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테크트리 | ||||||||||||
{{{#!folding [ 보기 · 닫기 ] | 미국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일본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영국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독일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프랑스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소련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이탈리아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네덜란드 | 순양함 |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범아시아 | 순양함 | 구축함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범유럽 | 순양함 | 구축함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기타 | 기타 국가 프리미엄 | 기타 국가 레전더리 | 컬래버레이션 함선 | |||||||||
이벤트 함선 | 기타 함선 |
1. 개요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 등장하는 독일 전함 일람.독일 1차 트리 전함의 특징은 터틀백 구조의 튼튼한 측면 장갑과 약한 갑판 장갑, 낮은 구경이지만 연사가 빠르고 갯수가 적은 주포, 구경에 비해서 강력한 철갑탄, 화재율이 낮고 위력이 떨어지지만 관통력은 우수한 고폭탄, 긴 부포 사거리, 고티어의 음향탐지 소모품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독일감성을 즐기는 뉴비들의 저격플레이용 전함으로 사랑받는 트리다.
독일 2차 트리 전함의 특징은 순양 전함으로 약한 측면 장갑, 갯수가 적은 주포, 긴 부포 사거리, 고티어의 음향탐지 소모품 및 어뢰로 정의할 수 있다.
뉴비들이 운용법을 오해하기 쉬운 트리다. 공방에서는 시작하자마자 엄폐도 안 하면서 점령완료 하는 독일 전함이 종종 보이는데 정상적인 상황이 아니다. 지나치게 위험한 플레이다. 상대팀이 그 독일전함보다 더 심한 오합지졸이기 때문에 요행으로 점령이 된 것이다.
2. 공통 함선
2.1. 카이저 - 3티어
| 당시 가장 두꺼운 장갑을 갖추었던 전함이다. 터빈 엔진을 장착하여 전함 중에서는 속력이 뛰어난 편이었다. 주함포 관통력은 당시 운용된 슈퍼 드레드노트급 군함의 함포와 견줄 만했다. | 생존 | 52 | |||
함포 | 71 | |||||
대공 | 35 | |||||
기동력 | 25 | |||||
피탐지 | 50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05mm L/50 Drh LC/1909 | 5×2 | 26초 | 60초 | 14.3km | 1.8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3,500 | 23% | 76mm | ||
철갑탄 | 8,1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88mm L/76 DOP. L. C/32 | 4×2 | 4초 | 4.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000 | 4% | 15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0mm L/45 MPL C/06 | 15×1 | 8.6초 | 4.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800 | 10% | 38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46,400 | 22% | 13 - 35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600m | 14.2초 | 23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2.5km | 10km | 9.6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Flak 38 | 17×1 | 51 | 2.0km |
37mm Flakzwilling 30 | 5×2 | 13 | 3.5km |
88mm L/76 DOP. L. C/32 | 4×2 | 32 | 4.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5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31 | 28초 | 80초 | 3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3. 1차트리 (전함)
난투형 전함 3티어 카이저 포함
주요 독일 전함 계통도는 높은 집중 방호 구역 방호력과 뛰어난 속력으로 포화를 받아내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적에게 압박을 가하거나 팀원을 대신해 공격을 받아낼 수 있는 전함입니다. 강력한 화력과 준수한 관통력을 갖추고 있지만, 동급 군함보다 주함포 수가 적습니다.
* ▲ 장점
- 뛰어난 방호력 및 내구도
- 연사력이 뛰어난 주함포
- 우수한 부함포 성능
* ▼ 단점
- 제한적인 소모품 지속시간
- 큰 피격 범위
- 제한적인 주함포 공격력
주요 독일 전함 계통도는 높은 집중 방호 구역 방호력과 뛰어난 속력으로 포화를 받아내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적에게 압박을 가하거나 팀원을 대신해 공격을 받아낼 수 있는 전함입니다. 강력한 화력과 준수한 관통력을 갖추고 있지만, 동급 군함보다 주함포 수가 적습니다.
* ▲ 장점
- 뛰어난 방호력 및 내구도
- 연사력이 뛰어난 주함포
- 우수한 부함포 성능
* ▼ 단점
- 제한적인 소모품 지속시간
- 큰 피격 범위
- 제한적인 주함포 공격력
대부분 실존 전함을 바탕으로 한 라인이다. 5티어까지는 1차대전시의 전함 라인업이며 6티어 부터는 전간기에서 2차대전초까지 건조되거나 계획안을 바탕으로 한 고속 전함들이다.
