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테크트리 | ||||||||||||
{{{#!folding [ 보기 · 닫기 ] | 미국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일본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영국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독일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프랑스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소련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이탈리아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네덜란드 | 순양함 |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범아시아 | 순양함 | 구축함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범유럽 | 순양함 | 구축함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기타 | 기타 국가 프리미엄 | 기타 국가 레전더리 | 컬래버레이션 함선 | |||||||||
이벤트 함선 | 기타 함선 |
1. 개요2. 구축함
2.1. 스따라제보이 - 2티어 (무료 번들)2.2. 그리먀시/그리먀시FE - 4티어 (캠페인 보상)2.3. 아호트니크 - 4티어2.4. 레닌그라드 - 6티어2.5. 오그녜보이 - 6티어 (이벤트 보상)2.6. 타슈켄트 1939년형 - 6티어 (충성도 보상)
3. 순양함3.1. 오로라/오로라B - 2티어 (무료 번들)3.2. 올레그/올레그A - 2티어 (캠페인 보상/무료 지급)3.3. 크라니스 크림 - 4티어 (글로벌XP 구매)3.4. 무르만스크 - 4티어 (제철소)3.5. 미코얀 - 4티어 (이벤트 보상)3.6. 몰로토프 - 5티어3.7. 마카로프 - 5티어3.8. 라조 - 6티어 (이벤트 가차)3.9. 미하일 쿠투조프/쿠투조프W - 7티어 (캠페인 보상, 글로벌XP 구매)3.10. 오차코프 - 7티어 (캠페인 보상)3.11. 표트르 바크라티온/표트르 바크라티온B - 7티어 (캠페인 보상, 범용경함치)3.12. 앨래펀트 - 7티어 3.13. 드미트리 포자르스키 - 7티어 (이벤트 구매)3.14. 크론슈타트 - 8티어 (캠페인 보상)
4. 전함4.1.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 - 4티어 (번들 판매)4.2.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아 - 4티어4.3. 라스푸틴 - 5티어4.4. 폴타바 - 6티어4.5. 레닌 - 7티어 (이벤트 보상)4.6. 보로디노 - 7티어 (이벤트 판매)4.7. 나바린 - 8티어 (캠페인 보상)
5. 항공모함1. 개요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 등장하는 소련 프리미엄함 일람.컬래버레이션 선박에 대한 정보는 해당 문서 참고
2. 구축함
2.1. 스따라제보이 - 2티어 (무료 번들)
정찰 작전에서 어뢰 공격까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중형" 구축함으로 설계되었다. 강력한 추진 장치가 탑재되어 속력이 매우 빠르다.
선체 | 내구도 | 7,800 | 장갑 | 6-13mm | 어뢰 피해 감소 | - |
무장 | 주포 | 102mm 3X1 | 사거리 | 8.8km | AP탄 | 1,800 | 재장전 | 5초 | 180도 회전 | 22.5초 | ||
HE탄 | 1,500 | 화재 발생율 | 7% |
어뢰 | 450mm 3X3 | 사거리 | 4km | 최대피해량 | 6,167 | 재장전 | 33초 | 속도 | 51노트 |
기동성 | 속도 | 35노트 | 선회반경 | 490m | 조타시간 | 2.1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5.6km | 공중 피탐지 거리 | 3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2km |
2.2. 그리먀시/그리먀시FE - 4티어 (캠페인 보상)
빠른 속력, 적절한 어뢰 무장, 강력한 함포가 훌륭하게 조화를 이루는 뛰어난 성능의 구축함이다. 주함포 화력과 사거리는 다른 국가 구축함보다 성능이 뛰어나지만, 취약한 대공 방어 체계가 단점이다.
선체 | 내구도 | 13,100 | 장갑 | 10-19mm | 어뢰 피해 감소 | - |
무장 | 주포 | 130mm 4X1 | 사거리 | 10.2km | AP탄 | 2,500 | 재장전 | 5.3초 | 180도 회전 | 36초 | ||
HE탄 | 1,900 | 화재 발생율 | 9% |
어뢰 | 533mm 2X3 | 사거리 | 8km | 최대피해량 | 14,400 | 재장전 | 69초 | 속도 | 55노트 |
기동성 | 속도 | 37노트 | 선회반경 | 510m | 조타시간 | 2.7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6.1km | 공중 피탐지 거리 | 3.2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2.5km |
파운더스팩 번들로 처음 공개되었다. 얼티밋 에디션에만 함장인 안톤 구린과 함께 포함되어있었다.
4티어 답지 않은 강력한 화력과 뛰어난 기동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2019년 12월9일부터 3주간 진행된 '북극의 수호자 캠페인'의 유료 결재시 최종 보상으로 안톤 구린 함장과 함께 받을수 있었다.
