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UnadvisedMatureComfortablePrint, 합의사항1=r34의 디자인으로 고정 [세부 디자인은 자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국무위원회 직할 부서 | |||
국가보위성 | 국방성 | 사회안전성 | 국가체육지도위원회 | |
내각 부서 | ||||
위원회 | ||||
국가계획위원회 | 농업위원회 | |||
평양건설위원회 | 국가가격위원회 | 국가검열위원회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
국가비상재해위원회 | 국가품질감독위원회 | |||
성 | ||||
건설건재공업성 | 경공업성 | 교육성 | 국가건설감독성 | |
국토환경보호성 | 금속공업성 | 기계공업성 | 대외경제성 | |
도시경영성 | 로동성 | 륙해운성 | 림업성 | |
문화성 | 보건성 | 상업성 | 석탄공업성 | |
선박공업성 | 수산성 | 외무성 | 원자력공업성 | |
자원개발성 | 재정성 | 전력공업성 | 정보산업성 | |
지방공업성 | 채취공업성 | 철도성 | 체육성 | |
화학공업성 | ||||
기타 부서 | ||||
인민봉사총국 | 국가설계총국 |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 중앙은행 | |
중앙통계국 | 기상수문국 | 내각사무국 | 내각정치국 | |
국가과학원 | ||||
}}}}}}}}} |
북한의 내각기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c0021,#222222><tablebgcolor=#bc0021,#222222> | 교육성 敎育省 Ministry of Education |
<colbgcolor=#bc0021,#222222><colcolor=white> 설립 | 1948년 9월 |
연혁 | |
교육상 | 김승두 |
상위 조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
고유 색상 | #248F47 #000078 |
주소 | (평양시 중구역 경림동) |
[clearfix]
1. 개요
북한의 내각 중앙행정기관으로, 교육정책 집행과 교육행정의 총괄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3]교육성 산하 '보통교육국'[4]에서 유치원, 소학교, 초급중학교, 고급중학교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기타 부국[5]에서 고등전문학교, 단과대학, 대학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교육성의 장인 교육상은 부총리급이다.
각급 학교에 대한 지도는 '도(직할시) 인민위원회 교육처', '시(구역) 및 군 인민위원회 교육처'가 맡으며, 당적 지도는 '도(직할시)당위원회 및 시(구역)·군당위원회 교육부'에서 맡는다. 각급 학교에도 당위원회가 존재한다.
남한말 등을 순화하는 국가국어사정위원회의 존재가 2024년 7월 알려졌다. # 그런데 순화한 단어가 오히려 더 남한 같은 사례도 존재하여 일관적이지 못한 언어 순화를 하기도 한다. 리일규 등의 의견에 의하면 한류가 너무 깊게 침투한 나머지 전문가조차 북한 고유의 말을 구분하지 못하는 사례가 있다고 하며, 추가로 북한에서 2020년대 '몇일'을 '며칠'로 고친 사례에서보듯 한국식 규범이 어학적으로 더 정확하거나 정교한 사례가 있어 어쩔 수 없이 한국과 비슷해지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려명'이라는 사이트를 운영한다.
2. 연혁
- 1948년 : 9월 9일, 내각의 수립과 동시에 교육성 출범
- 1957년 : 교육성 산하 조선교육견학단 구성 (해외 교육정책 견학관리)
- 1957년 : 9월 20일, 교육성을 폐지하고 문화선전성의 문화기능 일부와 함께 '교육문화성' 혹은 '문교성'으로 통합
- 1967년 : 12월 28일, 보통교육성과 중등교육성을 통합하여 '교육성'으로 재개편
- 2010년 : 교육성을 폐지하고 교육위원회로 승격 및 재개편
- 2023년 : 교육위원회를 교육성으로 격하 개편, 고등교육성 폐지
2.1. 역대 상
성명 | 임기 | 비고 |
교육상 (1948 ~ 1957) | ||
백남운 | 1948년 ~ 1956년 | |
김창만 | 1956년 ~ 1957년 | |
교육문화상 (1957 ~ 1967) | ||
한설야 | 1957년 ~ 1958년 | |
리일경 | 1958년 ~ 1960년 | |
교육상 (1967 ~ 2010) | ||
김석기 | 1967년 ~ 1972년 | |
김일대 | 1977년 ~ 미상 | |
최태복 | 1982년 ~ 미상 | |
변영립 | 1986년 | |
최기룡 | 1990년 ~ 미상 | |
김용진 | 2003년 ~ 미상 | |
교육위원회 위원장 (2010 ~ 2023) | ||
김용진 | 2010년 ~ 2012년 | |
김승두 | 2012년 ~ 현재 | |
교육상 (2023 ~ 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