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22:47:39

텐코 시부키

정부키에서 넘어옴

파일:스텔라이브로고_다크모드.png파일:스텔라이브로고_논셰도우.png
[ 소속 멤버 ]
1st Mystic
[[아이리 칸나|
파일:아이리 칸나.jpg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08080"]]
[[아야츠노 유니|
파일:아야츠노 유니.jpg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2nd Universe
[[시라유키 히나|
파일:시라유키 히나 프로필.png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네네코 마시로|
파일:네네코마시로 프로필.png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카네 리제|
파일:아카네리제_프로필.png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라하시 타비|
파일:아라하시 타비.png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3rd Cliché
[[텐코 시부키|
파일:텐코 시부키 틀.png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아오쿠모 린|
파일:아오쿠모 린 틀.png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하나코 나나|
파일:하나코 나나 틀.png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유즈하 리코|
파일:유즈하 리코 틀.png
{{{#!wiki 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453d9e;" dark-style="margin-top: 5px; letter-spacing: -1px; color:#87aeff"]]
[ 음반 목록 ]
||<width=25%><nopad><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 파일:Milky Way 표지.jpg
파일:Hit on Shot.jpg파일:Dear My Fairy.jpg파일:Stars Align.jpg
[[Milky Way|Milky Wa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5em"]]
2024. 02. 21.
[[Hit On Shot|Hit On Shot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5em"]]
2024. 04. 03.
[[Dear My Fairy|Dear My Fairy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fff; font-size: 0.85em"]]
2024. 04. 21.
[[Stars Align|Stars Align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linear-gradient(to right, #ABAEE1, #F8E9F0, #9FCEEF, #C9CEEB); font-size: 0.85em"]]
2024. 04. 30.
파일:Our Tales.jpg
[[Our Tales|Our Tales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linear-gradient(to right, #c3fee1, #fe7ba0, #d3b4f3, #ace7ff); font-size: 0.85em"]]
2024. 08. 24.

<colbgcolor=#c2afe6><colcolor=#6b5b84> 텐코 시부키
[ruby(天, ruby=てん)][ruby(狐, ruby=こ)][ruby(紫, ruby=し)][ruby(吹, ruby=ぶき)] | Tenko Shibuki
<nopad> 파일:텐코 시부키.webp
성별 여성
종족 여우신
나이 1000세[1]
생일 3월 21일
신장 157cm[2]
MBTI ISFP/ESFP[3]
소속 스텔라이브
디자인 セイクオ(Seicoh)[4]
Live2D 온유
오시마크 ⛩️신사 | 🕹️조이스틱
팬네임 이나리
데뷔 2024년 5월 18일 (D[dday(2024-05-18)]일)
플랫폼 현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치지직
팔로워 13.9만 명
유튜브
구독자 11만 명
조회수 22,516,431회
유튜브 다시보기
구독자 2.02만 명
조회수 2,516,747회
기준: 2025년 2월 1일 }}}}}}}}}
관련 링크
플랫폼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다시보기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커뮤니티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1. 개요2. 방송
2.1. 성격 및 방송 특징2.2. 게임 실력2.3. 방송 규칙2.4. 방송 역사2.5. 밈
3. 음악
3.1. 커버곡3.2. 참여 앨범
4. 디자인
4.1. 캐릭터 시트4.2. OGQ 이모티콘
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colbgcolor=#c2afe6>
첫 커버 곡 '너에게 메롱' Cover
천 년이 넘는 세월 동안 똑같은 일상을 보내던 여우신.
어느 날 신사에서 주인을 잃은 게임기를 발견하게 된다.
이후 게임에 빠져 게임 중독 히키코모리의 삶을 살지만,
본인을 찾아 신사에 오는 사람들을 외면할 수 없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찰나, 스텔라이브를 만나게 된다.

스텔라이브 공식 프로필
2024년 5월 18일 스텔라이브 소속으로 데뷔한 버츄얼 유튜버.

2. 방송

2.1. 성격 및 방송 특징

주요 방송 시간은 오후 6시이며 정기 휴방일은 매주 수요일이다. 추가적인 휴방이 있을 경우 공지로 안내한다.

데뷔 방송 때부터 채팅창 확인 및 분위기 파악, 자연스러운 대화 주제 환기로 시청자와의 자연스러운 소통 방송을 하고 있다. 노래나 게임 도중에도 채팅창과 도네이션에 반응하고 소통도 능숙하게 이어간다. 3기생들과 합방을 할 때엔 대화의 중심을 잡고 진행을 하는 역할도 맡는다. 특히 대화의 흐름을 이어 주제를 다양하게 이어가는 진행 능력이 뛰어나고 중간중간 센스있는 유머 멘트에도 능하다.

능숙한 진행과 달리 데뷔 전에는 인터넷 방송에 대해 잘 몰랐던 듯하다. 인터넷 방송에서 유명한 밈들을 아직은 잘 모르는 상태이며, 방송 관련 세팅들도 아직 미숙해 시청자들에게 사과하는 모습도 자주 보인다. 그래도 배우는 속도가 빠르고 대처도 금방 해내기 때문에 불편함을 느낄 만한 정도는 아니다.

