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거리 · 발매 현황 · 등장인물 · 차량 애니메이션 · 극장판 · 음악 · 게임 |
1. 개요
이니셜D에 등장하는 차량들을 최신 버전 아케이드 게임인 이니셜D THE ARCADE 기준으로 정리하는 문서. 본편의 연재가 끝난데다가 게임도 본편의 IF 스토리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현역인 아케이드판이 메인이 되었다. 만약 원작 관련 정보를 얻고 싶다면 해당 차주의 개인 문서를 참조하도록 하자.시대적 배경이 배경이니만큼 작품에 나오는 차량들은 1990년대를 풍미한 일제 스포츠카가 대부분이며, 게임에서 등장하는 개조 파츠도 실존하는 회사의 것들이 대부분이다. 애초에 작가 본인이 여러 튜닝샵의 데모카를 비롯해 공도의 실제 튜닝카를 모티브로 그린 만큼 실존하는 부품을 장착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가끔 원작에서 애매하게 표현되거나, 게임/애니화 되면서 차량의 튜닝을 다른 부품으로 대체하는 등의 고증오류[1]가 살짝 생기기는 하지만. 다만 원작과 달리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에서는 연식이 안 맞는 뜬금 없는 차량이 등장하기도 하는데, 90년대가 배경인데 2000년대 이후의 차량은 물론 심지어는 전혀 와인딩에 적합하지 않은 하이브리드인 순정 토요타 프리우스까지 나올 정도이다.
또한 원작자 시게노 슈이치의 차량 편애 때문에 당시 하시리야들 사이에서 어렵잖게 찾아볼 수 있었던 차량임에도 이니셜D에는 등장하지 않는 차량도 많다. 대표적인 것으로 AE86과 공도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80년대 중후반을 풍미했던 시빅 4세대(EF)가 한 세대 후 모델인 EG6에 밀려 못 나온 게 유명하다. 그 밖에도 스바루 레거시, 미쓰비시 GTO/미쓰비시 FTO 콤비, 혼다 비트[2] 등 1990년대 공도를 휩쓸었던 여러 유명 모델들이 제법 많이 빠져 있다. 거기에 차량의 라인업과 배틀 성적 등에서 작가 특유의 취향이 듬뿍 반영된지라 일부 차종을 제외하면 좋은 평가를 전혀 못받고, 오히려 세간의 편견을 강조해서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등 레이싱 만화 치고는 차량 자체에 대한 혹평을 많이 하는 편이기도 하다. 덕분에 인터넷에 이런 편견을 곧이곧대로 믿고 모두까기 인형처럼 모든 차를 까고 다니는 좆문가들을 양산하기도 했다.
본 문서의 차량 메이커 분류 순서는 이니셜D THE ARCADE 공식 홈페이지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가나다순도 아니고 ABC순도 아님에 주의할 것. 또한 이니셜D 이름을 달고 나온 모든 매체의 등장 차량을 소개하고 있으므로 특정 매체에서만 나오는 차량도 포함되어 있다. 각 차량별 소개 이미지는 아케이드 스테이지에 등장한 차량일 경우 가장 최신 버전의 이미지를 사용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최대한 최신 버전의 미디어믹스에 등장한 것을 사용했다.
다만 하시리야 소유의 차량이 아닌 경우는 제외하는데, 대표적인 케이스로 츠치사카 편에 등장했던 케이스케의 전 따까리가 타고 왔던 닛산 시마 같은 경우가 있다.
