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19:53:38

웡박칸

Tabe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31815><tablebgcolor=#231815> 파일:Anyone's_Legend_darkmode.pngAnyone's Legend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231815><colcolor=#fff> 감독 [[웡박칸|웡박칸
Tabe
]]
코치 [[양중허|양중허
Xiaobai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중국 국기.svg [[리쉬안쥔|리쉬안쥔
Flandr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용|이승용
Tarza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중국 국기.svg [[추이샤오쥔|추이샤오쥔
Shanks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crwn.png 파일:중국 국기.svg [[왕제(프로게이머)|왕제
Hop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진홍(프로게이머)|김진홍
Kael
]]
LPL 참가팀 로스터 }}}}}}}}}

<colbgcolor=#231815><colcolor=#fff>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nopad> 파일:Tabe_AL.png
'''Anyone's Legend [[감독#s-2|
]]
{{{+1
Tabe'''}}}[1]
웡박칸 (王柏勤[2] | Wong Pak-Kan)
출생 1991년 1월 18일 ([age(1991-01-18)]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홍콩|{{{#!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홍콩}}}{{{#!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지션 서포터[3]
소속
[펼치기 · 접기 ]
Invictus Gaming
(2011.08.02 ~ 2012.07)
Noah's Ark
(2012.07.25 ~ 2012.08.26)
Oh My God
(2012.08.26 ~ 2012.10.17)
Royal Club
(2012.10.08 ~ 2013.03.13)
Royal Club
(2013.05.28 ~ 2013.10.13)

Point Gaming 코치
(2014.02 ~ 2014.06.06)
Vici Stand Gaming 감독[4]
(2014.06.06 ~ 2014.09.09)
Vici Potential Gaming 감독[5]
(2014.06.06 ~ 2014.09.09)
Stand Point Gaming 코치
(2014.09.09 ~ 2014.12)
Invictus Gaming
(2016.04.13 ~ 2016.12)
Hong Kong Attitude 감독
(2017.05.16 ~ 2018.05.31)
Team Afro 코치
(2018.06.26 ~ 2018.11.04)
KaBuM! e-Sports 코치
(2018.12.14 ~ 2019.03.27)
Royal Never Give Up 분석관
(2019.12.16 ~ 2020.12.17)
Royal Never Give Up 감독
(2020.12.17 ~ 2021.12.16)

Royal Never Give Up 코치
(2021.12.16 ~ 2022.12.22)

Royal Never Give Up 감독
(2022.12.22 ~ 2023.02.03)
Bilibili Gaming Pingan Bank 감독
(2023.03.29 ~ 2023.12.05)
Anyone's Legend 감독
(2024.03.19 ~ )
1. 개요2. 주요 경력3. 선수 경력4. 지도자 경력5. 평가
5.1. LCK 팀 상대로 우세5.2. 웡박칸에 대한 언사
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홍콩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PLAnyone's Legend 감독. 선수 시절 포지션은 서포터.

2. 주요 경력

우승 경력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우승
Top Esports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우승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JDG Intel Esports Club
2025 LoL Pro League Split 2 우승
Top Esports Anyone's Legend 미정
2022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Royal Never Give Up Royal Never Give Up JDG Intel Esports Club
2024 Demacia Cup 우승
Bilibili Gaming DreamSmart Anyone's Legend 미정
준우승 경력
2023 LoL Pro League Spring 준우승
Top Esports Bilibili Gaming Pingan Bank LNG Esports
2023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T1 Bilibili Gaming Pingan Bank Bilibili Gaming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3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Azubu Frost Royal Club Star Horn Royal Club

3. 선수 경력

2011년 8월부터 2012년 7월까지는 Invictus Gaming의 원딜로 활약했으며 이 때는 애쉬와 베인으로 유명하였다. 이후 Noah's Ark로 옮기면서 서포터로 포지션을 변경.

이후 OMG에 들어가는데, 당시 팀 숙소에서 자신의 백인 여자친구와 함께 동거하기 위해 여자친구를 봉급을 받는 팀 매니저 자리에 앉히고, 자신과 여자친구는 숙소에서 가장 크고 좋은 침실을 차지했다고 한다. Tabe만 그런게 아니라 절친인 Wh1t3zZ도 마찬가지로 여자친구를 데려와서 동거(…). 이렇게 좋은 방 4개가 차버린 덕분에 당시 OMG의 다른 멤버들은 비좁은 공부방 같은 곳에서 생활해야 했다는 모양이다. Cool 같은 경우는 지붕 밑 다락방이었다고. 그리고 Wh1t3zZ가 팀 내에서 불화를 일으키고 쫓겨나게 되자, 'Wh1t3zZ가 나가면 나도 나간다. 그게 싫으면 나머지 애들(Gogoing, San, Cool)을 잘라라.'라고 팀에 요구.

