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스 시리즈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유니카 토바]]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니카 토바#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니카 토바#|]]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스 시리즈의 등장인물: }}}[[유니카 토바]]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니카 토바#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니카 토바#|]]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color=#fff> 길티기어 시리즈의 등장인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ee,#000>길티기어 | 솔 배드가이 · 카이 키스크 · 메이 · 밀리아 레이지 · 액슬 로우 · 자토 ONE (에디) · 치프 자너프 · 클리프 언더슨 · 포템킨 · 테스타먼트 · 저스티스 · 바이켄 · Dr.볼드헤드 (파우스트) |
길티기어 X | 미토 안지 · 베놈 · 죠니 · 쿠라도베리 잼 · 디지 | |
길티기어 XX | 브리짓 · 슬레이어 · 자파 · 이노 · 로보카이 · 아바 · 오더 솔 | |
길티기어 2 오버추어 | 닥터 패러다임 · 레이븐 · 신 키스크 · 이즈나 · 밸런타인 | |
길티기어 Xrd | 베드맨 · 레오 화이트팽 · 엘페르트 밸런타인 · 램리썰 밸런타인 · 잭 오 · 금혜현 · 앤서 | |
길티기어 STRIVE | 지오바나 · 나고리유키 · 골드루이스 디킨슨 · 해피 케이오스 · 아스카 R♯ · 유니카 | |
기타 등장인물 | 가브리엘 · 레오팔돈 · 레이몬드 · 샤론 · 아리엘스 · 어새신 조직 · 에이프릴 · 원로원 · 오리지널 맨 · 젤리피시 쾌적단 · 츠요시 · 크로우 · 딜라일라 · 네르빌 해머 · 치마키 | |
기타 등장인물 | }}}}}}}}} |
유니카 ユニカ UNIKA | |
| |
<colbgcolor=#ee1111> 신장/체중 | 167cm / 59kg |
혈액형 | 불명 |
출신지 | 불명 |
종족 | |
생일 | 3월 5일 |
취미 | 양념 치기 |
소중한 것 | 가족, 좋아하는 재킷, 오빠가 만들어준 팬던트 |
싫어하는 것 | 개, 문어 |
1. 개요
"더는... 도구가 아니니까. 모두에게 보답할게."
길티기어 시리즈의 등장인물.2. 인물 소개
<colbgcolor=#980300> | 갑자기 나타난 정체불명의 소녀. 기어에게 범상치 않은 적대심을 품고 있으며 모든 기어를 없애기 위해 획책한다. 그녀의 눈에는 무엇이 보이는 걸까―― GGSTDR 공식 사이트 캐릭터 소개 문구 |
<colbgcolor=#980300> | 울려 퍼지는 무구한 벽력 가변식 무장의 슈퍼 루키
GGST 공식 사이트 캐릭터 소개 문구 |
첫 등장인 듀얼 룰러즈에서 크로스보우 형태로 변형되는 둔기형 무기를 사용하는 모습이 공개되었으며 소환 법술을 통한 특이한 소환수를 뽑아내는 등 법력에도 능숙하게 그려졌다. 그리고 3화에서 전자기 방어막을 배리어 형태로 두르고 다닌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로 미루어봐서 주력 법력의 속성은 번개.
