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사전투표일 : 2018년 6월 8일(금) ~ 2018년 6월 9일(토) 오전 6시 ~ 오후 6시 투표일 : 2018년 6월 13일(수) 오전 6시 ~ 오후 6시 | |||||
광역자치단체장 (후보군 · 경선) | 광역의회의원 (선거구) | 교육감 (후보군) | ||||
기초자치단체장 (후보군 · 경선) | 기초의회의원 (선거구) |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 ||||
공약 | 여론조사 | 이야깃거리 | ||||
진행 | 지역별 · 정당별 · 출마 선언 | |||||
결과 | 지역별 · 정당별 · 당선인 통계 | |||||
민선 7기 지방자치단체장 목록 | }}}}}}}}}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거제 | 김해 | 밀양 | 사천 | 양산 |
변광용 | 허성곤 | 박일호 | 홍민희 | 김일권 | |
진주 | 창원 | 통영 | 거창 | 고성 | |
조규일 | 허성무 | 강석주 | 구인모 | 백두현 | |
남해 | 산청 | 의령 | 창녕 | 하동 | |
장충남 | 이재근 | 오태완 | 한정우 | 윤상기 | |
함안 | 함양 | 합천 | |||
조근제 | 서춘수 | 이선기 | |||
* 사천시장 송도근 시장직 상실 (2021.11.11.) * 합천군수 문준희 군수직 상실 (2022.3.17.) |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8기 | }}}}}}}}}}}}}}} |
1. 종합 결과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 ||
자유한국당 | 더불어민주당 | 무소속 |
10석 | 7석 | 1석 |
1.1. 창원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창원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창원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허성무(許成武) | 266,233 | 1위 |
| 48.02% | 당선 | |
2 | 조진래(趙辰來) | 166,398 | 2위 |
[[자유한국당| | 30.01% | 낙선 | |
3 | 정규헌(鄭圭憲) | 14,966 | 4위 |
[[바른미래당| | 2.69% | 낙선 | |
6 | 석영철(石永喆) | 9,613 | 6위 |
[[민중당(2017년)| | 1.73% | 낙선 | |
7 | 안상수(安商守) | 84,984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33% | 낙선 | |
8 | 이기우(李基雨) | 12,133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1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866,134 | 투표율 65.08% |
투표 수 | 563,729 | ||
무효표 수 | 9,402 |
1.2. 진주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진주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진주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갈상돈(葛詳旽) | 85,040 | 2위 |
| 45.70% | 낙선 | |
2 | 조규일(曺圭逸) | 97,021 | 1위 |
[[자유한국당| | 52.14% | 당선 | |
6 | 김동우(金東友) | 3,994 | 3위 |
[[대한애국당|]] | 2.1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82,049 | 투표율 67.66% |
투표 수 | 190,838 | ||
무효표 수 | 4,783 |
참고로 이번에도 19대 대선과 흡사하게 진행되었다. 즉 여기서 민주당이 선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19대 대선과 마찬가지로 충무공동의 하드캐리(더블스코어 차이로 이겼다.)와 아파트 단지가 많은 동 지역의 선전이다. 21대 총선에서도 충무공동만 유일하게 민주당의 손을 들어줬을 정도.