2. 일본 메이커 차량
2.1. 토요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토요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토요타#|]][[이니셜D/차량/토요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닛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닛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닛산#|]][[이니셜D/차량/닛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혼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혼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혼다#|]][[이니셜D/차량/혼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4. 마쓰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마쓰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마쓰다#|]][[이니셜D/차량/마쓰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 스바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스바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스바루#|]][[이니셜D/차량/스바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6. 미쓰비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미쓰비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미쓰비시#|]][[이니셜D/차량/미쓰비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7. 스즈키
역대 등장 차량은 쭉 카푸치노 1대였지만 THE ARCADE에서 드디어 신규 차종이 등장하였다.2.7.1. Cappuccino (EA11R)
탑승 캐릭터 | 사카모토 |
파워트레인 | 직렬 3기통 660cc 터보 (K6AT) / FR / 5단 |
등장 버전 | 2 ~ AC |
기본 컬러링 | 코르도바 레드, 새틀라이트 실버 메탈릭, 다크 클래식 제이드 펄, 딥 블루 펄, 새턴 블랙 메탈릭 |
유료 컬러링 | 브리티쉬 그린 펄, 옐로, 블루 마이카, 화이트, 오렌지 |
헤이세이ABC 중 C에 해당하는 경형 스포츠카. 아키야마 노부히코가 타쿠미를 이기기 위해 급히 공수한 머신으로, 등장 차량 중 제일 중량이 가볍다. 프로 랠리스트인 사카모토까지 섭외해서 대결했으나, 결국 우연히 내린 비로 인해 패배한다.
게임에서는 버전에 상관없이 컨트롤이 까다롭고 특성이 있는 차량으로, 버전3를 제외하면 최대속도 페널티가 큰 데다 재가속도 점점 너프를 먹어 버전8 기준으로 프리우스와 AE85 다음 가는 개그 차량의 입지를 차지했다. 게다가 원작과 달리 빗길에서 완벽한 최하급 성능인 전통도 이어가서 스토리모드인 공도최속전설에서조차 초보자들이 이래저래 힘들어하는 초상급 차량 취급. 하지만 작은 차체와 라인 흔들기에서 독보적인 이점을 지니고 있어 전통적으로 몸빵 면에서는 전혀 기대할 수 없는 최악의 종잇장 성능이라고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틀 성능이 괜찮다고 평가된다. 다만 8과 ZERO에서는 이래저래 최고랭크 찍기 제일 어려운 차량으로 개그차량 셋이 나란히 최하급 취급을 받고 있다.
참고로 버전8까지 게임에서 제공되었던 유료 컬러링은 1990년대 초반에 스즈키가 다른 경차에 쓰던 페인트 중 일부를 가져온 것인데, 그 중 브리티쉬 그린 펄과 화이트는 엔진을 바꾸고 자잘한 마이너 튜닝을 한 후기형 모델 EA21R의 컬러링이기도 하다.
사카모토[3] 사양 | ||
| ||
부위 | 메이커 | 파츠 |
프론트 스포일러 | 엘리트 SPL | 프론트 스포일러 타입 Ⅱ |
리어 스포일러 | 이니셜D | 리어 스포일러[4] |
휠 | 이니셜D | 알루미늄 휠 (Gold) [5] |
머플러 | 이니셜D | 머플러 |
2.7.2. SWIFT Sport (ZC33S)
탑승 캐릭터 | 없음 |
파워트레인 | 직렬 4기통 1400cc 터보 (K14C) / FF / 6단 |
등장 버전 | AC |
기본 컬러링 | 챔피언 옐로, 버닝 레드 펄 메탈릭, 스피디 블루 메탈릭, 퓨어 화이트 펄, 슈퍼 블랙 펄, 프리미어 실버 메탈릭, 플레임 오렌지 펄 메탈릭 블랙 투톤 루프, 버닝 레드 펄 메탈릭 블랙 투톤 루프, 스피디 블루 펄 메탈릭 블랙 투톤 루프 |
유료 컬러링 | 없음 |
디 아케이드에서 추가된 스즈키의 근 20년만의 첫 추가 차량이자 두번째 차량. 원작에서도 스즈키 차량은 카푸치노 하나밖에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추가 차량이 없어도 팬덤에서 납득은 하는 분위기였으나, 워크스 660이나 스위스포(스위프트 스포트) 등 실제 공도 레이싱에서 볼 수 있었던 고성능 차량들이 있었기에 잊을 만하면 추가 차량 떡밥이 잠깐씩 돌기도 했었다. 그러던 중 디 아케이드에서 떡밥 차량 중 하나였던 스위스포가 추가되면서, 스즈키는 버전1 이후로 장장 20년만에 단일 차량 브랜드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4세대 ZC계 모델로서 섀시 코드는 2020년 이후 마이너 체인지가 된 후기형으로 보이나, 공식 홈페이지 및 인게임 모델링에서는 전기형처럼 리어 범퍼쪽에 후방 센서가 없는 모델링이라 정확한 사양은 불명이다. 실제 스위스포는 경스포츠카와 해치백 쿠페를 융합한 컨셉으로, 차체도 대폭 커지고 출력도 올라간 만큼 경스포츠카로서의 의미가 퇴색되었다는 평가를 들었다. 그러나 게임에서의 운동성능은 카푸치노의 성능의 연장선에 있는 또 다른 경스포츠카에 가깝다.