기어를 없애기 위해서라면 민간인 희생 역시 아랑곳하지 않는 극단적인 사상을 지니고 있으나 듀얼 룰러즈 1화에서부터 민간인을 휘말리게 하는 걸 바라지 않는다는 암시가 나왔으며 PV 내용[1]대로라면 실제로는 흑막격인 존재에게 장기말로 이용당하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트레이드 마크는 고글로 전투시 착용한다. 그 외에 날개를 지니고 있는데 비행도 가능하여 도주에 써먹는다. 이후 고글은 듀얼 룰러즈 5화에서 파손되고 STRIVE 본 게임에선 검은 헬멧으로 바뀌었다. 고글의 디자인이
2.1. 성우
<colbgcolor=#980300> | <colbgcolor=#fff>이시카와 유이 |
| 윤은서 |
| 에린 이벳 |
2.2. 테마곡
- CARPE DIEM : 길티기어 STRIVE[2][3]
{{{#!folding [ 가사 펼치기·접기 ]
Mistcloud down, king crossed out 안개가 꺼지며 왕이 물러갔고 Blazing new defiance crowned 저항적인 불꽃이 새 왕좌를 차지했지 Starless night, breathless bound 별 없는 밤의 숨 쉴 틈 없는 곳에서 Sunrise whispers "sacrifice" 여명이 희생을 속삭이네 Dreams and wake, no difference known 꿈과 현실은 그리 다르지 않다면서 Paths with no, divining light shown 내가 걷는 길에는 빛조차 보이지 않아 "RIP IT DOWN" they said "전부 쓸어버려" 그들이 말했지 Countless times 셀수도 없는 시간 동안 Can we stop the fire? 이 불길을 멈출 수 있을까? That is my core, strength and pride 내 중심이자 힘, 긍지인 것을 Turning back will only slow me down 뒤돌아보는 건 날 느리게 할 뿐이니까 Past sun, past moon 태양과, 달을 지나 Where I must be 내가 있어야 할 곳으로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The scales fall blind, hear the roar 비늘은 바랬지만, 포효를 들어라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Sunset!) (여명마저도!) March of the shock 충격의 행진 속에서 She lives hеr darkness 그녀는 자신의 어둠 속을 살아간다네 Through sun’s bright, courage found 태양 아래에서 용기를 찾았고 By the pain, slowing down 고통 속에서는 느려졌지 Counting thе stars, I drift off 별을 세면서 내 눈이 감길 때 That birdsong brings the color 새들은 그 색채를 노래했고 Eyes open and crack, moving onward 다시 눈을 떠 앞으로 나아갔을 때는 I face the open book, with my playwright 내가 써내려 갈 책이 보였었지 "RIP IT DOWN" they said "전부 쓸어버려" 그들이 말했지 Countless times 셀수도 없는 시간 동안 Can we stop the fire? 이 불길을 멈출 수 있을까? That is my core, strength and pride 내 중심이자 힘, 긍지인 것을 There was a knight like steel 거기엔 강철의 기사가 있었지 Unending ever strength 꺾이지 않는 긍지를 가졌기에 His star lost, his mighty state 그의 별이 사라져도 굳건했었지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The scales fall blind, hear the roar 비늘은 바랬지만, 포효를 들어라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Sunset!) (여명마저도!) March of the shock 충격의 행진 속에서 Doubt not your steel 네 검을 의심하진 마 Once a fool, I'll lead the way 한때는 내가 그들을 이끌었었지 Now a fool, I’ll walk beside 지금은 그들의 곁을 걸을 거야 "RIP IT DOWN" they said "전부 쓸어버려" 그들이 말했지 Countless times 셀수도 없는 시간 동안 Can we stop the fire? 