1.3. 통영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통영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통영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석주(姜錫株) | 28,156 | 1위 |
| 39.49% | 당선 | |
2 | 강석우(姜錫佑) | 27,228 | 2위 |
[[자유한국당| | 38.19% | 낙선 | |
6 | 박순옥(朴順玉) | 904 | 5위 |
[[대한애국당|]] | 1.26% | 낙선 | |
7 | 서맹종(徐盟綜) | 549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77% | 낙선 | |
8 | 진의장(陳義丈) | 12,311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7.26% | 낙선 | |
9 | 박청정(朴淸正) | 2,144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0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0,317 | 투표율 66.01% |
투표 수 | 72,818 | ||
무효표 수 | 1,524 |
1.4. 고성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성군수(경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성군수(경남)#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백두현(白斗鉉) | 18,518 | 1위 |
| 56.30% | 당선 | |
2 | 김홍식(金弘植) | 14,373 | 2위 |
[[자유한국당| | 43.6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6,588 | 투표율 73.13% |
투표 수 | 34,070 | ||
무효표 수 | 1,179 |
1.5. 사천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천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차상돈(車尙暾) | 28,301 | 2위 |
| 44.46% | 낙선 | |
2 | 송도근(宋道根) | 31,634 | 1위 |
[[자유한국당| | 49.70% | 당선 | |
6 | 이종범(李鐘範) | 3,711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8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4,449 | 투표율 69.33% |
투표 수 | 65,483 | ||
무효표 수 | 1,837 |
참고로 여기는 대선 때도 국정농단이란 초유의 사태에도 불구하고 14.22%이라는 비교적 큰 차이로 보수 정당이 승리를 거둔 보수 우세 지역이었다. 하지만 차상돈 후보는 여기서 44.46%를 득표해 불과 5.24% 차이로 낙선했다.
참고로 벌용동과 사천읍에서의 승리는 어느 정도 타당하다고 쳐도, 사남면에서의 민주당 차상돈 후보의 승리가 눈에 띄는데, 왜냐하면 여기가 사천시에서 차상돈 후보가 유일하게 승리한 면이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된 데는 여기서 진행되고 있는 우주플렌트사업으로 인하여 외지인이 꽤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1.6. 김해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해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해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허성곤(許成坤) | 155,361 | 1위 |
| 62.65% | 당선 | |
2 | 정장수(鄭章守) | 70,239 | 2위 |
[[자유한국당| | 28.32% | 낙선 | |
3 | 허점도(許点道) | 9,171 | 3위 |
[[바른미래당| | 3.69% | 낙선 | |
6 | 최성근(崔成根) | 4,701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89% | 낙선 | |
7 | 송재욱(宋在旭) | 4,361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75% | 낙선 | |
8 | 김동순(金東順) | 4,140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6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20,296 | 투표율 59.97% |
투표 수 | 252,034 | ||
무효표 수 | 4,061 |
1.7. 밀양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밀양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밀양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조성환(曺盛煥) | 21,611 | 2위 |
| 35.83% | 낙선 | |
2 | 박일호(朴一浩) | 38,698 | 1위 |
[[자유한국당| | 64.16%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93,081 | 투표율 66.74% |
투표 수 | 62,114 | ||
무효표 수 | 1,805 |
1.8. 거제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거제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거제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변광용(邊光龍) | 62,949 | 1위 |
| 52.47% | 당선 | |
2 | 서일준(徐一俊) | 54,764 | 2위 |
[[자유한국당| | 45.64% | 낙선 | |
6 | 박재행(朴在行) | 2,253 | 3위 |
[[대한애국당|]] | 1.8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4,485 | 투표율 63.03% |
투표 수 | 122,592 | ||
무효표 수 | 2,626 |
1.9. 의령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령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령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충규(金忠圭) | 3,999 | 3위 |
| 20.91% | 낙선 | |
2 | 이선두(李善斗) | 9,154 | 1위 |
[[자유한국당| | 47.88% | 당선 | |
6 | 한우상(韓佑相) | 5,964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1.1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4,972 | 투표율 79.72% |
투표 수 | 19,908 | ||
무효표 수 | 791 |
1.10. 함안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함안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함안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용철(金容喆) | 16,482 | 2위 |
| 42.11% | 낙선 | |
2 | 조근제(趙根濟) | 20,001 | 1위 |
[[자유한국당| | 51.10% | 당선 | |
6 | 배한극(裵漢克) | 2,652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6.7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6,780 | 투표율 71.24% |
투표 수 | 40,450 | ||
무효표 수 | 1,315 |
참고로 진주시에서 충무공동이 한 일을 여기선 칠원읍이 했다. 바로 여기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4,935표를 얻어서 3,968표를 얻는데 그친 조근제 후보를 눌렀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를 제외하고 칠서면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불과 12표 차이로 앞서고,관외투표에서 600여표 앞섰지만, 가야읍과 나머지 농촌지역에서 10~30% 차이로 뒤집어버리는 바람에, 9.01% 차이로 밀렸다.