디 아케이드 추가 차량 중 유료 컬러링 라인업 자체가 없는 최초의 차량임과 동시에, 역대 추가 차량 중 최초로 투톤 컬러링을 지원하는 차량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디 아케이드 기준 투톤 페인트 지원 차량으로 86 시리즈와 S13에 이은 세 번째가 되었다.
3. 해외 메이커 차량
일본 내 고갯길(공도)를 메인으로 한 작품이니 만큼, 외제차가 등장하기에는 힘든 편. 다만 작품 내에서 지나가는 식으로 등장하긴 했으나 그것도 공도 레이스용 튜닝카가 아닌 일상 생활용 패밀리카나 트래픽으로 등장한 게 대부분이고, 원작에서는 외전을 통해 포르쉐 911이 한번 나온적이 있으며 이 외에도 원조교제를 하는 중년 아저씨가 타는 차량과 타카하시 형제의 집에 주차된 벤츠가 나온 적이 있다.게임에서는 레이서 다운 오너도 없는 외제차들을 굳이 넣을 필요가 없기에 ZERO까지 전부 일제 스포츠카들로만 구성했으나, THE ARCADE에서 결국 포르쉐[6]의 차량들이 출전하면서 해외 차량 메이커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비록 이니셜D이지만 후속작인 MF고스트의 등장 차량을 정식으로 편입시킨 것이기에 포르쉐를 비롯한 페라리, 람보르기니, 알파 로메오, 로터스 등의 메이커들도 추가될 가능성이 높아졌고 이는 알파 로메오 4C가 추가되면서 현실이 되었다.
3.1. 포르쉐
원작에서 중요 차량으로 등장한 적은 없지만, 완간 미드나이트 콜라보레이션 이벤트로 2021년 봄에 911 964가 등장하면서 개별 브랜드 단락으로 올라왔다. 이후 718 카이맨이 추가되면서 스즈키와 마찬가지로 등록 차량이 2대가 되었고, 이로서 이니셜 D 게임 내 등장 브랜드가 전부 로스터를 2대 이상 갖추게 되었다.3.1.1. 911 turbo 3.6 (964)
탑승 캐릭터 | 시마 타츠야[C] / 커플 드라이버[8] |
파워트레인 | 수평대향 6기통 3600cc 터보 (M64/50) / RR / 5단 |
등장 버전 | AC |
기본 컬러링 | 블랙, 그랑프리 화이트, 인디언 레드, 마리타임 블루, 스피드 옐로우, 폴라 실버 메탈릭 |
유료 컬러링 | 코랄, 라이트닝 옐로, 다크 퍼플 메탈릭, 베이사이드 블루, 블루 그린 메탈릭 |
|
원작에서의 모습 |
원작 33권의 외전 에피소드 '웨스트 게이트 2'에서 등장한 차량. 한껏 멋내는 부잣집 아들이 자기 여자친구와 탄 차량으로, 위장천공으로 죽을 지경인 후미히로를 병원에 데려가려는 타카하시 료스케의 폭풍 질주로 단 몇 컷 만에 사라진다. 이 광경을 보자 포르쉐의 오너는 "저건 분명 엄청나게 비싼 이탈리아 스포츠카일 것"이라고[9] 여자친구한테 둘러댔으나, 눈썰미 좋은 여자친구는 "뒤에 마쓰다라고 적혀 있던데..." 라고 말하며 남자친구의 기를 팍 죽여 놓는다.