결국 OMG에서 2달 만에 잘리고 Royal Club으로 이적했다. 하지만 여기서도 반 년 만에 은퇴 선언. 미래를 생각해야 할 나이에 프로게이머는 돈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였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 e스포츠계에 대한 불만은 이때부터 싹트기 시작한 모양. 하지만 우지가 새로운 영입된 서포터들과 갈등을 일으키는 통에[6] 로얄 클럽 CEO의 부탁으로 결국 2달 뒤에 다시 돌아왔다.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3 월드 챔피언십에서는 애니와 카시오페아와 같은 비주류 서포터들을 사용하는 뛰어난 플레이로 팀의 준우승을 견인했다. 그리고 유창한 영어실력과 언변으로 인해 자신의 이름을 알리는 데 성공하면서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로부터 인기를 쌓게 된다.

하지만 월즈 이후 화이트찌찌와 함께 은퇴를 선언했는데, 이 은퇴 선언이 중국 프로게이머들의 부당한 대우 때문이라는 것이 알려져서 중국 내에서도 꽤 잡음이 많다. 중국 프로게이머들은 팀에게서 한 달에 한국 돈으로 백만 원 가량을 월급으로 받고 대회 상금의 일부를 받는 구조다. 추가 수입을 올리고 싶어도, 중국 게임 협회 에이스가 창립되고 모든 프로게이머들의 부업 금지령을 내렸다. 에이스는 그것 외에도 중국의 도타 2 선수들의 해외 대회 출전을 금지해버리는 한창 막장때의 케스파가 하던 짓을 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중국 e-스포츠 판에서 해설자나 인기 BJ들은 개인 방송이나 게임 강좌, 자신의 이름을 건 쇼핑몰 등으로 한국 돈으로 수억 원대 수입을 올리고 있으니, 곧 결혼하는 타베에게는 수입이 더 많은 해설자나 BJ를 하기 위해서 은퇴한다고 했다. 중국 프로게이머들의 열악한 환경에 대한 이야기.

타베는 불이익을 받을 것을 알고서도 중국 협회의 부당한 행위를 폭로했는데, 본인도 은퇴 결정이 확실해서 폭로할 수 있었다고 한다. 문제는 타베도 협회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은 잘 모른다는 점이다, 즉 협회 내부가 얼마나 부패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몬테크리스토도 인터뷰를 하며 타베같은 사람들이 e-스포츠 업계에 꼭 필요하고, 더 많아져야 업계의 앞날이 밝다고 했다.

하지만 타베의 바른 말이 눈에 거슬렸는지 중국 협회는 이런 타베를 중국활동 영구 정지 및 중국 프로 자격 영구 박탈을 선언했다. 인간성 하나만큼은 본받을 여지가 충분한 프로게이머인데 그런 협회의 처사에 사람들은 크게 분노하는 중.

다만 위에 있는 내용들은 사실 타베 쪽 입장에 대해서 언플한 것에 가깝다. 왜냐하면 위의 OMG 사건을 보면 알겠지만, 타베 본인도 인간성이 그렇게 좋은 사람은 아니며, 로얄 클럽에서 은퇴하겠다는 것도 함께하자고 맹세한 Whitezz의 통수를 반쯤 치고 나간 것이기 때문이다. 순박하게 생겼지만, 인간성이 훌륭하다고까지는 결코 표현할 수 없다.

4. 지도자 경력

영구 제명 이후 타베는 새로운 팀을 만들고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한때 월드 엘리트의 전략 분석가인 Abu와 정글러 Clearlove, 서폿 Fzzf와 Positive Energy (PE)의 서폿 Sicca를 영입하였다고 했었으나 루머로 드러났었다. 정작 이들은 전혀 다른 팀인 EDG로 합류.

파일:WhatsApp-Image-2019-04-30-at-23.35.37-1068x712.jpeg.jpg
이후 중국은 물론이고 대만과 홍콩, 심지어 브라질까지 여러 지역의 팀의 코치직을 맡았다.

4.1. Royal Never Give Up

2020년부터 RNG의 분석관으로 부임했고 전임 감독인 마타가 팀을 떠난 이후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부임 첫 시즌인 2021 LPL 스프링에 우승컵을 들어올렸는데, 선수 시절 못 이룬 우승을 감독으로서 해내면서 자신의 코칭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으나 하필 그 시점에 여권이 만료되는 바람에 아이슬란드에 못 가게 됐다. 출국할 수 있도록 여권을 갱신하려면 검역 절차 상 홍콩에 무려 28일간 체류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 그리고 MSI 2021 결승전에서 라이엇의 편파적인 운영으로 가장 수혜를 본 팀이 되었는데 대놓고 특혜 요청을 했던 주제에 자신들이 더 손해 봤다는 궤변을 내세우며 전세계 규모로 욕을 먹고 있다. 정작 본인은 여권 문제 때문에 오지를 못했는데도 말이다.