이 불길을 멈출 수 있을까? That is my core, strength and pride 내 중심이자 힘, 긍지인 것을 (Carpe Diem) Like a knight of steel, standing right (오늘을 살아)정의의 편에 선 강철의 기사처럼 (Carpe Diem) Like a goddess with a human heart, show compassion (오늘을 살아)인간의 마음을 지닌 여신이 연민을 보여주는 것처럼 (Carpe Diem) A brother's smile, honest and pure (오늘을 살아)그 순수하고 솔직한 형제의 웃음이 Let that be your guide 너를 이끌게 놔둬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The scales fall blind, hear the roar 비늘은 바랬지만, 포효를 들어라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Burn the ground!) (전부 태워버려!) (Sunset!) (여명마저도!) March of the shock 충격의 행진 속에서 Change what doesn't change 변하지 않는 것 마저, 바꿔버리자고 Change what doesn't change! 변하지 않은 것 마저, 바꿔버리자고! | }}}3. 작중 행적3.1. 길티기어 STRIVE: DUAL RULERS1화에서 식장에 난입해 디지를 공격해 폭주를 유도한다. 다행이도 폭주는 카이가 디지를 진정시킴과 동시에 자신들을 결계로 봉인함으로서 저지했지만 소기의 목적인 카이와 디지의 결혼식은 무산시켰으며 뒤늦게 찾아온 신을 가볍게 떨쳐낸 뒤 도주한다.2화에서는 미합중국의 종전 기념제에 난입해 성전은 끝나지 않았다며 버논이 가지고 있던 대기어 섬멸병기의 가동 키를 빼앗지만[4] 때마침 난입한 솔과 신에게 열쇠를 다시 빼앗기고 그대로 도주하려다 신과 제대로 대결을 하게 되는데 접전 도중 몸이 검게 물들며 증폭된 힘[5]으로 신을 제압하고 난입한 바이켄까지 따돌려가며 도주한다. 하지만 진짜 목적은 가동 키의 사본을 만드는 것이었기에 소기의 목적은 달성하는데 성공한다. 이때 아버지라 부르는 존재와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나왔다. 3화에서는 가동 키 사본으로 대기어 섬멸병기[6]를 가동시킨다. 이후 이률리아에 섬멸병기를 사용하려고 준비[7]하지만 법력에서 발생되는 고유의 전자파를 추적해온 신[8]과 대치, 솔에게서 들은 이야기로 자신이 뭔가 굉장한 기어라서 그 힘으로 성전을 막아낼 수 있다며 설득하려는 신을 일방적으로 공격한다.[9] 이 과정에서 위치를 발각당해 이률리아에서 출격한 법력 병기와 맞닥트리고 이를 제압하는 과정에서 빈민가의 거주민들까지 휘말리게 만드는 상황 속에 자기 몸을 던져가면서까지 자신을 멈추려드는 신의 진심에 흔들리고 그 빈 틈을 노린 솔의 저격에 맞아 추락한다. 그러나 숨은 붙어있었고 죠니가 잠시 눈을 돌린 사이 모습을 감춘다. 이후 5화에선 망설이면서도 그럼에도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은 이것 밖에 없다며 신과 대치하나, 네르빌의 촉진제로 신의 바이러스가 활성화되며 유니카 역시 기어였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그러다가 솔이 네르빌을 제압하며 첨언을 하는데, 다름 아닌 미래에서 온 신의 여동생이었던 것. 즉 쿼터 기어.[10] 이 때문에 모든 기어에게 자살 명령이 강제적으로 신을 통해 퍼져 유니카 역시 죽을 위기에 처한다. 하지만 신이 남아있는 이성으로 유니카에게 죽지 말라고 손을 건네서 둘이 손을 잡아 죽음은 피했으나, 오히려 이로 인해 신과 유니카를 포함한 전 세계의 기어들이 명령의 충돌로 폭주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만다. 