완간 미드나이트에 등장하는 포르쉐 911 모델 또한 바로 이 964인데, 하도 비교를 많이 당하다 보니 시게노 슈이치가 장난삼아 넣은 것이라는 카더라가 신빙성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10] 다만 작중 묘사가 거의 없어 NA인지 터보 탑재 모델인지 불명.
그리고 이니셜D THE ARCADE의 완간 미드나이트 콜라보로 게임에 등장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아케이드 스테이지 시리즈에서 역대 최초로 일본 외 메이커 차량의 등장. 당연히 완간 미드나이트 사양인 3.6 터보 모델이다. 디폴트 튜닝은 시마 타츠야처럼 보그워너의 KKK 터보 튜닝이고, RWB 튜닝킷으로 자연흡기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단 이니셜D를 통틀어 최초의 RR구동계 차량이라 기존 FR이나 MR에 익숙한 플레이어들이 처음 타보면 하나같이 어색함을 느낄정도로 코너링 성능이 이상하게 짜여져 있다. RR구동방식 자체가 하중이동이 익숙하지 않으면 프론트의 접지가 날아가서 바로 스핀을 해버릴 정도인데 게임에서는 굳이 그렇게 민감하게 세팅하지 않았으나, 프론트의 접지력을 날아가는 느낌은 또 굳이 재현해서(...) 코너링 이후 재가속시 프론트와 리어가 제멋대로 요동치는 등 게걸음에 가깝게 움직여서 평가가 극과 극으로 갈린다. 쉽게 표현하자면 다른 차들은 저마다 일관된 세팅을 하고 있는데 이 차는 혼자서 피키/마일드를 오고가는 요상한 차량. 이후 991 GT3가 추가되며 극명한 성능차이를 보여준 탓에 인기가 저조하다.
3.1.2. 718 Cayman GTS (982)
탑승 캐릭터 | 미하엘 베켄바우어[C] |
파워트레인 | 수평대향 4기통 2500cc 터보 (M64/50) / MR / 6단 |
등장 버전 | AC |
기본 컬러링 | 화이트, 블랙, 가드레드, 레이싱 옐로, 카레라 화이트 메탈릭, 제트 블랙 메탈릭, 그라파이트 블루 메탈릭, 로듐 실버 메탈릭, 나이트 블루 메탈릭, 아게이트 그레이 메탈릭, GT 실버 메탈릭, 카민레드, 라바 오렌지, 마이애미 블루 |
유료 컬러링 | 없음 |
MF고스트와 콜라보로 출시한 차량이다. MF 고스트 작 중에서는 미하엘이 탑승하는 차량이지만 게임 내에서는 오너가 없는 차량으로 표시되며, 튜닝 시에는 미하엘의 튜닝과 동일한 오너 튜닝까지 구현되어 있다.
NSX에 이은 MR 추가 차량으로, 같은 포르쉐인 911과 비교하면 그래도 밸런스가 잘 잡혀서 안정성이 높은 차량. 다만 MR차량으로서는 나쁘지 않지만 명색이 포르쉐인데 전혀 포르쉐답지 않은 어정쩡한 성능이라 미드쉽 매니아들이 많이 실망했다. 대신 시즌2부터 MF고스트 차량들의 성능을 강하게 조정하면서 사다미네, 오다와라, 눈키나 등의 코스에서 특화를 먹는 등 포르쉐라는 밥값을 제대로 하게 조정되었다.
