골단에서 처음 출현했다. 이전의 죄종들보다 더 위협적이 되었으며 대응하는 키워드 및 죄악과 관련된 효과들이 다수 생겨났다.

이들에 대해 파우스트는 황금가지를 회수함에 따라 죄종의 성장이 촉진된다는 의문스러운 답을 남겼다.[11]

"2형"이라는 공식 명칭이 확정되기 전에는 단테의 노트에서 "2단계 죄종"으로 표기되었다.
파일:분노죄종2.png}}}||
분노 죄종 1형에 비해 압도적으로 굵직해졌으며 이에 맞추듯 화상, 분노 관련 효과도 다수 생겨났다. 이때부터 불을 다룰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파일:색욕죄종2.png}}}||
색욕 죄종 1형에 비해 더 두툼해졌고 특이하게 몸을 세우고 다닌다. 입 안에 있던 두 갈레의 손은 근육과 신경이 엉켜 하나가 된 채 거대해졌다.
파일:나태죄종2.png}}}||
나태 죄종 1형에서 아래 부분이 생기고 사방위로 돌 부속품이 생겼다. 관찰일지에 따르면 부속품 부위로 휘둘러 공격하나 공격보다는 부속품과 연결된 붉은 혈관이 움직이는 대로 매가리 없이 휘청이는 것에 가깝다고 한다.
파일:탐식죄종2.png}}}||
유닛당 서너 마리의 군체처럼 보이던 것이 확실하게 한 개체가 되어 있고, 꽃 부분은 뭐라도 잡아먹었는지 핏빛으로 물들었다. 한편 '손'에 해당하는 양쪽 꽃은 주둥이가 아니라 도넛처럼 관통된 구멍으로 되어 있어 뒤편이 보인다. 관찰일지에선 주둥이로 수감자를 잡아먹어도 토하고 다시 먹기를 반복했다 한다.
파일:우울죄종2.png}}}||
우울 죄종 1형에 비해 장기가 더 성장하고 많아졌으며 물벼룩 형태에서 말 모양으로 성장했다. 정황상 켈피를 모티브로 한 듯. 이에 맞춰 침잠, 우울 관련 효과도 다수 생겨났다.
파일:오만죄종2.png}}}||
오만 죄종 1형에서 팔이 생겼다. 독특하게 다른 죄종들과 달리 외형적인 변화가 적은 편이다. 관찰일지에선 팔과 손은 인간의 최초이자 최고의 도구이며 인류의 발전에 한없이 기여한 필수요소이기에, 오만 죄종의 두 번째 단계는 자유로운 팔과 손을 가진 것이라 언급한다.
파일:질투죄종2시체.png}}}||
질투 죄종 1형의 변신한 모습에 추가로 보라색 전기가 튀고 있다. 관찰일지에선 수감자를 죽여도 어떠한 반응도 보이지 않고 그냥 멀뚱히 서 있었다고 한다.

7.3. 3형

림버스 컴퍼니 6장에서 새롭게 등장했다.

나름 쉽게 상대할 수 있던 이전 단계와 달리 일반 전투 네임드 보스에서 집중 전투 중간 보스 사이 수준의 강함을 가졌다. 2단계처럼 TETH 등급이지만 부여하는 키워드 스택과 기본 코인 위력이 대폭 늘어났고, 모든 물리 내성이 내성으로 바뀌었다. 또한 기존 죄종들과는 다르게 덩치가 어지간한 대형 환상체에 맞먹을 정도로 거대하다.
파일:분노죄종3.png}}}||
6장에서 스포일러가 수감자들의 추격을 막기 위해 와일드헌트들과 같이 소환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앞다리와 뒷다리 각각 2발로 똑바로 서 있으며, 다른 분노 죄종과는 다르게 뿔과 비슷한 큰 팔이 있다. 기존의 부리로 찌르는 공격 대신 거대한 팔로 내리찍거나 땅을 찍어 바닥에서 불꽃을 치솟게 한다. 관찰일지에 따르면 입에서 불꽃도 뿜는다는 듯하다.
파일:나태죄종3.png}}}||
7.5장 LCB 정기검진에서 첫 등장. 아예 거대한 산의 모습을 하고 있어 복족류처럼 기어다니지만, 속도는 오히려 1형이나 2형보다 훨씬 빨라졌다. 강화된 만큼 특수한 진동을 일으키며, 방어할 시 신체가 더욱 단단해진다. 수비 스킬 상쇄를 적절히 사용해 방어 스킬을 쓰지 못하게 막아야 한다.
파일:우울죄종3.png}}}||
7.5장 LCB 정기검진에서 첫 등장. 몸집이 커지고 촉수도 늘어나는 걸로 모자라 물로 된 베일까지 뒤집어 쓴다. 강화된 만큼 정신력을 강하게 깎으며 침잠쇄도를 일으킨다. 우울 1형이 물을 주입했던 것과 반대로 상대의 물을 빨아들이며, 특이하게 들고 다니는 물구술이 있다. 물로 된 베일이 마치 날개와도 비슷하고 배 부분이 나비나 나방과 비슷한 걸로 보아 그쪽 곤충들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8. 인게임 정보