레전더리 함선은 그로서 쿠어퓌르스트, 일명 대선제후이다.
3.1. 쾨니히 - 4티어
| Kaiser급 전함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이전 군함의 강력한 장갑을 그대로 이어받았으며 주포탑을 더욱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주함포를 측면에서 일제히 발사할 수 있도록 했다. | 생존 | 55 | |||
함포 | 71 | |||||
대공 | 51 | |||||
기동력 | 27 | |||||
피탐지 | 44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05mm L/50 Drh C/1911 | 5×2 | 26초 | 60초 | 15.3km | 1.8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3,500 | 23% | 76mm | ||
철갑탄 | 8,1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05mm L/65 DOP. L. C/31 | 4×2 | 3.3초 | 4.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200 | 5% | 20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0mm L/45 MPL C/06 | 14×1 | 8.6초 | 4.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800 | 10% | 38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47,100 | 22% | 13 - 356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620m | 15.5초 | 24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3.4km | 10.7km | 10.2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Flak 38 | 6×1 | 18 | 2.0km |
20mm Flakvierling 38 | 2×4 | 12 | 2.0km |
37mm Flakzwilling 30 | 8×2 | 16 | 3.5km |
105mm L/65 DOP. L. C/31 | 4×2 | 66 | 4.5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5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35 | 28초 | 80초 | 3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3.2. 바이에른 - 5티어
| 독일 해군에서 건조한 마지막 전함이다. 강력한 공격력과 빠른 포구 속력을 자랑하는 380mm 주함포로 무장하였으며 다른 군함 함포 체계보다 빠른 연사력을 자랑했다. | 생존 | 61 | |||
함포 | 77 | |||||
대공 | 61 | |||||
기동력 | 32 | |||||
피탐지 | 38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80mm L/45 Drh C/1913 | 4×2 | 30초 | 51.4초 | 15.8km | 1.8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4,500 | 35% | 95mm | ||
철갑탄 | 10,9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05mm L/65 DOP. L. C/31 | 6×2 | 3.3초 | 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200 | 5% | 20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0mm L/45 MPL C/13 | 10×1 | 8.6초 | 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800 | 10% | 38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51,600 | 19% | 13 - 35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630m | 13.9초 | 25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4.3km | 11.5km | 13.1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Flakzwilling 38 | 6×2 | 25 | 2.0km |
20mm Flakvierling 38 | 1×4 | 6 | 2.0km |
37mm Flakzwilling 30 | 6×2 | 16 | 3.5km |
105 L/65 DOP. L. C/31 | 6×2 | 100 | 4.5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5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57 | 28초 | 80초 | 3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3.3. 그나이제나우 - 6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png | 순양전함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빠른 속력을 자랑하는 전함이다. 동시대 다른 군함을 상대할 수 있도록 380mm 함포로 재무장되었다. 주함포 수가 적고 측면 장갑이 약한 것이 단점이다. | 생존 | 70 | |||
함포 | 82 | |||||
어뢰 | 14 | |||||
대공 | 82 | |||||
기동력 | 50 | |||||
피탐지 | 39 |
특성 |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80mm L/52 SK C/34 | 3×2 | 26초 | 36초 | 16.1km | 1.8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4,400 | 34% | 95mm | ||
철갑탄 | 11,6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28mm L/61 SK C/42 | 11×2 | 4초 | 5.3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500 | 5% | 32mm |
어뢰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533mm Drilling | 2×3 | 68초 | 7.2초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13,700 | 1.3km | 6km | 64knot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58,200 | 22% | 13 - 36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830m | 14.7초 | 32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4.6km | 11.7km | 13.4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Flakzwilling 38 | 12×2 | 50 | 2.0km |
20mm Flakvierling 38 | 7×4 | 42 | 2.0km |
37mm Flak LM/42 | 6×2 | 62 | 3.5km |