1.11. 창녕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창녕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창녕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배종열(配綜悅) | 15,816 | 2위 |
| 41.44% | 낙선 | |
2 | 한정우(韓珵宇) | 19,860 | 1위 |
[[자유한국당| | 52.03% | 당선 | |
6 | 하강돈(河强敦) | 1,136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97% | 낙선 | |
7 | 김종규(金鍾奎) | 1,353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5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5,922 | 투표율 70.46% |
투표 수 | 39,405 | ||
무효표 수 | 1,240 |
1.12. 양산시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산시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양산시장#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일권(金一權) | 92,238 | 1위 |
| 56.26% | 당선 | |
2 | 나동연(羅東淵) | 71,688 | 2위 |
[[자유한국당| | 43.7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75,507 | 투표율 60.80% |
투표 수 | 167,518 | ||
무효표 수 | 3,592 |
1.13. 하동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동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하동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홍곤(李烘坤) | 15,552 | 2위 |
| 48.10% | 낙선 | |
2 | 윤상기(尹相基) | 16,776 | 1위 |
[[자유한국당| | 51.8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42,568 | 투표율 79.34% |
투표 수 | 33,773 | ||
무효표 수 | 1,445 |
참고로 여기선 악양면, 하동읍, 관외투표 vs 나머지 지역의 구도로 갔는데, 특히 악양면에선 900여표 차이로 민주당 후보가 자유한국당 후보를 꺾어서 파란을 일으켰다.
1.14. 남해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해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해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장충남(張忠男) | 13,653 | 1위 |
| 46.16% | 당선 | |
2 | 박영일(朴英一) | 11,872 | 2위 |
[[자유한국당| | 40.14% | 낙선 | |
6 | 이철호(李哲護) | 4,04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3.6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9,731 | 투표율 77.33% |
투표 수 | 30,727 | ||
무효표 수 | 1,154 |
1.15. 함양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함양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함양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서필상(徐必尙) | 5,776 | 3위 |
| 21.89% | 낙선 | |
2 | 진병영(陳炳榮) | 10,086 | 2위 |
[[자유한국당| | 38.23% | 낙선 | |
6 | 서춘수(徐春洙) | 10,515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9.86%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34,972 | 투표율 77.87% |
투표 수 | 27,233 | ||
무효표 수 | 856 |
1.16. 산청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산청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산청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허기도(許起道) | 7,814 | 2위 |
| 33.10% | 낙선 | |
2 | 이재근(李在根) | 8,898 | 1위 |
[[자유한국당| | 37.69% | 당선 | |
6 | 이승화(李承和) | 6,250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6.47% | 낙선 | |
7 | 배성한(裵成漢) | 645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7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2,408 | 투표율 76.05% |
투표 수 | 24,647 | ||
무효표 수 | 1,040 |
1.17. 거창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거창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거창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기범(金起範) | 11,619 | 2위 |
| 30.33% | 낙선 | |
2 | 구인모(具仁謀) | 16,652 | 1위 |
[[자유한국당| | 43.48% | 당선 | |
6 | 조성진(趙成鎭) | 1,304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40% | 낙선 | |
7 | 안철우(安哲右) | 8,723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2.7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3,061 | 투표율 74.55% |
투표 수 | 39,556 | ||
무효표 수 | 1,258 |
1.18. 합천군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합천군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합천군수#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재영(鄭在永) | 9,274 | 2위 |
| 29.85% | 낙선 | |
2 | 문준희(文俊熙) | 18,237 | 1위 |
[[자유한국당| | 58.70% | 당선 | |
3 | 조찬용(曺濽溶) | 1,138 | 4위 |
[[바른미래당| | 3.66% | 낙선 | |
6 | 윤정호(尹正皓) | 2,414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7.7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42,165 | 투표율 77.08% |
투표 수 | 32,500 | ||
무효표 수 | 1,437 |
2. 둘러보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