THE ARCADE 기준으로 기본 컬러 라인업이 제일 풍부하며, 그 반대로 유료 컬러링이 하나도 없다.
3.1.3. 911 GT3 (991)
탑승 캐릭터 | 이시가미 후진[C] |
파워트레인 | 수평대향 6기통 3600cc 터보 / RR / 6단 |
등장 버전 | AC |
기본 컬러링 | 거즈 레드, 레이싱 옐로, 블랙, 화이트 |
유료 컬러링 | 아게이트 그레이 메탈릭, 다크 블루 메탈릭, 앤슬라이트 브라운 메탈릭, GT실버 메탈릭, 아마란스 레드 메탈릭, 사파이어 블루 메탈릭, 라임 골드 메탈릭, 바사트 블랙 메탈릭 |
964와 같은 RR이지만 이쪽은 제대로 된 레이스용 차량인지라 코너링 성능은 이쪽이 확실한 상위 호환. 다만 이시가미가 미하엘에게 상당히 고전하면서 원숭이라고 까인것 때문인지 밸런스는 좋으나 딱히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중위권으로 랭크되었다. 그래도 신규 코스 마나즈루가 추가되면서 MF고스트 차량 강세화의 혜택으로 특화를 먹으며 고성능 차량으로 밸런스 패치를 받았다.
내장튠이 기존 NA메카튠이 아니라 NA 하이 메카튠으로 조금 다른데, 이는 실제 911 GT3 991의 초창기 모델이 높아진 회전수로 인하여 피스톤 컨로드나 볼트에 균열이 생기면서 엔진이 죽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기에 리콜 및 개선 사항이 있었음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13] 또한 이시가미 후진의 911은 전용 프론트 스포일러를 장착하고 있으나, 인게임 튜닝으로는 구현되지 않았다.
3.2. 알파 로메오
3.2.1. 4C (96018)
탑승 캐릭터 | 키타하라 노조미[C] |
파워트레인 | 직렬 4기통 1800cc 터보 / MR / 6단 |
등장 버전 | AC |
기본 컬러링 | 알파 레드, 화이트, 블랙 |
유료 컬러링 | 없음 |
MF고스트 추가 차량들의 공통점인 유료 컬러링이 없다는 점을 그대로 이어받았으나, 원래 알파 로메오 측이 제공하는 기본 컬러링이 별로 없다는 단점이 겹쳐져서 역대 이니셜D 게임 등장 차량 중 가장 컬러링 가짓수가 적은 차량이 되었다.[16]
3.3. 메르세데스-벤츠
3.3.1. Mercedes-Benz 190E (W201)
모기 나츠키의 원조교제 상대인 아저씨가 탑승하는 일반형 세단으로, 3세대 (W201) 모델이다. 영 매거진에서 제작한 PS1용 게임에 등장했으며 작중 아버지의 이름이 정확하게 등장하지 않은 관계로[17] 게임 중 이름은 PAPA로 표기되었다.
아무런 튜닝도 안 된 생짜 아저씨 세단 모델이므로 게임상 성능도 바닥이었으며, 그나마도 이니셜D 애니메이션에서는 190E가 아닌 E300 (W210) 모델이 등장하면서 완전히 흑역사화되었다.
당연하지만 아케이드 스테이지에서는 아예 등장하지 않는다. 옆동네에는 등장하는 기묘한 차량.
4. 컴플릿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컴플릿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컴플릿카#|]][[이니셜D/차량/컴플릿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튜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튜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니셜D/차량/튜닝#|]][[이니셜D/차량/튜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차량 라인업만큼이나 튜닝파츠 또한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다. 원작에서 특색있는 튜닝을 해 차량의 성향을 바꾸는 등의 원작 재현 및 실제 튜닝씬에서도 전투력 보강 및 성향 조율을 위해 행하는 여러 튜닝을 SP튠이라는 이름으로 튜닝 마지막에 행하는데, 이를 비교해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각 버전별 튜닝 파츠 및 팁은 해당 문서 참조.
