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ARCYBER 육군사이버사령부  |   FLTCYBER 함대사이버사령부  |   AFCYBER 사이버공군  |   MARFORCYBER 해병대사이버공간사령부  | 
| U.S. Cyber Command Component Commands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서대서양 | 동태평양 | 남아메리카 | 
|   |   제2함대  |   제3함대  |   제4함대  | |
| 인도양 | 동대서양 | 서태평양 | 함대사이버사령부 | |
|   제5함대  |   제6함대  |   제7함대  |   제10함대  | |
| U.S. Navy Numbered Fleets | ||||
|  미합중국 제10함대 United States Tenth Fleet  | |
|   | |
| 창설일 | 1943년~1945년 2010년 1월 29일(미합중국 제10함대)  | 
| 약칭 | TENTHFLT | 
| 소속 | |
| 상급부대 | |
| 종류 | 함대 | 
| 역할 | 사이버 작전 | 
| 함대사령관 | |
| 부사령관 | |
| 주임원사 | 스콧 A. 네이글 해군 원사 | 
| 본부 | 미국 메릴랜드주, 포트 미드 | 
| 홈페이지 | 미합중국 제10함대 | 
1. 개요
미합중국 제10함대는 미국 해군 소속의 함대이며 일반적인 전투함을 가진 부대가 아닌 사이버작전을 주로 담당하는 함대이다.2. 역사
2차 세계대전 당시 대서양일대에서 독일해군의 U보트로 인해 미국 해군 및 연합군의 피해가 증대되었기 때문에 독일해군의 암호, 통신보안을 획득하여 대잠전을 진행, 이전까지 한달에 4척 정도를 침몰시켰던 것에 반해 10함대 창설 및 작전을 시작한 달에는 41척을 격침시키고 그 이후에는 월 평균 23척을 격침시키는 등 대서양지역의 해상장악을 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3. 임무
미국 함대사이버사령부의 작전통제를 받아 사이버 공간, 우주 및 전자기 스펙트럼을 통해 전 세계 해군 사령관에게 원하는 전술 및 운영 효과를 지시하고 전달하며 미국 함대사이버사령부가 지정한 임무 영역을 성공적으로 실행되도록 보장한다.4. 함대조직
4.1. 네트워크 운영 및 방어
제1010기동부대(해군네트워크전사령부) / Task Force 1010 (Naval Network Warfare Command)[2]
- CTG 1010.1 – NCTAMS LANT
 - CTG 1010.2 – NCTAMS PAC[3]
 - CTG 1010.3 – NAVSOC
 - CTG 1010.5 – NCTS 바레인
 - CTG 1010.6 – NCTS 나폴리
 제1020기동부대(해군사이버방어작전사령부) / Task Force 1020 (Navy Cyber Defense Operations Command)
- CTG 1020.1 – NCDOC
 - CTG 1020.2 – NIOC 펜서콜라
 
4.2. 정보 작전
- CTF 1030 – NIOC 노퍽
 - CTG 1030.1 – NIOC 노퍽
 - CTG 1030.2 – NIOC 샌디에이고
 - CTG 1030.3 – NIOC 휘드베이 아일랜드
 
4.3. 연구 개발
제1090기동부대(해군사이버전개발단) / Task Force 1090 (Navy Cyber Warfare Development Group)
4.4. 암호해독
- CTF 1000 – C10F
 - CTG 1000.1 – NIOC 멘위드 힐 스테이션
 - CTG 1000.2 – NIOC 슈가 그로브
 - CTG 1000.3 – NIOC 미소와
 - CTG 1000.4 – NIOC 텍사스
 - CTG 1000.5 – NIOC 조지아
 - CTG 1000.6 – CWG-6 [4]
 - CTG 1000.7 – NIOC 하와이
 - CTG 1000.8 – NIOC 콜로라도
 - CTG 1000.9 – NIOD 야키마
 - CTG 1000.10 – NIOD 앨리스 스프링스
 
4.5. 함대 및 전역 작전
제1040기동부대(텍사스 해군정보작전사령부) / Task Force 1040 (Navy Information Operations Command Texas)
- CTG 1040.1 – NIOC 텍사스
 제1050기동부대(조지아 해군정보작전사령부) / Task Force 1050 (Navy Information Operations Command Georgia)
- CTG 1050.1 – NIOC 조지아
 - CTG 1050.2 – NIOC 바레인
 제1060기동부대(제6암호전단) / Task Force 1060 (Cryptologic Warfare Group 6)
- CTG 1060.1 – CWMA-61
 - CTG 1060.2 – FIOC 영국
 제1070기동부대(하와이 해군정보작전사령부) / Task Force 1070 (Navy Information Operations Command Hawaii)
- CTG 1070.1 – NIOC 하와이
 - CTG 1070.2 – NIOC 요코스카
 - CTG 1070.3 – NIOC 미소와
 - CTF 1080 – CO NIOC 콜로라도
 - CTG 1080.1 – NIOC 콜로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