인간 나이 10살에 걸맞은 외모와 마찬가지로 목소리와 말투가 상당히 잼민이스럽다. 중간중간 나오는 말투나 상황에 따른 리액션에서 어린아이들에게서나 볼 수 있는 모습들이 나오기 때문에 외모와 정말 잘 어울린다는 평이 많다. 또한, 선정적이거나 잔인한 장면에 면역이 없어, 게임 등에서 그러한 장면들이 나오면 어쩔 줄 몰라 하며 수습하려는 것도 잼민이스러운 부분 중 하나.

하지만 이런 말투와는 다르게 시청자와 대화할 땐 매우 신중하고 배려가 깊은 편으로, 말을 매우 예쁘게 해준다는 평이 많다. 좋은 일이 있다면 모든 게 본인 덕이 아닌 팬들 덕분이라는 이야기를 빼먹지 않는다. 또한, 상황에 따라 과해질 수 있는 분위기를 감지하여 본인이 직접 왜 이런 이야기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이유 등을 이해할 수 있게 빠르게 정리해준다. 대화 도중에 팬들에게 자연스럽게 플러팅하는 것도 자주 볼 수 있다. 노래 도중에도 순발력 있게 즉석에서 팬들을 위하여 개사하는 것도 그렇고, 이야기하면서도 상황에 맞는 플러팅 멘트를 자연스레 내뱉는다.

노래할 때는 평소 목소리와는 달리 하이톤에 굉장히 청아하고 귀여운 목소리를 들려주며, 스텔라이브에 입사하여 처음으로 노래를 배웠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노래 실력이 상당하다. 고음도 깔끔하게 처리해내며, 다이나믹 조절에도 능해 뛰어난 표현력을 자랑한다. 또한, 보컬 스펙트럼도 굉장히 넓어, 이게 되나 싶은 어려운 구간도 무리 없이 해낸다.

2.2. 게임 실력

데뷔 이전부터 강지가 언급했듯이 게임 실력이 매우 출중한 편이다. 기본적으로 공간 지각 능력이 뛰어나고 시야가 매우 넓으며, 위기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잘 대처한다. 메카닉적인 측면이나 순발력도 뛰어나고 반응속도도 매우 빨라서[5] 익숙한 장르뿐만 아니라 처음 해보는 장르에서도 생각보다 훨씬 수준 높은 게임 실력을 보여준다. 팬들 사이에서는 단순히 스텔라이브 내에서 제일 잘하는 정도가 아니라 전체 스트리머로 비교군을 넓혀봐도 충분히 겜잘스라고 볼만한 실력을 갖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가장 자신있는 게임은 PUBG. 직접 잘한다고 말한 몇 안 되는 게임 중 하나로, 스텔라이브 지원 영상에도 PUBG 매드무비를 넣었다고 한다. 6월 29일 방송에서 배그를 플레이했는데 실제로 조준과 반동 조절, 운영 등에서 수준급 실력을 보여주었다. 이후 7월 1일 히나, 리코, 유니와 진행한 배그 스쿼드 합방에서는 1대 다수 상황에서 단독으로 상대 스쿼드를 정리해버리거나 차량 리드샷, 라이딩샷, 연막 예측샷을 여러차례 해내며 통나무를 드는 괴력을 발휘하였다. 이후로도 멤버들이랑 자주 배그 합방을 하면서 이나리들의 눈을 호강시키는 중. 특히 2024년 8월 27일에 열린 픽셀 vs 스텔라이브 배그 대결에서도 라운드 1위를 두 차례 차지했고, 5라운드에서는 비록 탄약 고갈로 지긴 했으나 4대1 상황에서 변수를 만들어내며 뒤집기 직전까지 간 임팩트가 강렬했기에 대회 통합 MVP에 선정되었다.

웰컴투 멋봉리 서버에서는 7월 21일에 진행된 물탈 레이싱 대회에서 2위를 달성해 인게임 상금 30만원과 트로피를 받았다.[6]

I dont Fall은 1시간 35분 만에 클리어#했는데 강지보다 두 배 빠른 시간이며, 겜잘스로 유명한 녹두로와 비교해도 겨우 5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엄청난 기록이다. 비슷한 항아리류 게임 장르인 Get To Work 역시 6시간 8분 만에 클리어.

레이튼 교수와 이상한 마을을 플레이할때도 운과 피지컬, 그리고 생각보다 논리적인 직감력까지 삼위일체가 모두 갖추어진 플레이를 진행하였다.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진 조합퍼즐에서 이리저리 돌려보기 전에 칸의 갯수만으로 반드시 들어가야할 조각을 추린다던지, 늑대와 양 강건너기 문제에서 일단 문제의 조건만 맞춰보고 연습만 해본다고 했는데 뜬금없이 최단기록으로 성공한다던지. 그러나 완벽히 의도한건 아닌지 퍼즐을 해결할때마다 본인도 당황해서 에? 왜? 를 연발하기도 했다.