128mm L/61 SK C/42 | 11×2 | 136 | 5.2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5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91 | 28초 | 80초 | 3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3회 | 3번(패드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10% | 30초 | 200초 | 3회 | 3번(패드 →) |
3.4. 비스마르크 - 7티어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Bismarck는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전함 중 하나였다. 향상된 사격 제어 시스템과 엄청난 화력의 함포를 자랑한다. 견고한 선체, 세부화된 격실, 넓은 장갑 구역으로 방호력 또한 뛰어나다. | 생존 | 83 | |||
함포 | 87 | |||||
대공 | 77 | |||||
기동력 | 46 | |||||
피탐지 | 44 |
특성 |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80mm L/52 SK C/34 | 4×2 | 26초 | 36초 | 17.3km | 1.95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4,400 | 34% | 95mm | ||
철갑탄 | 11,6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05mm L/65 Dop. L. C/37 | 8×2 | 3.3초 | 7.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200 | 5% | 20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0mm L/55 SK C/28 | 6×2 | 7.5초 | 7.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700 | 8% | 38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69,200 | 22% | 19 - 36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850m | 16초 | 31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5.4km | 12.3km | 14.1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Flak 38 | 14×1 | 42 | 2.0km |
20mm Flakvierling 38 | 16×4 | 96 | 2.0km |
37mm Flakzwilling 30 | 10×2 | 103 | 3.5km |
105mm L/65 DOP. L. C/37 | 8×2 | 133 | 4.5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주함포 강화 장치 3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5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345 | 28초 | 80초 | 3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4회 | 3번(패드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10% | 30초 | 200초 | 4회 | 3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3.1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4.4km | 96초 | 180초 | 2회 | 4번(패드 ↓) |
3.5. 프리드히 데어 그로세 - 8티어
| 독일 해군의 대규모 확장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된 프로젝트다. Bismarck급 전함의 개량형으로 더욱 강력한 주함포와 개선된 대공 방어를 탑재하였다. | 생존 | 89 | |||
함포 | 91 | |||||
대공 | 71 | |||||
기동력 | 34 | |||||
피탐지 | 28 |
특성 |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406mm L/52 DRH LC/34 | 4×2 | 26초 | 32.7초 | 18.9km | 1.8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4,800 | 38% | 102mm | ||
철갑탄 | 12,700 | -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420mm L/48 DRH LC/40 | 4×2 | 29초 | 32.7초 | 18.9km | 1.8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5,000 | 41% | 105mm | ||
철갑탄 | 13,5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05mm L/65 DOP. L. C/38 | 8×2 | 3.3초 | 7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200 | 5% | 20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0mm L/55 SK C/28 | 6×2 | 7.5초 | 7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700 | 8% | 38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84,300 | 25% | 19 - 40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940m | 17.5초 | 30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6km | 12.8km | 15.4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FLakvierling 38 | 6×4 | 38 | 2.0km |
37mm Flak LM/42 | 26×2 | 268 | 3.5km |
105mm L/65 DOP. L. C/38 | 8×2 | 133 | 4.5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주함포 강화 장치 3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8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421 | 28초 | 80초 | 2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7회 | 3번(패드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10% | 30초 | 200초 | 7회 | 3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4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6km | 60초 | 180초 | 2회 | 4번(패드 ↓) |
독일의 차세대 전함 설계였던 H급 전함으로 그 중에서도 H-39와 H-41을 기반으로 한 워게이밍의 창작함이다. 부족한 전함 건조 기술력을 메꾸고자 기존 비스마르크급 전함의 설계를 기반으로 화력과 장갑을 강화했기 때문에 덩치가 초중전함 수준으로 상당히 큰 것이 특징이다.[1]
4. 2차트리 (순양전함)
돌파형 순양전함
독일의 신형 전함 또는 순양전함 계통도는 전함의 주요 방호력을 포기한 대신 뛰어난 속력과 무장을 갖추었으며, Prinz Heinrich부터는 어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계통의 독일 군함은 선봉에서 순식간에 궤멸적인 타격을 가하는데 매우 좋습니다.