이후 먼저 폭주할 낌새를 보이나 완전히 폭주한 신의 공격으로 인해 결국 쓰러진다. 6화에서 출생에 대해 공개되었는데 미래의 네르빌이 바이러스 병기로 기어를 폭주시키고 그 결과 디지와 신이 가족상잔을 벌이게 된 끝에 공멸하지만 죽기 직전 디지는 임신하고 있던 아이를 알의 형태로 낳았는데 그 알에서 태어난 아이가 유니카였다.[11] 7화에서 미래의 네르빌이 후퇴한 직후 미합중국에 의해 중요 참고인으로 구금되었다. 하지만 자신이 세계를 멸망시키는 악행을 도왔다는 사실에 대해 충격이 컸는지 의기소침해진 상태로 신에게 위로도 받지만 기운을 차리지 못한다. 그러나 네르빌 분신의 공격에 브리짓이 중상을 입고 실려가는 것을 목격하고[12], 조금이라도 시간을 벌기 위해 자신을 대기어 섬멸병기로 쏘라고 요청, 날아온 공격을 자신의 힘으로 증폭시킨 뒤 자신의 무기로 발사해 방어결계를 뚫어버려 유효타를 입히고 자신은 미래의 네르빌에게 붙잡힌다. 8화에서 중추에 침입해온 신에 의해 가까스로 구조[13]되고 자신을 찾기 위해 신이 가지고 온 전자파 탐지기를 통해 미래의 네르빌의 핵(심장)의 위치를 발견, 신과 호흡을 맞춰 그대로 핵을 향해 돌격하고 고전 끝에 디지를 통해 전 세계의 기어가 힘을 실어준다는 기적이 일어나 승리... 하나 싶었지만 핵이 건재했기에 그대로 정신 공격에 삼켜질 뻔한다. 하지만 신과 함께 발버둥친 끝에 마침내 진짜 승리를 거두고 비록 자신이 태어난 시대는 아니지만 자신을 낳아준 부모의 품에 안기는 해피 엔딩을 맞는다. 비록 테러리스트 활동을 했지만 이차원 생명체로 명명된 미래의 네르빌을 토벌한 공적으로 상쇄할 수 있었으며 신병은 미합중국 정부에 당분간 맡겨지게 되었다.[14] 하지만 죄책감에 부모님의 결혼식에도 겉도는 모습[15]을 보이던 중 함께 석양이 지는 이률리아를 바라보다 서로 자기가 오빠/누나라고 유치하게 싸우기도 하고[16] 신이 아니었으면 죽었을 거라고 감사인사를 하는 등 평범한 남매다운 시간을 잠깐 가지고 좀 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성장하고 언젠가 자신이 저지른 죄를 속죄하기 위해 여행을 떠나기로 결심한 것을 말한 뒤 재회를 약속하며 포옹 후 길을 떠난다. 4. 타이틀별 성능4.1. 길티기어 STRIVE
| |||||||||||||||||||||||||||||||||||||||||||||||||||||||||||||||||||||||
참전 트레일러(한국어 더빙) | ||||||||||||||||||||||||||||||||||||||||||||||||||||||||||||||||||||||||
{{{#!folding 기타 언어 버전 ▼ | ||||||||||||||||||||||||||||||||||||||||||||||||||||||||||||||||||||||||
스타터 가이드 영상 |
발매 전 EVO JAPAN 2025 현장에서 캐릭터 시연이 가능하지만, 시점상 DUAL RULERS의 이후가 되어서 스포일러 금지 공지가 같이 안내되었다.
2025년 초에 벌어진 아크 시스템 워크스의 해킹사태로 인해 DLC 캐릭터들의 무브셋이 유출되었는데, 유니카는 애니메이션처럼 정크야드 도그를 닮은 대검을 사용한다. 이 무기는 평상시에는 호버형 오토바이처럼 타고 다니기도 하고, 안에 포신이 숨겨져 있어 원거리 공격 시 크로스보우 형태로 변형하여 전자포를 쏘거나(애니에서는 기어를 제거하기 위해 만든 고밀도의 법력 에너지를 쏘는 위성병기의 에너지를 흡수한 후 증폭하여 발포하는 사용법을 보여주었으며 XrdR에서 외할아버지가 오라토리오 성인을 받아낸 후 증폭시킨 것의 마이너 카피 혹은 오마쥬로 볼 수 있다.) 각성 필살기 시 봉뢰검으로 변형까지 한다.[17] 머리가 좋은 것은 솔,카이,디지를 모두 닮은 건지 솔의 특수 대사 중 공부는 특기인 모양이구나 라는 내용이 있다. 다만 아직 요령이 부족한 건지 이해 못한 채 통째로 외우지 말라는 핀잔 섞인 조언은 덤.
현재 솔이 사용하는 정크야드 독 안에 봉염검이 들어 있는 것과 유사하게 유니카의 무기 안에도 봉뢰검이 들어 있다는 점과 무기 외형 때문인지 미래의 솔이 유니카에게 만들어 줬을 가능성이 높다는 반응 또한 간간히 보이는 중이며 최근 추가된 솔의 신규 대사 중 하나에 무기 정비가 필요하면 말하라는 내용이 있어 간접적으로 인증됐다.