스텔라이브 좀보이드 서버에서는 경험 풍부한 '좀쌤' 칸나와 같은 지역에서 스폰되었는데, 평소 부키의 게임실력을 고려해서 칸나는 전신 화상이라는 극단적인 페널티를 달고 게임에 임했다. 3일차 탈출을 앞두고 모두가 전멸하는 과정에서 처음 데스를 기록했는데, 1호기로 무려 1875마리의 좀비를 처치했다.

엘든 링을 플레이 할때는 오픈월드 게임의 특성을 알고 있기 때문에 많은 스트리머들이 수많은 트라이 끝에 잡고 지나가는 트리 가드 같은 필드 보스들을 보고 필수 보스가 아니라는걸 알아채기도 했다.

그렇지만 본인은 이런 겜잘스 이미지가 약간 부담스럽다고 한다. 모든 게임을 잘해야 할 것 같다는 부담감이 생기기 때문이라고. 그래서 겜잘스보단 여우신으로 불러주길 원한다고 한다.

2.3. 방송 규칙

<colbgcolor=#c2afe6><colcolor=#6b5b84> 텐코 시부키 채팅 규칙
1 방송 흐름과 관계없는 이야기 (뻐꾸기, 스포, 맴버 및 타스언급 등)
2 멤버 및 다른 스트리머 채팅 인사
방송 중인 멤버가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에 멤버나 타 스트리머에게 인사나 반응을 하는 경우
ex) ㅇㅇ 왔어요, ㅇㅇ 인사하는데요? ,ㅇㅇ 채팅쳤어요! 등
3 규칙에 대한 언급 관련
방송 주제와 흐름이 벗어날 수 있으므로 규칙 위반에 대해서 언급을 하지 않도록 부탁드립니다!
4 시청자끼리 대화 금지

2.4. 방송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텐코 시부키/방송 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3. 음악

3.1. 커버곡

<colbgcolor=#c2afe6><colcolor=#6b5b84><rowcolor=#6b5b84> 순번 곡명 업로드 날짜 영상
1st 너에게 메롱 2024. 05. 16.
2nd 여우비 2024. 08. 09.
3rd 레오 2024. 09. 30.
4th 아이덴티티
(w. 아오쿠모 린)
2024. 10. 26.
5th 사보타주 2024. 12. 06.
6th 겨울의 선물 2024. 12. 25.
7th 절대 적대 완전 싫어
(w. 유즈하 리코)
2025. 01. 28.

3.2. 참여 앨범

<rowcolor=#fff> 발매일 앨범 곡명 아티스트 비고
2024년
08. 24. 파일:Our Tales.jpg Our Tales Our Tales 스텔라이브 클리셰 단체곡

4. 디자인

4.1. 캐릭터 시트

파일:텐코_시부키_삼면도.jpg
캐릭터 시트
파일:텐코시부키 한복.jpg
신의상 캐릭터 시트[8]

4.2. OGQ 이모티콘

파일:시부키티콘.png
시부키티콘 | 파일:네이버 OGQ마켓 아이콘.png

5. 여담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7px -7px; padding:1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파일:청룡그룹로고.png 봉누도 갱단
청룡그룹
}}} ||
【두목】
조철봉
(No.1)
빅헤드
【간부】
정복자
(No.0)
텐코 시부키
계춘회
(No.2)
계춘회
김승윤
(No.3)
김뿡
【조직원】
정인아
(No.4)
시라유키 히나
김태무
(No.5)
탬탬버린
강보듬
(No.6)
백곰파
김동균
(No.7)
댕균
숙회부
(No.9)
씨랙
고문탁
(No.12)
고수달

[1] 인간 나이로 10세.[2] 머리카락으로 감싸진 귀 길이를 포함한 것이다. 귀와 나막신을 제외한 실제 키는 143cm이며, 스텔라이브 최단신인 하나코 나나와 비슷하다.#[3] 검사하면 두 MBTI가 자주 바뀐다고 한다. 그래서 데뷔 방송에서 본인이 직접 EISFP라고 언급 하였다.[4]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게임 블루 아카이브에서 코코나, 미치루 등을 디자인하였다.
[5] 반응속도 테스트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평균 수준의 반응속도에 해당하는 140~160ms(0.14~0.16초)가 나왔다.[6] 1위가 마인크래프트 10년차 이상인 삼식이였음을 감안하면 2위라도 대단한 기록이다. 게다가 마인크래프트 경력이 긴 악어, 다주, 김뚜띠 등보다도 높은 기록이다.[7] 유동->유부우동->우동[8] 포냐 담당[9] 유니, 칸나, 마시로는 시부키와 달리 수인형 모습만 보여주었다.[10] 유부초밥을 뜻하는 일본어 '이나리즈시'에서 초밥을 뜻하는 '스시'를 떼어낸 것이다.[11] 서로 어깨를 맞추고 비교해본 바로는 부키가 조금 더 크다는게 밝혀졌다.[12] 블루투스[13] 깜짝 + 갑작스럽게[14] 뻗어서[15] 공감 감각[16] Starry Way #[17] 아버지의 영향으로 1종 보통을 땄다고 한다.[18] 이마저도 아버지의 음주로 인해 운전할 수 없을 때, 대신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