* ▲ 장점
- 부함포와 어뢰 무장이 뛰어남
- 횟수 제한이 있지만 재사용 대기 시간이 짧은 피해 복구반 소모품
- 5단계부터 성능이 뛰어난 소나 소모품 사용 가능
- 준수한 기동성
* ▼ 단점
- 약한 방호력 및 내구도
- 제한적인 주함포 관통력
독일의 신형 전함 또는 순양전함 계통도는 전함의 주요 방호력을 포기한 대신 뛰어난 속력과 무장을 갖추었으며, Prinz Heinrich부터는 어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계통의 독일 군함은 선봉에서 순식간에 궤멸적인 타격을 가하는데 매우 좋습니다.
* ▲ 장점
- 부함포와 어뢰 무장이 뛰어남
- 횟수 제한이 있지만 재사용 대기 시간이 짧은 피해 복구반 소모품
- 5단계부터 성능이 뛰어난 소나 소모품 사용 가능
- 준수한 기동성
* ▼ 단점
- 약한 방호력 및 내구도
- 제한적인 주함포 관통력
1차대전기의 순양전함을 기반으로 한 라인으로 5티어까지 실존함 및 건조중이던 함선이며 6티어는 건조계획까지 잡혀있었다. 7티어부터는 설계안만 존재한다.
주포는 전함이 아닌 대형 순양함의 분산 공식을 사용하는 대신 전반적인 집탄이 안좋게 셋팅되어 있다. 또한 소련 전함처럼 긴급복구반이 3개로 제한되어 있어서 잘 사용하지 않으면 상당히 아쉬울수 있다. 그리고 5티어부터 음향탐지 소모품을, 6티어부터는 어뢰를 사용가능하다.
부포가 조정된 분산을 사용해서 명중률이 높고 갯수도 많은데다가 사거리도 좋고 어뢰도 있기 때문에 근접전에서는 가장 강한 전함라인이다.
레전더리 함선은 슐리펜이다.
4.1. 데어플링어 - 4티어
| 가장 발전된 기술로 건조된 독일 순양전함으로 305mm 주함포를 적층식 포탑에 장착하였으며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다. | 생존 | 48 | |||
함포 | 68 | |||||
대공 | 15 | |||||
기동력 | 33 | |||||
피탐지 | 47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05mm/50 SK C/08 Drh LC/1912 | 4×2 | 26초 | 45초 | 14.6km | 1.6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3,500 | 23% | 76mm | ||
철갑탄 | 8,1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88mm L/45 MPL C/13 | 8×1 | 4초 | 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000 | 4% | 15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0mm L/45 MPL C/06 | 12×1 | 8.6초 | 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800 | 10% | 38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47,600 | 22% | 13 - 30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740m | 13.3초 | 26.5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2.9km | 10.3km | 9.8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7.92mm MG 08 | 15×1 | 26 | 1.0km |
88mm L/45 MPL C/13 | 8×1 | 14 | 3.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0초 | 40초 | 3회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37 | 28초 | 80초 | 3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4.2. 마켄젠 - 5티어
| 제1차 세계대전 기간에 건조된 순양전함이다. 350mm 주함포를 장착하여 이전 함급에 비해 화력이 우수하였다. | 생존 | 62 | |||
함포 | 79 | |||||
대공 | 16 | |||||
기동력 | 29 | |||||
피탐지 | 40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50mm L/42 SK C/14 | 4×2 | 27초 | 30초 | 15.4km | 1.6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4,000 | 27% | 88mm | ||
철갑탄 | 10,5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88mm L/45 MPL C/13 | 8×1 | 3.6초 | 5.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000 | 4% | 15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0mm L/45 MPL C/13 | 14×1 | 8.6초 | 5.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800 | 10% | 38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52,300 | 19% | 6 - 30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780m | 14초 | 28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4km | 11.2km | 11.9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7.92mm MG 08 | 20×1 | 34 | 1.0km |
88mm L/45 MPL C/13 | 8×1 | 14 | 3.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0초 | 40초 | 3회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61 | 28초 | 80초 | 3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3.7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5.3km | 114초 | 180초 | 2회 | 4번(패드 ↓) |
1차대전중 건조중이던 마켄젠급 순양전함의 1번함이다. 마켄젠급의 3번함이 프리미엄쉽인 프린츠 아이델 프리드리히로 3척이 모두 건조가 중단되어 스크랩되었다.