솔과의 연관점, 봉뢰검을 사용한 필살기에 대한 점은 스트라이브 인게임에서 언급이 될 듯 했지만, 신규 대사가 많이 추가된 8월 패치 이후에도 크게 부각되는 일은 없었다. 대신 코트의 주인이 옛 유니카의 은인이 남긴 유품이라는 새 떡밥이 추가되었다. 거기에 테마곡인 CARPE DIEM은 Holy Orders와 Awe of She의 선율이 섞여있어 유니카의 정체를 암시하고 있다.
출시 후 평가는 기존 스탠다드 캐릭터인 카이와 솔의 장점만 [18] 합쳐 놓은 듯한 캐릭터로, 초기 평가는 최상위 티어에 있는 오빠보다는 밀리긴 해도 일단 그 바로 밑 수준의 강력한 캐릭터일 거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그렇지만 이런 장점들이 무색해질 만큼 답답한 기동성, 대처가 쉽지는 않아도 어쨌거나 확실한 파해법이 존재하는 압박과 이지선다 등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발매 초기보다는 평가가 조금 하락했다. S 티어는 무리고 A~A+ 정도. 다른 건 몰라도 기동력이 부실하다는 점은 확실하게 이 캐릭터의 발목을 붙들고 있다.
사실 성능은 둘째치고, 캐릭터가 재미 없어서 손이 안 간다는 평을 많이 듣고 있다. 움직임이 굼뜬데 전체적으로 손쉽고 아주 스탠다드한 설계로 만들어져 있어서 금방 질릴 수밖에 없으니... 시즌 4부터 게임이 침체기에 접어든 걸 감안해도 유니카는 그다지 각광받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같은 시즌 4 캐릭터인 디지와 베놈은 최약캐 취급을 받고 있기는 해도 나름의 개성과 재미는 갖춘 것에 비해(적어도 베놈은 그러하다) 유니카는 적당히 강한 성능을 챙긴 대신에 재미가 없어서 외면받고 있다.
참고로 파우스트의 익사이팅 골절에 피격 시 카이와 비슷한 표정으로 얼굴이 일그러지는데, 심하게 망가지는 표정은 아니다. 그리고 파우스트에게 아프로 헤어가 되면 "아방가르드..."라고 말하는 걸 보면 취항이 좀 남다른 듯. 도발 모션으로 상대방을 평가하는데 레오를 보고 (머리카락이)푹신푹신해서 큐트하다고 하는 괴랄한 평을 내린 걸 보면 아마도...[19]
카이의 전용 승리 대사 중에 '신과는 다른 예리함이 갖춰져 있다'는 평가가 있다. 네르빌이 이용해 먹기 위해서 교육은 잘 시켜 놓은 듯 하다.
본편에서 여러모로 엮인 브리짓과는 인트로에서 누가 1p냐에 따라 3가지씩 6개의 특수 대화가 있으며, 추가로 특수 승리 대사가 브리짓에 둘, 유니카에 하나 배정되어 있다.
이 외에 배정받은 색상 중에는 카이와 비슷한 컨셉이 있는데, 이걸 선택하면 카이에게 물려받은 외모가 확실하게 드러나는 게 엿보인다.