서머 시즌에는 4위에 그치고 플옵에서도 LNG에게 업셋을 당해 선발전으로 굴러 떨어졌다. 다행히 2021 월즈 선발전에서는 Team WE를 이기고 2021 월즈 진출을 확정지었으나, 이번에는 여권 발급 문제[7]로 또 아이슬란드에 같이 향하지 못하게 되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팀도 LPL 내전 끝에 EDG에게 패배하여 8강에서 탈락했다.

2022년에는 EDG의 월즈 우승을 이끈 켄주가 RNG 감독으로 오면서 코치로 보직이동을 하게 되었다. 코치로서도 팀의 스프링 시즌 우승으로 2년 연속으로 팀의 MSI 진출을 이끌었고 비록 특혜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지만 2022 MSI에서도 LCK 전승 우승팀인 T1을 꺾어버리고 2년 연속 MSI 우승을 달성했다. 또한 이 우승으로 RNG는 MSI 최다 우승팀이 되었다.

하지만 서머 시즌 개막 직전에 BLG로 갑작스레 이적하는 상황이 벌어졌고 지난 해에 이어 또 정규 시즌 4위에 5위였던 EDG에게 업셋을 당하면서 또 월즈 선발전으로 굴러떨어졌다. 선발전 1R에서도 EDG에게 패배하여 스프링과 MSI를 우승하고도 월즈에 오지 못할 뻔하기도 했으나 다행히 LNG를 꺾고 2022 월즈 진출을 이끌긴 했다. 그렇게 진출한 월즈에서 MSI에서 꺾은 T1에게 0:3 패배로 완벽하게 설욕당해 또 다시 8강에서 짐을 싸야 했다.

2023년에 켄주가 RNG를 떠나면서 다시 감독직에 앉았으나 개막 이후 팀이 1승 2패에 빠진 상황 속에서 2월 3일 RNG와 계약이 해지됐다. 사실상 경질당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4.2. Bilibili Gaming Pingan Bank

같은 해 3월 23일, BLG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리고 작년에 RNG에서 지도했던 빈과 다시 재회하게 되었다.

부임하자마자 LPL 스프링 플레이오프에서 JDG를 제외한 모든 팀들을 잡아버리고 결승행을 이끌어 미라클런을 실현시켰으나 아쉽게도 결승전은 또 다시 JDG에게 3:1로 패배하여 준우승에 머물렀다. 그래도 2팀 진출할 수 있는 MSI의 바뀐 규정으로 인해 BLG는 창단 이후 처음으로 국제전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2023 MSI에서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GG에게 1세트를 내주면서 조금은 불안한 모습을 보이며 평가가 떨어졌으나 C9을 상대로는 3:0으로 승리하며 JDG와의 내전이 성사되었고 엘크가 나쁜 의미로 원딜 차이를 보이며 3:0으로 패배하며 패자조로 떨어진다.

브라켓 스테이지 하위권 2라운드에서 G2를 3:1로 잡아냈으나 불안한 모습이었으며, 이어지는 젠지와의 경기에서 열세가 예측되었다. 하지만 젠지와의 3라운드에서는 게임을 집어던지는 쓰로잉을 하던 엘크가 드디어 정신을 차린 듯이 미친 고점을 뽑아내고, 상대 젠지의 상체가 집단으로 최저점을 띄우며 3:0으로 승리하며 결승까지 T1이라는 한 걸음을 남겨두게 되었다. 이 날 블루 진영에서 징크스를 밴해주며 상대에게 징크스를 주지 않는 좋은 밴픽을 보이며 감독 차이를 내버렸다.

T1전도 이 기조는 마찬가지로, 밴픽에서 판정승을 거두고 선수들이 좋은 경기력으로 화답하며 최초의 LPL 국제대회 결승 내전을 성사시켜 2년 연속으로 LCK의 봄에 불행을 선사했다.[8] 하지만 결승전에서는 JDG에게 1:3 완패를 당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어진 서머 시즌, 상수로 활약하고 있는 빈과 각성한 바텀 듀오를 앞세워 팀의 정규시즌 1위를 확정지었다. 다만 또 다시 천적 JDG에게 가로막혀 전승 우승은 실패했는데, 아니나다를까 플레이오프에서도 JDG에게 0:3 완패로 최종전까지 가게 되었고 최종전에서도 LNG에게 1:3 패배를 하게 되면서 정규 1위를 하고도 결승에 진출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래도 JDG가 LNG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면서 BLG의 롤드컵 직행이 확정되었고 타베 감독은 RNG 시절과는 달리 선발전 거치지 않고 롤드컵 무대를 밟게 되었다.