9. 기타



[1] 고치 상태에 있던 가넷은 이성을 아직 유지하고 있다는 듯이 묘사된다.[2] 동시에 같은 존재가 한 곳에 있지 않다는 것. 죄종은 7가지 죄의 모습을 대변하는 특성상 동일한 형상과 성질을 가진 여러 개체들이 있었으나, 뒤틀림과 환상체는 하나하나의 외형이 다르다.[3] 각 죄종들이 대표하는 죄악의 의미에 대한 유저들의 추측 또한 있었다. 분노 색욕 나태 탐식 우울 오만 질투 일부 내용은 일치하지만, 공식 정보는 아니라는 것에 주의하자.[4] 수감자의 인격을 모방한다는 질투 죄종의 특징 때문인지 충전 인격을 모방한 게 아니라면 별도로 충전을 쓰지는 않는다. 질투 죄종 2형부터는 몸에 전류를 내뿜어서 연관성은 확실히 보이는 편.[5] 2장 던전에서 J사 카지노 지하에서 등장하나 카지노 바로 아래가 L사 J-03 지부임을 고려하면 사실상 L사 지부에서 등장한 것과 다를 바 없으며, 엄연히 던전에서 등장한 것이기에 일반 스테이지에서는 단 한 번도 적으로 등장하지 않았다.[6] 그럼에도 3.5장과 4장에서는 여전히 던전 내부에서 등장하였으나 5.5장에서부터는 일반 스테이지에서도 모습을 드러낸다.[7] 3장 - 온전한 인간을 꿈꾸는 크로머, 4장 - 모든 것을 부정하는 동랑.[8] 예를 들자면, 분노 죄종 2형은 "분노 죄종?"으로 분노 죄종 3형은 "분노 죄종??"으로 표기되었었다.[9] 죄종으로써의 모습은 사망할 시에만 드러난다.[10] 때문에 E.G.O 사용 시 대사는 모두 ■로 출력되며, 사운드는 울음소리로 대체된다.[11] 1장에서 파우스트가 말하길 황금가지를 회수하면 회수할수록 클리포트 억지력이 감소한다고 한다. 이 점을 생각해봤을 때 죄종 또한 환상체나 시련처럼 클리포트 억제력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12] '실체의 유무'에 따른 차이점 또한 존재한다. 죄종은 말 그대로 인간이 죄에 잡아먹힌 그 모습을 대변하고, 리바이어던에서는 샤덴프로이데가 등장하기 전에 이미 주변에 실체를 가진 죄종이 있었듯 환상체와 관련 없이 실체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시련은 환상체 추출에 실패하여 코기토가 과거, 현재, 미래의 존재를 포함한 인류의 심연, 무의식, 모든 가능성을 끌어올린 결과물이며 환상체와 공명하여 떠돌아다니다가 때가 되면 형상을 가지고 나타나는 부산물로, 환상체와 공명하기 전에는 실체를 가지지 않는다. 별개로 시련은 클리포트 억제력으로 환상체처럼 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나 죄종도 억제력에 반응하는지는 불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27
, 8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