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00:15:03

길티기어 STRIVE: DUAL RULERS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길티기어 STRIVE]]{{{#!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길티기어 스트라이브: 듀얼 룰러스 (2025)
GUILTY GEAR STRIVE: DUAL RULERS
<nopad> 파일:길티기어 STRIVE DUAL RULERS 키 비주얼.pn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장르 SF, 액션
원작 아크 시스템 웍스길티기어 STRIVE
캐릭터 원안 이시와타리 다이스케
감독 모리카와 시게루(森川 滋)
부감독 이시카와 신페이(石川真平)
모리타 히로시(森田紘吏)
시리즈 구성 카이호 노리미츠
각본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챠노하라 타쿠야(茶之原拓也)
하치모리 유카(八森優香)
Joseph Shin
미술 감독 아라이 카즈히로(荒井和浩)
색채 설계 이시바시 미유(石橋名結)
촬영 감독 오쿠무라 다이스케(奥村大輔)
편집 히다카 하츠미(日髙初美)
음향 감독 오오테라 후미히코(大寺文彦)
음향 제작 매직 캡슐(マジックカプセル)
음악 타카하시 료(高橋 諒)
음악 제작 업드림(アップドリーム)
제작 키도오카 미노루(木戸岡 稔)
야스이 카즈나리(安井一成)
아라이 히로아키(新井宏明)
우사 요시키(宇佐義大)
아사쿠라 나루미(朝倉成巳)
프로듀서 미야우치 켄(宮内 健)
코바야시 다이스케(小林大介)
우츠노미야 히로토(宇都宮裕人)
후쿠라 케이(福良 啓)
오오누키 유스케(大貫佑介)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호즈미 쇼타(保住昇汰)
마츠우라 히로아키(松浦裕暁)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 미즈시마 세이지
애니메이션 제작 산지겐
제작 Project 길티기어 스트라이브 DR
방영 기간 2025. 04. 05. ~ 방영 중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MX / (토) 22: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맥스 코리아 / (일) 00:00
파일:투명.png 애니플러스 / (수) 00:00
스트리밍
[[Laftel|
LAFTEL
]]
#!if 링크 != null
[[https://laftel.net/item/42786|▶]]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laftel.net/ite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laftel.net/item/|▶]]
#!if 주석2 != null
^^^^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언어)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주제가
5.1. OP5.2. ED
6. 회차 목록7. 해외 공개
7.1. 대한민국
8. 평가
8.1. 방영 전8.2. 방영 후

1. 개요

아크 시스템 웍스의 대전 격투 게임 길티기어 STRIVE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모리카와 시게루, 방영 시기는 2025년 4월.

2. 공개 정보

2024년 6월 14일,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

2.1. PV

티저 PV
메인 PV

2.2. 키 비주얼

파일:길티기어스트라이브_애니티저비주얼(재).jpg 파일:길티기어 STRIVE DUAL RULERS 키 비주얼.png
<rowcolor=#373a3c,#dddddd> 티저 비주얼 메인 비주얼

3. 줄거리

두 개의 톱니바퀴가 향하는 곳은
종언의 미래인가ㅡ

극도로 발전했던 과학기술의 시대가 저물고,
새로운 에너지 '법력'의 시대가 도래한다.

인류는 금단의 생체 병기 「기어」를 탄생시켰고,
태어난 기어들은 얼마 안 있어 인류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이후 발발한 성전이라는 이름의 생존 전쟁.
인류는 전쟁에서 승리하게 되지만 전쟁은 큰 희생을 남겼고,
종전 후 수십 년의 시간이 흘러도 사람들의 상처는 아물지 않았다.

인간과 기어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ㅡ 신 키스크는,
아버지 카이와 어머니 디지의 결혼식장으로 향하고 있었다.
그것은 금기 중에서도 금기였던 인간과 기어의 결혼.
평온한 세상임에도 오랜 시간을 들여 실현한 결혼식이었다.

많은 감정이 교착되어 있었지만, 축복이 넘치던 결혼식.
그곳에 돌연, 수수께끼의 소녀가 나타난다ㅡ

기어의 피를 이을 숙명을 타고난 아이.
그리고 기어를 증오하는 수수께끼의 소녀.