2023 롤드컵 스위스 1라운드 kt전에서 히라이를 상대로 밴픽 차이를 보여줘 개막전을 승리로 장식했으나 이어진 JDG전은 그냥 압살당했고 프나틱전은 좋은 밴픽으로 승리를 이끌었으나 T1전에서는 감독대행과의 밴픽 싸움에서 판정패를 당해 2승 2패조로 굴러떨어졌다.

스위스 5라운드 G2전은 승리하여 8강행에 성공했으나 그 NRG에게 완패당한 G2에게 세트패를 내주면서 팀에 대한 평가는 떨어졌고 설상가상으로 8강 상대팀으로 젠지가 결정되면서 또 다시 8강에서 여정을 마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젠지와의 8강전에서 럼자오자레로 대표되는 발밴픽으로 자멸한 스코어와는 달리 정석적인 밴픽으로 스코어를 압도하여 업셋을 일으키고 팀의 4강행을 이끌었다.

4강 WBG전은 젠지와는 달리 각종 조커픽으로 BLG를 흔든 양대인에게 말려버려 5꽉 끝에 2:3으로 패배하여 4강에서 여정을 마쳤다. 이렇게 5중국인의 월즈 우승 도전기도 실패로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스프링 시즌은 휴식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잠시 BLG 감독직을 내려놓게 되었다.

총평하자면 LPL판 로이스터 매직이라 불리는 타베 매직 효과를 톡톡히 드러냈다. LPL의 DTD팀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던 BLG를 단숨에 우승 후보급 강팀으로 격상시켰고, 2023년에 스프링 준우승-MSI 준우승-서머 3위-월즈 4강이라는 높은 성과를 거두는 데 일조했다.

4.3. Anyone's Legend

4.3.1. 2024 시즌

2024년 3월 19일 AL의 신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

4.3.2. 2025 시즌

2024 Demacia Cup에 노페의 WBG, 옴므의 TES를 격파하며 RW 이후로 우승이 없었던 팀의 첫 우승을 안겨줬다.

이후 2025 LoL Pro League Split 1에서는 TES가 있는 그룹 스테이지에서 전승을 거둔 것도 모자라, 다전제에서 그 징동마저 격파하고 창단 첫 정규리그 결승에 진출하는 등 타베 매직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어진 2025 LoL Pro League Split 2에서도 좋은 경기력을 바탕으로 결승 진출전에서 BLG를 3대2로 꺾으며 팀의 2회 연속 결승 진출을 확정지었고 동시에 Mid-Season InvitationalEWC 2025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리고 기어이 결승에서 BLG를 3:1 승리를 하며 구단과 타잔의 첫 우승을 성공시켰다.

2025 MSI에서는 첫 경기인 FLY전을 승리하고, 2라운드에서 우승후보인 젠지를 상대로 풀꽉 승부를 보여줬으나 천외천급 경기력을 보여준 기인과 젠지 측의 집중력에 밀려 2:3으로 패배하고 패자전으로 내려왔다. 하지만 이후 패자전에서 CFO와 BLG를 3:1, 3:0으로 잡아내고 결승 진출전에서 T1과 만나게 되었다. 그러나 3세트까지 2:1로 앞서다가 4세트에서 역전패를 당했고, 이후 5세트에서는 4세트 역전패의 후유증인지 선수들이 저조한 모습을 보이며 대패, 결국 젠지전과 똑같이 2:3으로 패배하며 최종 3위로 MSI를 마치게 되었다.[9]

직후 열린 EWC에서는 한화생명과 T1을 연달아 격파하며 LPL의 희망으로써 무너진 자존심을 어느 정도 다시 세웠고, 결승에서 젠지까지 만나면서 3연속 LCK 팀을 만나는 동시에 MSI의 복수를 완벽히 이룰 기회를 잡았다. 결승에선 0:2로 뒤쳐지던 승부를 2:2까지 끌고 왔지만, 결국 이번에도 마지막 세트에서 패배하며 MSI에 이어 LCK 팀들과의 Bo5에서 3연패를 당했다. 그럼에도 LCK전 매치 2승 1패로 체면치레는 한 편.

