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8 01:57:38

이병헌(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제5대 민의원
이병헌
李炳憲 | Lee Byung-heon
파일:이병헌(독립운동가).png
<colbgcolor=#000080><colcolor=#FFFFFF> 출생 1896년[1] 11월 20일
경기도 수원군 가사면 고잔리
(現 경기도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고잔마을 445번지)[2]
사망 1976년 1월 17일 (향년 79세)
서울특별시 관악구 상도동 197-27번지 자택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473호
본관 함평 이씨[3]
필명 석운(石雲)
도호 오암(梧菴)
학력 경성법학전문학교 (졸업)
보성전문학교 (법과 / 졸업)
종교 천도교
의원 선수 1
의원 대수 5
경력 신간회 경성지회 발기인 겸 총무 간사
천도교 부교령
대종사 경리
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 서무과장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수 겸 총무과장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장
제5대 민의원의원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독립유공자, 정치인이다. 1993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2. 생애

1896년 11월 20일 경기도 수원군 가사면 고잔리(現 평택시 현덕면 권관리 고잔마을 445번지)에서 아버지 이민도(李敏道, 1851 ~ 1921. 2. 14)[4]와 어머니 남원 양씨(? ~ ?. 4. 7)[5] 사이에서 3대 독자, 무녀독남으로 태어났다.

평택시에 대대로 거주하는 함평 이씨 집안의 입향조는 고려 말기 사재감정(司宰監正)을 지낸 이중길(李中吉)인데, 이병헌은 이중길의 17대 종손이다. 아버지 이민도는 29세 되던 1879년 동학에 입도해 이듬해인 1880년 접주(接主)에 임명되었으며, 1893년 충청도 보은현(現 충청북도 보은군)에서 열린 보은 집회에 수원군 지역 동학도들을 이끌고 참여했다. 1894년 동학 농민 혁명에 참여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천도교 수원교구 설립에 참여해 수원교구장, 진위군 현덕면 종리사 등을 지냈다.

출생 이후 16세 되던 1911년 6월 천도교 수원교구 제544 교리강습소 속성과(3개월 과정)에 입학해 졸업했고, 1912년 6월 22일 천도교 중앙총부에서 모집한 제1회 종학강습소 고등과에 입학해 6개월간 수학해 졸업했다. 1915년 4월 수원교구 현덕면 전교사에 선임되었고, 1916년 공선원, 1917년 전제원, 1918년 금융원 및 전제원 등 천도교 교역자로 활동하던 중 1919년 1월 손병희의 비서에 임명되면서 교역자 활동을 그만두었다.

이후 경기도 경성부 북부 팔판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팔판동)으로 이주하여 본적을 두었고, 보성전문학교 법과에 입학했다. 한편, 1919년 1월 중순, 손병희의 부탁을 받고 비폭력, 대중화, 일원화의 독립운동 3대 원칙을 기록한 서신을 동지들에게 전달하였고, 같은 해 2월 천도교 교단으로부터 독립운동 자금 5,000원을 송금받아 이승훈에게 전달하여 기독교계의 독립만세운동을 지원했다.

같은 달 27일, 그는 경성부 견지동(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소재 보성사(普成社)에서 기미독립선언서의 인쇄를 돕고 이를 비밀리에 천도교당으로 운반하여 다시 전국 각지에 배부하도록 하였으며, 3월 1일 태화관(泰和館)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할 때 당시 진행상황을 기록하는 한편, 탑골공원에 모여든 학생 및 시민들과의 연락을 맡아 활동하였다. 또한 당일 경성부 도심에서 벌어진 만세시위에 참가하였으며, 3월 5일 남대문역 앞에서 전개된 만세시위에도 참여하여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행진을 했고, 시위 뒤에 체포된 민족대표 33인의 가족들에게 생활비를 지원하기도 했다.

이후 보성전문학교 재학 중에 전조선학생대회 부회장을 지냈으며, 졸업 후에는 경성법학전문학교[6]에 입학해 졸업하였다.

