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길수의 주요 수훈 및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문화포장 수훈자 | ||||||||||||||||||||||||||||||||||||||||||||||||||||||||||||||||||||||||||||||||||||||||||||||||||||
<colbgcolor=#980000><colcolor=#EDE4D3> 연도 | <colbgcolor=#EDE4D3><colcolor=#980000> 1991년 | ||||||||||||||||||||||||||||||||||||||||||||||||||||||||||||||||||||||||||||||||||||||||||||||||||||
이름 | 장길수 | ||||||||||||||||||||||||||||||||||||||||||||||||||||||||||||||||||||||||||||||||||||||||||||||||||||
분야 | 영화감독 | ||||||||||||||||||||||||||||||||||||||||||||||||||||||||||||||||||||||||||||||||||||||||||||||||||||
문화포장 |
역대 | ||||
감독상 | ||||
제27회 (1989년) | → | 제28회 (1990년) | → | 제29회 (1991년) |
김호선 (서울무지개) | → | 장길수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 → | 곽지균 (젊은 날의 초상) |
영화 부문 감독상 | ||||
제26회 (1990년) | → | 제27회 (1991년) | → | 제28회 (1992년) |
이두용 (청송으로 가는 길) | → | 장길수 (은마는 오지 않는다) | → | 배창호 (천국의 계단) |
{{{#white 역대}}} | ||||
각본상 | ||||
제10회 (1973년) | → | 제11회 (1990년) | → | 제12회 (1991년) |
윤삼육 (나와 나) | → | 윤대성 장길수 이종학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 → | 유우제 장길수 (수잔 브링크의 아리랑) |
제11회 (1990년) | → | 제12회 (1991년) | → | 제13회 (1992년) |
윤대성 장길수 이종학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 → | 유우제 장길수 (수잔 브링크의 아리랑) | → | 박헌수 (결혼 이야기) |
}}} ||
<colbgcolor=#444><colcolor=#fff> 장길수 張吉秀 | |
출생 | 1955년 5월 28일 ([age(1955-05-28)]세) |
경기도 파주군 파평면 늘노리 | |
학력 | 경기공업전문학교 건축과 |
데뷔 | 《밤의 열기 속으로》(1985)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2. 상세
1955년 5월 28일 경기도 파주군 파평면 늘노리에서 태어났다. 경기공업전문학교 건축과를 수료했다. 1975년 하길종, 이장호 감독 등이 속해 있는 영화예술운동 단체 '영상시대'의 연출부 조감독 공모에 뽑혀 영화계에 입문, 16mm 단편영화를 찍었다. 그후 김수용 감독 아래서 조감독으로 일하던 중 1981년 영화진흥공사의 시나리오 공모전에 응모한 '젊은 그대'가 당선되어, 그 시나리오를 가지고 1985년 '밤의 열기 속으로'로 입봉하면서 그해 대종상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 1983년에는 프랑스문화원 주최 단편영화제에서 16mm 단편영화 '강의 남쪽'이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이문열 원작의 '레테의 연가', 박범신 원작의 '불의 나라', 이문열 원작의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안정효 원작의 은마는 오지 않는다, 유우제 원작의 '수잔 브링크의 아리랑', 양귀자 원작의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김정현 원작의 '아버지', 와타나베 준이치 원작의 '실락원' 등 소설을 영화화한 연출작이 많다.
1990년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로 대종상 감독상, 청룡영화상 시나리오상, 1991년 은마는 오지 않는다로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몬트리올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각본상, 대통령 문화포장을 수상하고 흥행에도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작품성과 흥행성을 모두 인정받았다.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등급심의 위원, 수원대학교 연극영화과 겸임교수, 명지대학교 사회교육원 연극영화과 교수 등을 역임했다.
아들 장세욱은 디지털 싱글앨범 '낫씽'(Nothing)'을 발표하면서 래퍼로 데뷔했다.#
3. 연출작
- 밤의 열기속으로(1985)
- 레테의 연가(1987)
- 아메리카 아메리카(1988)
- 불의 나라(1989)
-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1990)
- 은마는 오지 않는다(1991)
- 수잔 브링크의 아리랑(1991)
- 웨스턴 애비뉴(1993)
-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1994)
-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가지 이유(1996)[1]
- 아버지(1997)
- 실락원(1998)
- 초승달과 밤배(2005)
4. 수상
- 1985년 제24회 대종상 신인감독상(밤의 열기 속으로)
- 1990년
- 제11회 청룡영화상 시나리오상(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 제28회 대종상 감독상(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 1991년
- 제27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은마는 오지 않는다)
- 제12회 청룡영화상 각본상(수잔 브링크의 아리랑)
- 제2회 춘사영화제 각색상(은마는 오지 않는다)
- 제15회 몬트리올 국제영화제 각본상(은마는 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