여기까지만 보면 팀의 비교적 낮은 체급을 최상위권 팀와 맞먹는 수준의 한타 이해도와 수행력을 바탕으로 젠지-티원의 2강 체제를 무너뜨릴 힘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다만 2021 서머부터 이어져온 징크스인지는 불명이나, 서머 시즌에 해당하는 스플릿3부터 정신나간 밴픽으로 팀을 위기에 몰아넣었다.

5. 평가

여러모로 e스포츠계의 안토니오 콘테라는 평가를 받으며, 윤성영과 더불어 중화권, LPL 뿐만 아니라 LoL e스포츠에서 주로 거론되는 명장이자, 명선수는 명지도자가 될 수 없다, 스포츠는 선수 놀음의 대표적인 반례로 언급되는 감독이다.

특히 침체기에 빠졌던 RNG를 잘 수습해내며 2년 연속 MSI 우승을 이끌었고, BLG 감독으로 가서는 DTD로 허우적대던 팀을 단숨에 우승후보로 체급을 끌어올려 LCK 킬러 팀으로 격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했으며, AL에서도 비밀번호를 끊어내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것도 모자라 창단 첫 데마시아 컵 우승, 창단 첫 LPL 스플릿 우승에 기여했기 때문이다. 보통 한 두팀을 강팀으로 끌어올린다면 충분히 명장으로 불릴만 한데, 이 감독은 아예 무려 세 팀이나 약팀에서 강팀으로 끌어올린 전적만 봐도 명장 그 이상으로 불리며, e스포츠계에서 이 정도의 업적을 달성한 감독은 사실상 전무하다.

특히 기존의 명장으로 분류되던 옴므, 양대인, , 댄디, 김정수[10]등이 피어리스 이후 밴픽에서 다소 헤맨다는 평을 듣고 있으며, 이미 지역 리그에서 충분히 검증되었던 워호스, 주카이, 양지쑹, 프레디, 그랩즈, 스코어, 벵기 등 감독들이 대회 우승의 영광을 뒤로 하고 선수 관리나 전략 면에서 하자를 선보이다가 몰락한 것과 달리, 피어리스 도입 이후 오히려 시대에 뒤처지지 않고 철저한 선수 관리, 전략적인 밴픽 측면에서 두각을 드러내면서 2025년 기준 최고의 감독으로 평가 받는 중이다.

5.1. LCK 팀 상대로 우세

LCK 팀을 상대로 국제전 성적이 좋고, 특히 다전제에서 매우 강하다. 21 MSI에서 RNG를 이끌어 DK를 럼블 스테이지에서 2번 제압하고, 결승에서 3:2로 제압하며 우승을 차지했다.[11] 월즈에서도 한화와 그룹 스테이지에서 1승씩 주고 받은 후 타이브레이커에서 한화를 꺾고 1위로 진출했다. 22년은 코치이긴 했지만 MSI 럼블 스테이지에서 T1과 1승씩 주고받은 뒤 결승에서 T1을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2] 21 MSI-월즈, 22 MSI에서 상대한 LCK 팀들에게 모두 우위를 점한 것. 다만 22월즈에서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DRX에게 패배해 조 1위 그룹 스테이지 직행을 내줬고, 그룹 스테이지에서도 젠지와 1승씩 주고받은 뒤 타이브레이커에서 패배해 2등으로 8강에 올라갔다. 8강에서도 T1에게 0:3으로 셧아웃당하며 자존심을 구겼다.

하지만 23년 LCK 팬을 공포에 몰아넣으며 LCK 킬러 이름값을 제대로 했는데, MSI 하위권 3라운드에서 LCK 1시드 젠지를 3:0 셧아웃으로 광탈시켜버렸다. 기세를 몰아 2시드 T1도 하위권 4라운드에서 3:1로 일축시키고 LPL 결승 내전 대진을 성사시켰다. 이후 월즈에서는 스위스 스테이지 1일차부터 KT를 잡아냈고, 4일차에서 T1에게 0:2로 패하긴 했지만, 8강에서 우승후보였던 젠지를 3:2로 제압해버리는 대이변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러한 대 LCK 다전제 담당일진 노릇은 2025 MSI에서 AL이 젠지와 T1에게 5꽉 접전 끝에 패배하면서 2연패를 기록하면서 명성이 다소 빛이 바랬다. 이후 공식전은 아니지만 2025 EWC에서 한화를 2:1, T1을 2:0으로 제압해버리며 다시금 상성을 유지하나 했으나, 결승 젠지전에서 또 2:3으로 패하면서 현재는 예전만큼 공포의 대상으로 언급되진 않는다. 그래도 매치 전적 14승 10패, 세트 전적 32승 27패로 전적이 준수한 편.