1927년 신간회가 창립되자 경성지회 발기인 겸 총무 간사로 활동하며 재정을 담당했다. 한편 천도교 교역자로서 중앙총부에서 시무를 지내는 등 천도교 청년동맹 경성지부, 개운사(開雲社) 등에서 활동하였고, 천도교 부교령(副敎領), 대종사 경리 등을 역임하였다.#

1945년 8.15 광복 후에는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으며, 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의 서무과장을 지내기도 했다. 또한 경찰공무원에 입직하여 1947년 11월부터 1949년 2월까지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수 겸 총무과장을 지냈으며, 교장 대리를 거쳐 1949년 2월 21일부터 1949년 7월 25일까지 제3대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장(총경)을 지내기도 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도중에 후보직을 사퇴하였으며,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황경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에는 대한행정신문사 사장을 지냈으며,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정존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9년에는 시사시보사출판국에서 〈삼일운동비사(三一運動秘史)〉를 발표했다.

1960년, 4번의 국회의원 도전 끝에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3년에는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경기도 평택군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정당 유치송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9년에는 신동아에 〈신간회운동(新幹會運動)〉이라는 회고록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그 밖에 여자상업고등학교를 설립하고 이사장을 역임하는 등 교육자로서도 활동했다.

1976년 1월 17일 서울특별시 관악구 상도3동[7] 197-27번지 자택에서 노환으로 사망하였다.

199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본래 김포시 풍무동 김포공원묘지에 안장되었다가 1995년 10월 12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이장되었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종류 선거구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평택군[8]

[[무소속(정치)|
무소속
]]
후보 사퇴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평택군[9] 9,844표 (24.56%) 낙선 (2위)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민주당 1955년 글자.png
10,437표 (18.92%)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평택군[10] 15,863표 (28.02%) 당선 (1위) 초선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평택군[11]

[[국민의당(1963년)|
파일:국민의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
3,634표 (6.72%) 낙선 (4위)

4. 둘러보기

파일:구 경기도 휘장(백색).png 경기도 제5대 민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인천 갑 인천 을 인천 병 수원 고양
김재곤곽상훈김훈홍길선유광렬
광주 양주 갑 양주 을 연천 포천
신하균조윤형강승구허혁김영구
가평 양평 여주 이천 용인
홍익표천세기박주운백두진김윤식
안성 평택 화성 갑 화성 을 시흥
김갑수이병헌박상묵서태원이재형
부천 김포 강화 파주 옹진
박제환허길윤재근황인원장익현
* 양주 갑 강영훈 사망 (1960.8.15.)
* 김포 정준 사퇴 (1960.12.5.)
* 옹진 손치호 자격 상실 (1960.12.13.)
* 이천 최하영 자격 상실 (1961.2.21.)
}}}
서울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0080><tablebgcolor=#000080>
파일:민주당(1955년) 상징.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0080><tablebgcolor=#00008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한근조 주요한 정일형 유성권 홍용준
서범석 김산 신상초 장면 김원만
윤명운 김재곤 곽상훈 김훈 조윤형
허혁 김영구 홍익표 천세기 박주운
김윤식 이병헌 허길 계광순 박충모
김명윤 양덕인 태완선 신기복 김준섭
김대중 함종빈 최경식 김광준 김기철
신정호 김창수 박기종 민장식 이충환
김사만 이태용 유진영 성태경 엄대섭
김학준 이석기 우희창 김영선 이상철
성원경 장경순 안만복 이규영 성기선
류청 이철승 김판술 이춘기 이정원
배성기 신현돈 송영선 한상준 윤정구
홍영기 나용균 송을상 조한백 조규완
윤택중 정성태 김용환 이필선 김문옥
정재완 고몽우 김동호 고기봉 김석주
김우평 조연하 박형근 박민기 고영완
양병일 김채용 김옥형 유옥우 주도윤
정문채 이경 김의택 김선태 박희수
서동진 임문석 조재천 조일환 오정국
우홍구 박해충 최태능 최해용 황한수
조헌수 박해정 김준태 주병환 홍정표
이병하 현석호 황호영 김응주 김동욱
최성욱 이만우 박순천 이종린 이종남
박찬현 김명수 정남규 김용진 김병진
강봉용 한종건 박기정 백남훈 최영근
조일재 최원호 이양호 서정귀 윤병한
정헌주 김종길 조명환 정준현 신중하
정길영 홍문중 }}}
}}}}}}


[1] 함평이씨대동보 7권 대교공파 3쪽에는 1895년생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대한민국헌정회의 기록에는 1897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2] #[3] 대교공파(待敎公派) 26세 헌(憲) 항렬.[4] 자는 효직(孝直).[5] 양종상(梁鍾商)의 딸이다.[6] # 및 서울대인명록 확인[7] 1980년 동작구로 이관되었다.[8] 제17선거구[9] 제16선거구[10] 제17선거구[11] 제9지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