[1] 일부 차량은 원작의 작화나 연출 문제로 실존하지 않는 튜닝이 되어서 이를 현실 고증에 맞게 반영한 경우도 있고, 반대로 원작에서 다 표현된 튜닝을 게임이나 애니에서 이상한 오리지널 파츠로 반영하는 경우도 있다. 차바차인 셈.[2] 혼다 항목에 나와 있듯 혼다는 도메이 고속도로 폭주 사건에 크게 데인 나머지 공도 레이싱 게임에 라이선스를 거의 안 내준다. 일렉트로닉 아츠, 마이크로소프트, 세가는 어찌저찌해서 이니셜D 등장 차량 시리즈까지는 허가를 받았지만, 나머지는 손 대기 곤란하다. 맥시멈 튠은 이보다 더해서 저 세 회사가 혼다 라이선스를 받는 와중에 고속도로 공도 레이싱이라는 이유로 오랫동안 퇴짜 맞았다.[3] 개인 소유의 자가용이 아니라 사이타마 지역의 레이서들이 돈을 모아 렌트한 차량이다. 상당한 수준의 튜닝이 되어 있고 랠리스트가 거칠게 몰아도 될 정도로 관리된 것을 감안하면 단순 렌트카 업체에서 빌린게 아니라 근처 튜닝샵에서 작업한 물건으로 추정된다. 사실상 튜닝샵 데모카 수준이라 봐도 무방하며, 작가가 참고용으로 취재하는 대부분의 차량들이 이런 튜닝업체나 경력이 긴 아마추어 튜너들의 튜닝카인 경우가 많다.[4] 엘리트 SPL제 리어 스포일러로 추정되나, 실제 파츠와는 조금 다른 형태를 띄고 있는 커스텀이며, 게임판에서는 같은 회사의 '리어 윙'이라는 다른 파츠도 등장하나 관련은 없다.[5] OEM 휠의 재도색 버전으로 추정되며, 게임판에서는 센터캡에 포인트가 들어간 오리지널 디자인으로 나온다. 취재용 튜닝 카푸치노에서 모티브를 따왔음을 감안하면 OEM 재도색 커스텀 휠로 추정된다.[6] 본래 완간 미드나이트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포르쉐 964가 등장했지만 원작에서도 등장한 바 있는 차량이였고, MF 고스트 관련으로 포르쉐 718이 추가되면서 정식 등장 메이커가 됐다.[C] 콜라보레이션 차량이므로 공식 홈페이지와 인게임 정보에서는 '없음'으로 표시된다.[8] 외전 에피소드 한정으로 등장한 엑스트라. 자세한 것은 후술.[9] 완간 미드나이트의 키지마 코이치의 모델인 후쿠노 레이이치노가 쿤타치는 고갯길에서 적수가 없다고 평을 내린 반면 테스타로사는 고갯길에서 힘을 전혀 못 썼다고 평가했다. 즉, 페라리는 후보군이 될 수 없다.[10] 자동차 모델도 그렇지만, 드라이버의 헤어스타일이 완간 미드나이트의 포르쉐 오너인 시마 타츠야와 비슷하다.[C] [C] [13] 911 모델들은 특유의 수평대향 구조로 인한 윤활유 쏠림+고회전화로 인한 엔진 부품들의 마모 가속이 겹쳐 엔진수명이 극도로 짧아지다 못해 비명횡사하는 경우가 은근히 많다.[C] [15] 최속 기록 기준 0.5초 미만 차이의 기록을 내며 배틀에서 실질 특화 성능을 낼 수 있는 성능.[16] 과거 아케이드 스테이지 시절 유료 컬러링이 없었을 때도 아무리 못해도 4가지의 색깔을 제공했었기 때문에, 4C의 3가지 색깔이 단독 최하위가 되었다.[17] 타쿠미와 같은 반 여학생인 딸내미 덕분에 시라이시라는 성씨가 밝혀지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