5.2. 웡박칸에 대한 언사

파일:롤딩크.jpg
BLG의 2023 월즈 4강 진출 당시 포효하는 모습
현재 AL 팀을 지도하고 있는 타베 감독은 2018년에 저의 감독이었습니다. 이번에는 그를 이기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AL은 매우 강합니다.
그들은 LPL 역사상 가장 강력한 팀 중 하나입니다. 타베 지도 아래 그들은 전술적으로 매우 스마트한 팀이 되었는데, 우리는 그들을 이기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6. 여담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 로고 세로형 화이트.svgLPL
감독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푸첸웨이
BigWei
저우리펑
Despa1r
윤성영
Homme
쩡신이
Maizijian
파일:Anyones_Legendlogo_square.png파일:Anyone's_Legend_darkmode.png 파일:NIP_심볼_NeonYellow.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FPX 로고 2021.svg
웡박칸
Tabe
뤄빈
Rashomon
밍카이
Clearlove
예성랴오
Chengz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 파일:Oh_My_Godlogo.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천리신
1874
저우정팅
AFei
공석 양대인
Daeny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Ultra_Prime.png 파일:Team_WE.png 파일:RNG 로고 2017.svg
펑팡
Mni
롄슈치
Benny
장천
Teacherma
이관형
Heart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8e9eb,#e8e9eb><tablebgcolor=#e8e9eb,#e8e9eb>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svg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준우승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000> 시즌 준우승팀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Black.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Black.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Black.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Black.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Black.svg
SPT
파일:Sub_white.png
SUB
파일:Coach_white.png
COACH
<colbgcolor=#000> 시즌1 파일:Aaa_(2).png파일:Aaa_(2).png 파일:프랑스 국기.svg
sOAZ
파일:프랑스 국기.svg
Linak
파일:독일 국기.svg
MoMa
파일:프랑스 국기.svg
YellOwStaR
파일:프랑스 국기.svg
kujaa
x -
시즌2 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h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loudTempla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pidSta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oo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dLife
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OnAi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zman
<rowcolor=#bba26b> 시즌3 파일:7130f0fe8eed4f9d6acb63cf233f94f4.png 파일:중국 국기.svg
GoDlike
파일:중국 국기.svg
Lucky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Wh1t3zZ
파일:중국 국기.svg
Uzi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Tabe
x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Chris
<rowcolor=#b4936a> 2014 파일:Royal_Club_2017_full_lightmode.png파일:Royal_Club_2017_full_darkmode.png 파일:중국 국기.svg
Col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nSec
파일:중국 국기.svg
corn
파일:중국 국기.svg
Uz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ro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LaoP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icaL
2015 파일:external/oi67.tinypic.com/2qams1e.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meb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oj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ur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ra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orill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isdo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oF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SONG
2016 파일:Samsung_Galaxy.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uVe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mbiti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row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ul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oreJJ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rait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dga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oDin
2017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un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eanu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ak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a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ol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l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Car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pidStar
2018 파일:Fnatic.png 파일:벨기에 국기.svg
Bwipo
파일:덴마크 국기.svg
Broxah
파일:덴마크 국기.svg
Caps
파일:스웨덴 국기.svg
Rekkles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Hylissang
파일:프랑스 국기.svg
sOAZ
파일:캐나다 국기.svg
Dylan Falco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YoungBuck
2019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Wunder
파일:폴란드 국기.svg
Jankos
파일:덴마크 국기.svg
Caps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Perkz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Mikyx
파일:스웨덴 국기.svg
promisq
파일:독일 국기.svg
GrabbZ
<rowcolor=#321BDD> 파일:영국 국기.svg
Duffman
<rowcolor=#f0801c> 2020 파일:Suninglogo_square.png 파일:중국 국기.svg
Bin
파일:베트남 국기.svg
SofM
파일:중국 국기.svg
Angel
파일:중국 국기.svg
huanfeng
파일:대만 국기.svg
SwordArt
파일:중국 국기.svg
View
파일:대만 국기.svg
Chashao
파일:중국 국기.svg
Dian
파일:중국 국기.svg
ow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ur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lper
2021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h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ny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howMak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hos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ery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he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oohManD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aeny
2022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eu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On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ak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umayus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ri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sp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eng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omen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ky
2023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heShy
파일:중국 국기.svg
Weiwei
파일:중국 국기.svg
Xiaohu
파일:중국 국기.svg
Light
파일:중국 국기.svg
Crisp
파일:대만 국기.svg
Kars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aeny
파일:중국 국기.svg
Tselin
파일:중국 국기.svg
Ru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ly
2024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중국 국기.svg
Bin
파일:중국 국기.svg
XUN
파일:중국 국기.svg
knight
파일:중국 국기.svg
Elk
파일:중국 국기.svg
ON
파일:중국 국기.svg
Wei
파일:대만 국기.svg
BigWei
파일:중국 국기.svg
Xiasu
파일:중국 국기.svg
LvMa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asyho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ury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22,#222><tablebgcolor=#222,#222>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휘장 그레이.svg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우승 코치진
}}} ||
{{{#!wiki style="color: #222;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73a3c,#ddd
<rowcolor=#ddd> 시즌 우승팀 코치진
<colbgcolor=#222><rowcolor=#222> 2015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파일:중국 국기.svg
Aar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eapered
2016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Car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oohManDu
20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apidstar
2018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zm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art
2019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독일 국기.svg
GrabbZ
파일:영국 국기.svg
Duffman
2021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Tabe
파일:대만 국기.svg
Poppy
2022 파일:중국 국기.svg
KenZhu
2023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omme
파일:중국 국기.svg
Viod
2024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lper
20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I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lp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yn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22,#222><tablebgcolor=#222,#222> 파일:Mid-Season Invitational 휘장 그레이.svg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준우승 코치진
}}} ||
{{{#!wiki style="color: #222;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73a3c,#ddd
<rowcolor=#ddd> 시즌 우승팀 코치진
<colbgcolor=#222> 2015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i.E.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rowcolor=#222> 2016 파일:Counter_Logic_Gaminglogo_square.png 파일:미국 국기.svg
Zikzlol
2017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G2_logo.pn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YoungBuck
<rowcolor=#222> 파일:영국 국기.svg
Duffman
2018 파일:King_zone_DragonXlogo_square.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ira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uprem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ctScene
<rowcolor=#222> 2019 파일:logo-lcs.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a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odo
2021 파일:DWG KIA 엠블럼.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oohManD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res
2022 파일:T1 LoL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ol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omen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engi
2023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Tabe
파일:대만 국기.svg
BigWei
파일:중국 국기.svg
Duan
파일:중국 국기.svg
Xiasu
2024 파일:대만 국기.svg
BigWei
파일:중국 국기.svg
Xiasu
2025 파일:T1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o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ta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aeaea><tablebgcolor=#eaeaea> 파일:이스포츠 월드컵 심볼 블랙.svg파일:이스포츠 월드컵 심볼 화이트.svgEsports World Cup
League Of Legends