그들의 재회는, 세계를 뒤흔드는 것이었다.
애니맥스 코리아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길티기어 STRIV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길티기어 STRIV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길티기어 STRIVE#등장인물|등장인물]][[길티기어 STRIV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GGST logo.webp
플레이어블 캐릭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기본 보유
시즌 1 추가
시즌 2 추가
시즌 3 추가
시즌 4 추가
{{{#!wiki style="margin: 0 -1px -11px; font-size: .9em;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em;"
파일:strivesol.jpg파일:striveky.jpg파일:strivemay.jpg파일:striveaxl.jpg파일:strivechipp.jpg
솔 배드가이카이 키스크메이액슬 로우치프 자너프
파일:strivepotemkin.jpg파일:strivefaust.jpg파일:strivemillia.jpg파일:strivezato.jpg파일:striveramlethal.jpg
포템킨파우스트밀리아 레이지자토 ONE램리썰 밸런타인
파일:striveleo.jpg파일:strivenagori.jpg파일:strivegio.jpg파일:striveanji.jpg파일:striveino.jpg
레오 화이트팽나고리​유키지오바나미토 안지이노
파일:goldlewissicon.jpg파일:jackoicon.jpg파일:happychaosicon.jpg파일:strivebaikenicon.jpg파일:strivetestamenticon.jpg
골드​루이스 디킨슨잭 오해피 케이오스바이켄테스타​먼트
파일:ggst브리짓아이콘.jpg파일:ggs신아이콘.jpg파일:ggstbedman.jpg파일:아스카 아이콘.jpg
브리짓신 키스크베드맨?아스카 R♯
파일:GGST죠니아이콘.jpg파일:스트라이브 엘페르트.jpg파일:스트라이브 아바 아이콘.png파일:스트라이브 슬레이어 아이콘.jpg
죠니엘페르트 밸런타인A.B.A슬레이어
파일:스트라이크 퀸 디지 아이콘.jpg파일:스트라이브 베놈 아이콘.jpg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퀸 디지베놈유니카루시}}}}}}}}}
<rowcolor=#373a3c,#dddddd> 등장인물 성우
신 키스크 미야자키 잇세이
솔 배드가이 나카타 죠지
유니카 이시카와 유이
카이 키스크 쿠사오 타케시
디지 후지타 카즈에
잭 오 이가라시 히로미
엘페르트 밸런타인 스자키 아야
램리썰 밸런타인 한 메구미
브리짓 이와미 마나카
바이켄 아사노 마유미
죠니 와카모토 노리오
레오 화이트팽 이나다 테츠
액슬 로우 난바 케이이치
버논 칼라 엔도 준이치[1]
내레이션 스기타 토모카즈[2]

5. 주제가

5.1. OP

OP
AXCLUSION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ulma sound junction
작사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이시카와 신페이(石川真平)
연출
CG 디렉터
}}}}}}}}} ||

5.2. ED

ED
在処
있는 곳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Nowlu
작사
작곡 쿠레하 류이치(クレハリュウイチ)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이케다 신스케(池田新助)
연출
애니메이션
}}}}}}}}} ||

6.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3] 각본 콘티 연출 CG 디렉터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式典 -Ceremony-
식전 -Ceremony-
카이호 노리미츠 오카 코즈에
(岡こずえ)
사사키 켄타
(ささきけんた)
코바야시 코타로
(小林耕太朗)
마에다 유키
(前田雄輝)
오오시마 치사토
(大島千学)
오오모리 다이치
(大森大地)
하야시 쇼코
(林 翔子)
모리카와 시게루
(森川 滋)
오오모리 다이치 오오미네 세이야
(大峰誠也)
미시마 유키
(三島夕季)
나카타니 렌
(中谷 連)
챠노하라 타쿠야
(茶之原拓也)
하치모리 유카
(八森優香)
Shin Joseph
- 日: 2025.04.05.
韓: 2025.04.06.
제2화 平和への信念 -Belief in Peace-
평화에 대한 신념 -Belief in Peace-
시게노부 코우
(重信 康)
사사키 켄타
오가와 코타로
(小川浩太朗)
이시카와 신페이
(石川真平)
코바야시 코타로
마에다 유키
오오시마 치사토
오오모리 다이치
董蘇健
모리카와 시게루
오가와 코타로 미시마 유키 日: 2025.04.12.
韓: 2025.04.13.
제3화 羽根の生えた天使さま -A Soaring Angel-
日: 2025.04.19.
韓: 2025.04.20.