4.3. 프린츠 하인리히 - 6티어
| Ersatz Yorck급 순양전함은 고속 전함이란 구상을 실제로 적용한 선구자라 할 수 있다. 해당 군함은 Mackensen급 전함의 개량형으로 Bayern급 전함과 동일한 주함포를 장착하였다. | 생존 | 62 | |||
함포 | 79 | |||||
어뢰 | 11 | |||||
대공 | 41 | |||||
기동력 | 39 | |||||
피탐지 | 36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80mm L/45 Drh LC/1913 | 4×2 | 33초 | 30초 | 15.9km | 1.5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4,500 | 35% | 95mm | ||
철갑탄 | 10,9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05mm L/65 DOP. L. C/31 | 6×2 | 3.3초 | 6.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200 | 5% | 20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0mm L/45 MPL C/06 | 12×1 | 8.6초 | 6.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800 | 10% | 38mm |
어뢰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533mm Drilling | 2×4 | 110초 | 7.2초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13,700 | 1.2km | 6km | 58knot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56,300 | 19% | 16 - 35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810m | 14.5초 | 28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4.7km | 11.7km | 13.9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37mm Flak LM/42 | 12×1 | 90 | 3.5km |
105mm L/65 DOP. L. C/31 | 6×2 | 100 | 4.5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0초 | 40초 | 3회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81 | 28초 | 80초 | 3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3.8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5.4km | 116초 | 180초 | 2회 | 4번(패드 ↓) |
4.4. 치텐 - 7티어
| 406mm 주함포 6문을 장착한 고속 전함으로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전에 설계된 전함 기획과 동일한 구조 및 함포 배치를 갖추었다. | 생존 | 77 | |||
함포 | 86 | |||||
어뢰 | 17 | |||||
대공 | 75 | |||||
기동력 | 50 | |||||
피탐지 | 48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406mm/52 SK L/52 | 3×2 | 22.5초 | 30초 | 16.7km | 1.7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4,800 | 38% | 102mm | ||
철갑탄 | 11,5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05mm L/65 DOP. L. C/31 | 8×2 | 3.3초 | 7.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200 | 5% | 20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0mm/55 SK C/28 | 4×1 4×2 | 8.6초 | 7.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700 | 8% | 38mm |
어뢰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533mm Vierling | 2×4 | 110초 | 7.2초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16,533 | 1.2km | 7.5km | 56knot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62,900 | 22% | 19 - 38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820m | 15.3초 | 31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4.8km | 11.9km | 14.3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30mm Flak 38 | 12×4 | 172 | 3.0km |
105mm L/65 DOP. L. C/31 | 8×2 | 133 | 4.5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0초 | 40초 | 3회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314 | 28초 | 80초 | 3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3.8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5.6km | 118초 | 180초 | 2회 | 4번(패드 ↓) |
4.5. 프린츠 루프레히트 - 8티어
| 406mm 주함포 8문을 장착한 고속 전함으로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순양전함의 개량형이라 할 수 있다. | 생존 | 74 | |||
함포 | 83 | |||||
어뢰 | 23 | |||||
대공 | 79 | |||||
기동력 | 39 | |||||
피탐지 | 32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406mm/52 SK L/52 | 4×2 | 32초 | 30초 | 17km | 1.7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4,800 | 38% | 102mm | ||
철갑탄 | 11,5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05mm L/65 DOP. L. C/31 | 10×2 | 4초 | 7.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200 | 5% | 20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0mm/55 SK C/28 | 6×2 | 8.5초 | 7.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700 | 8% | 38mm |
어뢰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533mm Vierling | 4×4 | 140초 | 7.2초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16,533 | 1.2km | 7.5km | 56knot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63,900 | 25% | 19 - 38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840m | 15.4초 | 32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5.4km | 12.3km | 14.8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30mm Flak 38 | 12×4 | 172 | 3.0km |
105mm L/65 DOP. L. C/31 | 10×2 | 166 | 4.5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0초 | 40초 | 3회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319 | 28초 | 80초 | 3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3.9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5.7km | 120초 | 180초 | 2회 | 4번(패드 ↓) |
[1] 여담으로 본가에서 H-42와 H-43을 기반의 창작함인 프로이센, 하노버는 각각 8만 톤, 11만 톤이라는 정신 나간 배수량과 야마토조차도 씹어먹는 엄청난 크기를 자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