역대 준우승 코치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000> 시즌 준우승팀 코치진
<colbgcolor=#eaeaea> 2024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중국 국기.svg
Maokai
파일:중국 국기.svg
Despa1r
파일:중국 국기.svg
Shuijing
2025 파일:AG.ALlogo_square.webp 파일:홍콩 국기.svg
Tabe
파일:중국 국기.svg
Xiaobai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 로고 세로형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대회 우승팀 스태프
2013 스프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OMGlogo300.png Tsukasa
서머 파일:Positiv_Energy_oldlogo.png Smallorc
2014 스프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Aaron
서머
2015 스프링
서머 파일:900px-LGD_Gaming_Org_logo.png Chris
2016 스프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RNG.png Fly
서머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Maokai · RapidStar
2017 스프링 파일:Team WE old.png HooN · Homme
서머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NoFe · Hermes
2018 스프링 파일:RNG 로고 2017.svg Kezman · Heart
서머
2019 스프링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Karam · Mafa
서머 파일:funplus-phoenix-2qc3y9b8.png Warhorse · Despa1r
2020 스프링 파일:JD_Gaming.png Homme · Huge
서머 파일:TES 로고 2019.svg Crescent · Ggoong · Tselin
2021 스프링 파일:RNG 로고 2017.svg Tabe · Poppy
서머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KenZhu · Maokai · CorGi
2022 스프링 파일:RNG 로고 2017.svg KenZhu · Tabe · Xiaobai
서머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Homme · Xiasu
2023 스프링 Homme · Viod · Vus5o
서머
2024 스프링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igWei · Xiasu · zyb
서머 BigWei · Xiasu · Easyhoon · zyb
2025 BigWei · Easyhoon · LvMao · KaKAO · zyb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 로고 세로형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lit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대회 우승팀 스태프
2025 스플릿 1 파일:TES 로고 2019.svg Homme · Ben · Ggoong
스플릿 2 파일:Anyone's Legend 로고.svg파일:Anyone's Legend 로고 화이트.svg Tabe · Xiaobai
}}}}}}}}} ||
{{{#!wiki style="margin:-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7D0F5> 파일:Bilibili Gaming white 로고 2022.pngBilibili Gaming
역대 감독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
2대 3대 4대 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심성수
Sim