[1] 2화에서 솔과 버논 대통령의 회화 내용인 유니카는 단독범이 아니다라는 사실로 실제로 2화에서 미합중국군 복색의 신원불명자들이 카이와 디지가 봉인된 결계를 폭파하려다 램리썰과 엘페르트에게 저지당했다.[2] 유출된 코드 상에서는 유니카의 캐릭터 테마곡 제목이 Carpe diem으로 되어있으나, 유출한 4chan에서는 Burn the ground라고 적어놨다. 이후 정식으로 공개된 곡명은 Carpe diem으로 확정됐다.[3] Holy orders, Awe of she, Radiant dawn 등 키스크 가문의 테마곡 대부분이 레퍼런스로 들어가 있다.[4] 이때 버논에게 이대로면 제2차 성전이 발발할거라고 말하며 기어를 섬멸해야 한다고 한다.[5] 직전에 양측이 자신과 똑같은 움직임이라고 놀라는 것, 그리고 서로의 유년기로 추정되는 과거의 환상을 본 것과 마찬가지로 떡밥으로 볼 수 있고, 신의 능력도 힘을 끌어올린 유니카와 유사하게 검붉은 번개인 점을 감안하면 그동안 공개되지 않은 신의 떡밥이 풀릴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그리고 이는 5화에서 유니카가 미래에서 온 신의 여동생이라는 사실로 일부 해소됐다.[6] 궤도위성 병기였다. 솔의 설명에 따르면 과거 성전 당시 배치되었던 녀석이라고 한다.[7] 본인도 하고 싶지 않은 듯 눈을 질끈 감으며 고뇌하고 있다.[8] 솔은 서포트를 위해 가까운 폐빌딩에 잠복했다.[9] 이때의 모습을 보면 지금까지는 신이 기어라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어서 적당히 상대하고 도주했는데 신이 기어라는 사실을 듣고 폭주한 것으로 그려지며 반면 신은 유니카와 싸울 생각이 없어서 방어만 하면서 얻어맞는다.[10] 그것도 신과 동일한 지배형 기어. 다만 명령권은 오빠인 신보다 하위로 보인다. 이를 알고나서 보면 은근슬쩍 유니카가 기어라는 암시가 꽤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11] 이러면 디지, 카이, 신 모두를 알아보지 못한 것도 설명이 된다. 당시 정황을 고려해보면 카이는 이미 사망한 상황이었을테고 디지도 유니카를 낳은 직후 사망했고 신은 디지와 공멸했으니 태어나서 친가 가족 얼굴을 한 번도 보지 못하고 자란 것이다. 그러나 유일하게 솔은 2화에서 첫 조우 시 알아보는 모습을 보였는데, 유니카가 쓰고 있는 무기와 관련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간간히 보이는 중.[12] 여기서 유니카가 상당히 절규하며 충격을 받는다.[13] 구조되기 직전에는 과거 네르빌에 의해 멸망해버린 미래에서 자신과 함께 언젠가 세상 전부를 구해내자고 상냥하게 말하던 네르빌을 떠올리고는 거짓말쟁이라며 남은 미련을 털어내는 모습을 보인다.[14] 이런 신병을 반영한 듯 STRIVE에서 같은 미합중국 인물(지오바나, 골드루이스)과 전용 대사가 존재한다.[15] 반면 유니카 때문에 고생했던 죠니, 바이켄은 당시의 유니카가 네르빌의 도구로 움직이고 있었음을 이제 알기에 오히려 위로해주었다.[16] 물론 평범하게 생각하면 신이 오빠지만 유니카가 육체적 연령은 더 높다고 자기가 누나라고 주장했다.[17] 해당 각성 필살기의 명칭은 이후 웨폰즈 프리로 밝혀졌으며 봉뢰검을 쥐면 머리가 길어지고 원래 없었던 꼬리가 나오는 등 전체적인 외형이 디지와 흡사해진다.[18] 솔보다 콤보 난이도는 훨씬 낮은데 텐션을 쓰지 않은 콤보 데미지도 큰 차이가 나지 않을 뿐더러 강화 메가데스 버스터를 콤보에 넣으면 솔을 넘어 골드루이스, 슬레이어급의 콤보 데미지가 나온다. 또한 카이의 장점인 준수한 중거리 포킹과 하단 능력을 비슷하게 계승했다. → + P의 성능이 카이보다 떨어지지만 그 대신에 유턴디퍼라고도 불리는 A.T.T.G. Penetrate가 걸출한데, 강화 시 막타가 다단 히트가 되고 불리 프레임도 -3밖에 되지 않을 뿐더러 사용 후 본인이 앞으로 미끄러지지 않아서 딜레이 캐치를 거의 당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솔과 카이의 장점 위주로 계승한 것.[19] 그런데 레오는 램리썰이나 지오바나마저도 반하는 등 의외로 작중에서 여성 캐릭터들의 주목을 많이 받고 있다(...). 유니카의 취향이 독특한 게 아니라 이 세계관에서는 듬직하고 마초적인 이미지의 남성이 인기 있는 것일지도? 당장 주인공부터가 꼴마초 하드보일드 떡대 아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