7. 해외 공개

7.1. 대한민국

파일:애니맥스 코리아 로고.svg 신작 시간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5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colcolor=#fff> 시간
07​:30
08​:00
09​:30
17​:00 {{{#!wiki style="margin: -6px -10px; font-size: 8pt; font-weight: bold; text-align: left; color: transparent"
18​:30 [[베이블레이드 X(만화)/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한민국|{{{#!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brder: 2px Solid #a2ff1f; brder-radius: 12px; backgrund: black; clor: white"
19​:00
파일:포켓몬스터 리코와 로드의 모험 로고.png
20​:00
21​:30
22​:00
23​:00
24​:00 마에바시 위치스 닌자와 암살자의 동거 바이바이, 어스 2 길티기어 STRIVE:
DUAL RULERS
25​:00 착각하는 공방주
~영웅 파티의 전 잡무 담당이,
실은 전투 이외가
SSS 랭크였다는
흔히 있는 이야기~
26​:00
26​:30 나는 성간 국가의 악덕 영주!
27​:00
{{{#!wiki style="margin: 0px -10px; 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 -15.5px -10px" 파일:Checklist.png채널 번호표 파일:TVING 로고.svg
무료 스트리밍
파일:wavve 로고.svg
유료 스트리밍
}}}
}}}}}}}}} ||



한국에서는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2025년 2분기 동시방영작으로 들여와 자막으로만 방영한다.[4] 담당번역은 류두진, 검수 윤가영, 종합편집은 박상현이 맡았다.

8. 평가

8.1. 방영 전

블레이블루 알터 메모리 이후 간만에 나오는 아크 시스템 웍스대전 격투 게임 원작 애니메이션이며 길티기어 시리즈가 대전 격투 게임 중에서도 인기 있는 작품군인 만큼 애니화 소식에 고무적인 반응이 많다. 제작사가 산지겐인 것으로 보아 CG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될 것으로 보이며, 감독인 모리카와 시게루와 어소시에이트 프로듀서 미즈시마 세이지[5] 모두 CG와 메카 및 SF 연출을 특기로 하는 만큼 퀄리티는 보장될 것으로 보인다. 우려점이라면 모리카와 시게루 감독은 원작대로 안 만드는 성향이 있으며 시리즈 구성인 카이호 노리미츠는 과거 길티기어 X의 소설판을 썼던 인물이지만 애니메이션 각본가로서는 감독빨을 심하게 타고 결말을 내던지는 경향이 심해서 그렇게 평가가 좋지는 못하다는 것이다.

기대할 수 있는 점은 모리카와 시게루, 카이호 노리미츠는 둘 다 길티기어 프로젝트에 손을 대본 적이 있고, 미즈시마 세이지가 스토리도 손을 댄다고 공언한 점이다. 미즈시마는 밋밋한 작품을 만든 적은 있어도 납득하지 못할 정도의 스토리는 만든 적이 없다. 나오기 전까지는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작품이다.

한편 키 비주얼의 의 머리카락이 짧고 헤드기어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모습 때문에 본작의 시점은 길티기어 STRIVE 스토리 엔딩 이후가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 이후 본 작품에서 등장하는 신캐릭터 유니카가 2025년 봄 길티기어 STRIVE 시즌패스 시즌4의 3번째 캐릭터로 본작에 참여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길티기어 STRIVE 시즌패스 시즌4와 연관이 있는 스토리로 보인다.

8.2. 방영 후

방영 전 우려대로 평가는 좋지 못하다. 과장된 억양과 서로 이어지지 않는 호흡, 중간 중간 튀어나오는 내레이션으로 인해 통상적인 애니메이션의 대화라기보다 단순히 격투 게임의 대사들을 이어놓은 듯한 느낌을 준다. 액션 외에는 대부분의 연출이 뜬금없는 것도 지적받는다. 또한 캐릭터 소개나 세계관 설정을 묘사나 대화로 연출하는 대신 내레이션으로 간단하게 언급하고 지나가는[6] 등 원작이 있는 작품, 그것도 장기 시리즈의 애니메이션에서 흔히 생기는 문제점인 원작을 모르는 이들에 대한 불친절함도 크게 다가오는 편이다.

[1] 기존 성우 야나다 키요유키가 사망하여 교체되었다.[2] 아스카 R. 크로이츠의 성우다.[3]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4] 원작 게임이 한국어 음성을 지원하는데, 애니판인 이 작품도 더빙이 고려될지는 미지수.[5] 공교롭게도 미즈시마는 블레이블루 알터 메모리에서 감독 협력으로 참가한 적이 있고 이 작품은 제대로 망해버렸다.[6] 1화는 캐릭터 기본 설정만 가볍게 짚는 수준이었으나, 2화에서는 '솔 배드가이에겐 배덕의 화염이란 게 있었으나, 지난 싸움에서 그걸 잃었다', '솔 배드가이와 버논 칼라는 지난 싸움이 계기가 되어 친분이 있는 사이다' 등등 온갖 복잡한 정보를 캐릭터 대화 하나 없이 내레이션 몇 줄로 빠르게 설명하고 넘기고 있어서 이야기의 흐름은 갑자기 끊기고 피로감은 심해진다. 대신 짧은 분량 안에 어떻게든 원작의 지난 시리즈를 모르는 사람들도 이해할 수 있게 노력하고 있다고 볼 수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