(2019~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수
Kim

(2021)
파일:중국 국기.svg 리궈펑
Dian

(2022)
파일:홍콩 국기.svg 웡박칸
Tabe

(2023)
파일:중국 국기.svg 푸첸웨이
BigWei

(2024)
<rowcolor=#fff> 6대 7대
파일:중국 국기.svg 양지쑹
Maokai

(2025)
파일:중국 국기.svg 푸첸웨이
BigWei

(2025~)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31815><tablebgcolor=#231815> 파일:Anyone's_Legend_darkmode.pngAnyone's Legend
역대 감독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대 2대 3대 4대 5대
파일:중국 국기.svg 저우뤼시
Steak

(2018)
파일:중국 국기.svg 양지쑹
Maokai

(20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남훈
HooN

(2020)
파일:중국 국기.svg 허빈
insence

(2021)
파일:중국 국기.svg 장위
JMZ

(2021)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파일:중국 국기.svg 뤼루이
Rui

(2022)
파일:중국 국기.svg 장위
JiangMingZhe

(2023)
파일:대만 국기.svg 차이쉐위
doG8

(20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재읍
Joker

(2024)
파일:홍콩 국기.svg 웡박칸
Tabe

(2024~)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4936a><tablebgcolor=#b4936a> 파일:RNG 로고 2017 화이트.svgRoyal Never Give Up
역대 감독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대 2대 3대 4대 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상철
Fly

(2016)
파일:대만 국기.svg 황딩샹
FireFox

(20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관형
Heart

(2018)
파일:중국 국기.svg 저우뤼시
Steak

(20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세형
Mata

(2020)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웡박칸
Tabe

(2021)
파일:중국 국기.svg 주카이
KenZhu

(2022)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웡박칸
Tabe

(2023)
파일:중국 국기.svg 탄치
Martin

(2023)
파일:중국 국기.svg 주카이
KenZhu

(2024)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파일:중국 국기.svg 옌쥔쩌
Letme

(2024)
파일:중국 국기.svg 왕펑
xiaopeng

(202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혜성
Comet

(20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관형
Heart

(2025~)
}}}}}}}}} ||


[1] 前 MikakoTabe[2] 한국식 독음 왕백근[3] 바텀 → 서포터[4] Vici P팀과 동시 코칭[5] Vici S팀과 동시 코칭[6] 서포터 4명을 갈아치웠다(…).[7] 홍콩 국적인은 아이슬란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데, MSI에 이어서 서머 시즌에도 계속해서 여권 발급을 미루었던 것으로 보인다.[8] 타베 감독이 불참했던 2021년은 제외[9] AL이 국제대회 첫 출전이면 기대 이상의 성적이긴 하나, LCK와 그간 패권을 다퉈오던 LPL의 1시드임을 생각하면 다소 아쉬운 결과다. 더구나 MSI는 LCK보다 LPL이 강세를 보인다는 기조에 영향을 준 게 타베 본인임을 생각하면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다.[10] 물론 김정수도 피어리스 밴픽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LCK CUP 준우승을 기록했지만 이후 리그에서 22연승을 이어가며 MSI 1시드 진출 및 타베가 이끄는 AL를 풀세트 접전끝에 이기고 결승에서 T1을 잡아내며 23연승과 더불어 MSI 리핏에 성공하였고, 이후 EWC에서 타베가 이끄는 AL과 다시 결승에서 만나 풀세트 접전 끝에 창단 첫 EWC 우승 및 매치 26연승을 이어나가게 되었다.[11] 다만 이 대회는 RNG 일정 특혜논란이 있다.[12] 이 대회도 21MSI처럼 RNG 특혜 논란이 있다.[13] 내용이 가관인데, 누구누구의 X의 크기가 어떻다거나 하는 내용이었다.[14] 특히 그동안 쌓인 게 많았던 중국에서는 타베를 한간, 매국노 취급을 하며 아예 뼈를 갈아마실 분위기. 2013년 월즈로 인해 이미지 세탁이 잘 되었던 서양이나 한국에서도 비판받았다.[15] LGD와 IG의 각자의 문제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LPL 자체의 한계도 뚜렷했기 때문, 타베가 괴상하고 잘못된 행동을 한 것은 맞지만 타베의 행동을 지나치게 LPL의 성적과 연관짓는 것은 무리수인 느낌이 있다. 예를 들자면 카카오가 어떻게 상대가 야스오를 밴했는지 모르겠다는 말을 했다는데, 정작 루키의 야스오는 이미 자국 월즈 선발전 8경기에서 1승 7밴을 달성했었다(...)[16] 단적으로 말하면 크리스를 부추겨서 나가게 만든 것은 타베일지 몰라도 정규시즌 에이콘에게 실질적 코치 겸직을 시키다 포스트시즌을 앞두고야 급하게 크리스를 영입한 것은 LGD 자신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