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5 21:39:37

정무위원회

정무위에서 넘어옴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
상임위원회 및 상설특별위원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88em"
국회운영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교육위원회 과학기술정보
방송통신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국방위원회 행정안전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농림축산식품
해양수산위원회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정보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겸임 상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는 비상설 특별위원회로서 존속한다.
}}}}}}}}}
 
파일:정무위원회 로고.svg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
政務委員會 | National Policy Committee
<colbgcolor=#f5f5f5,#2d2f34> 약칭 정무위
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한홍 (3선,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간사
파일:zsdkl3gasdg.svg
강준현 (재선, 세종시 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민국 (재선, 경남 진주시 을)
구성 위원 24인/24인, 4개 소위원회
교섭단체
파일:zsdkl3gasdg.svg
14인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8인
비교섭단체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1인


[[사회민주당(2024년)|
파일:사회민주당(2024년) 흰색 로고타입.svg
]]
1인
공식 사이트 정무위원회

1. 개요2. 상세3. 소관 기관4. 소위원회5. 소속 위원
5.1. 제22대 국회
6. 역대 위원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회상임위원회.

2. 상세

국무조정실·국무총리비서실, 국가보훈부, 공정거래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금융위원회 소관에 속하는 사항을 담당한다(국회법 제37조 제1항 제3호).

1988년 6월 15일 행정위원회로 설치되어, 1994년 6월 28일 행정경제위원회, 1995년 3월 3일 행정위원회, 1998년 3월 18일 정무위원회로 개편되었다. 금융위원회를 품고 있는 만큼 '경제'라는 명칭을 명확히 사용했던 행정경제위원회 시절과 달리, 현재는 정무(政務) 위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어 하는일이 무엇인지 직접적으로 와닿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1] 하지만 대한민국 국무총리 직속 기관을 관할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얼핏 생각하기에는 국방위원회 소속 아닌가 싶은 국가보훈부가 정무위 소관인 것도 승격전 국가보훈처 시절에는 국무총리 직속이었기 때문이다.[2]

행정위원회 시절과 정무위원회 초반 시절에는 야당이던 통일민주당 출신, 통일국민당 출신, 민주당 출신, 새정치국민회의 출신, 한나라당 출신이 차지해서 야당 출신이 맡는 게 관례였지만, 노무현 대통령 당시 제17대 국회부터 당시 열린우리당 출신이 위원장을 맡는 것을 시작으로, 18대 국회와 19대 국회에서도 여당이 한나라당-새누리당이었는데 여당 출신이 위원장을 맡았고, 20대 국회에서도 새누리당 출신이 위원장을 차지했지만 최순실 게이트로 분당사태가 현실화되며 이진복 위원장이 바른정당으로 들어갔지만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였다. 하지만 2017년 다시 야당이 되었으므로 야당 출신이 위원장을 맡고 있었다가 20대 하반 국회에서는 다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게 위원장 자리가 가게 되었다. 21대 국회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이 위원장을 맡다가 다시 국민의힘이 위원장을 맡게 되었다. 후반기 국회에서는 다시 더불어민주당이 정무위원장을 맡았다. 21대 국회에서는 초기를 제외하고는 야당이 맡다가 22대 국회에서는 여당(국민의힘)에게 돌아왔다.

20대 국회 상임위 선호도 조사에서 4위를 차지했다. 정무위를 가면 금융 기업 쪽에서 후원이 많이 들어오기 때문이라고 한다. 비례대표 의원들한테는 선호도가 높으나, 지역구 의원들의 사업을 대줄만한 것들이 없다 보니 선호도가 높지 않다. 그래서 후반 국회 때 정무위를 가게 되면 재선이 힘든 경우가 많다. 지역구에 예산을 못 갖다주니까. 대신에 후원금은 많이 걷을 수 있어서, 국회의원 재선에 못되더라도 나중에 지방선거를 대비하는 사람들이 많이 온다. 그래도 위원장과 간사 자리는 지역구 의원들이 눈에 불을 켜고 차지하려고 한다. 앞에도 나왔지만 금융사들한테서 후원금이 무지막지하게 많이 들어온다. 이 정무위 간사를 비례대표 의원 김기식제19대 국회 때 맡은 적이 있는데, 그 김기식 의원이 2018년 금융감독원장에 앉았다가 짤리는 과정에서 정무위 간사 이상이 피감기관이나 금융사 쪽에서 로비를 받는 것들이 대거 폭로됐다. 김기식은 이후 정치후원금 문제로 2021년 6월 10일 대법원에서 공직선거법 위반 200만원 벌금형을 확정받고 2026년 6월 11일까지 피선거권을 박탈당했다. 기사

기재위만큼은 아니지만 경제통들이 꽤 오는 위원회이다. 금융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와 그 산하기관들을 상대하려면 그만큼 경제 지식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3. 소관 기관

4. 소위원회

5. 소속 위원

5.1. 제22대 국회

파일:국회휘장.svg 정무위원회
<rowcolor=#fff> 구성 의원 소속 정당 선수
위원장 윤한홍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선
간사 강준현
파일:zsdkl3gasdg.svg
재선
간사 강민국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위원 강훈식
파일:zsdkl3gasdg.svg
3선
위원 김남근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김병기
파일:zsdkl3gasdg.svg
3선
위원 김용만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김현정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민병덕
파일:zsdkl3gasdg.svg
재선
위원 박상혁
파일:zsdkl3gasdg.svg
재선
위원 유동수
파일:zsdkl3gasdg.svg
3선
위원 이강일
파일:zsdkl3gasdg.svg
초선
위원 이인영
파일:zsdkl3gasdg.svg
5선
위원 이정문
파일:zsdkl3gasdg.svg
재선
위원 조승래
파일:zsdkl3gasdg.svg
3선
위원 천준호
파일:zsdkl3gasdg.svg
재선
위원 강명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권성동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선
위원 김상훈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선
위원 김재섭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유영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이헌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선
위원 신장식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초선
위원 한창민

[[사회민주당(2024년)|
파일:사회민주당(2024년) 흰색 로고타입.svg
]]
초선

6. 역대 위원장

회기 성명 정당[5] 선수
행정위원장
13대 전반 박용만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선
후반 정상구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4대 전반 윤영탁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재선
행정경제위원장
14대 후반 김덕규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3선
행정위원장
15대 전반 김인곤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3선
정무위원장
15대 후반 김중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선
16대 전반 박주천 3선
후반 이강두
17대 전반 김희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재선
후반 박병석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18대 전반 김영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선
후반 허태열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선
19대 전반 김정훈
후반 정우택
20대 전반 이진복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용태
후반 민병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1대 전반 윤관석
윤재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후반 백혜련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22대 전반 윤한홍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선

[1] 이와 같은 혼동을 노려 과거 공무원 시험 (2011년 법원행정고시 헌법 기출, 2014년 국회9급 헌법 기출 등)의 출제자들이 '금융위원회는 기획재정위원회 소관'이라는 선택지를 제시하였고, 공부를 얕게 한 상당수 수험생들을 오답의 함정에 빠뜨렸던 일화가 있다.[2] 국가보훈처는 군인, 경찰 이외에도 독립유공자, 민주화유공자 등 다양한 형태로 국가에 헌신한 사람들을 위한 보훈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기관이다.[3] 국무조정실, 금융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담당한다.[4] 국가보훈부, 공정거래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를 담당한다.[5] 선출 당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