이후 판매는 하지않고 있으며 연말에 산타 박스로 입수가 가능하다.
소련 구축함이 레전더리 티어까지 사용하는 130mm 주포를 그대로 4티어로 가져와서 뛰어난 화력을 가진다. 어뢰도 피해량과 8km라는 사거리로 좋다. 어뢰 재장전도 짧은 편. 속도도 뛰어난데다 최고의 선회반경과 조타시간을 가진다. 단점은 전함급의 주포탑 회전속도로 조금만 선회하면 주포의 조준이 틀어져버린다. 심지어는 주포가 도는 방향으로 살짝만 돌아도 조준이 못따라 간다. 피탐지거리도 티어에서는 꽤나 큰 편이며 장갑도 얇은편이다.
2.3. 아호트니크 - 4티어
러시아 해군의 현대식 순양함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1차 세계대전 중 고안한 대형 구축함 기획안이다. 동급 군함보다 매우 큰 배수량 덕분에 많은 함포와 어뢰 발사관을 장착할 수 있었다.
선체 | 내구도 | 12,700 | 장갑 | 6-16mm | 어뢰 피해 감소 | - |
무장 | 주포 | 130mm 7X1 | 사거리 | 9.8km | AP탄 | 2,500 | 재장전 | 10초 | 180도 회전 | 32.7초 | ||
HE탄 | 1,900 | 화재 발생율 | 8% |
어뢰 | 450mm 4X3 | 사거리 | 4.5km | 최대피해량 | 13,667 | 재장전 | 47초 | 속도 | 62노트 |
기동성 | 속도 | 34.5노트 | 선회반경 | 730m | 조타시간 | 3.2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6.1km | 공중 피탐지 거리 | 3.2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2.4km |
2020년 2월 업데이트로 발표되었으며 판매는 2월 24일부터 판매된다.
전방 2개, 후방 5개의 360도 회전 가능한 주포와 중앙에 4개의 360도 회전가능한 어뢰발사관을 갖춘 무시무시한 화력의 구축함이다.
특징은 다수의 주포와 어뢰를 통한 일제 화력이다.
주포는 느린 재장전과 포회전속도를 가지고 있는 대신 7문이라는 동급 구축함의 2배에 가까운 갯수에 360도 회전으로 사각의 손실이 거의 없고 최단 시간으로 회전하므로 느린 포 회전속도를 보충할수 있다.
어뢰는 사거리는 짧지만 한측면으로 12개의 어뢰를 집중적으로 발사할수 있어서 순식간에 주변 해역을 어뢰로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 재장전 시간도 무척 짧아서 적진 가운데서 난입해서 연막치고 어뢰를 사방으로 투사하면 순식간에 수라장을 만들수 있다.
단점도 만만치 않은데 주포는 회전이 느리고 재장전 시간이 거의 순양함급으로 느려서 일제사의 위력은 좋아도 DPM이 엄청나게 뛰어나지는 않으며 포탑이 없이 포가 그대로 노출된 형태로 주포의 방어력이 매우 허약하다. 어뢰는 사거리가 겨우 4.5km로 매복 뇌격이 필수가 된다. 선체가 길고 회전 반경이 크기때문에 기동성도 꽝이다. 속력도 느린편. 상대 구축함을 잡고도 상대 어뢰를 못피해서 허무하게 격침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2.4. 레닌그라드 - 6티어
소련에서 처음으로 자체적으로 설계하고 건조한 주력 군함이다. 함포 공격력이 강력하고 속력도 매우 빠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대공 방어 체계가 강화되었다.
선체 | 내구도 | 15,200 | 장갑 | 10-16mm | 어뢰 피해 감소 | - |
무장 | 주포 | 130mm 5X1 | 사거리 | 10.7km | AP탄 | 2,500 | 재장전 | 5초 | 180도 회전 | 27.7초 | ||
HE탄 | 1,900 | 화재 발생율 | 8% |
어뢰 | 533mm 2X4 | 사거리 | 8km | 최대피해량 | 15,100 | 재장전 | 92초 | 속도 | 60노트 |
기동성 | 속도 | 43노트 | 선회반경 | 690m | 조타시간 | 3.7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7.1km | 공중 피탐지 거리 | 3.7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2.8km |
소련에서 처음 독자적으로 제작한 프로젝트1형 구축함의 1번함이다. 민스크와 함께 발트 함대에 배치되어 겨울 전쟁에 참전하였고 2차대전시 기뢰에 갇혀서 레닌그라드 방어전에서 포대로 사용되었다.
6티어 정규 구축함인 민스크의 어뢰 업그레이드 버전.
민스크와 차이라면 사용하기 어려운 6km 사거리의 어뢰가 8km의 그나마 쓸만한 사거리의 어뢰로 변경된 점이다. 어뢰의 피해량은 조금 떨어졌다.
2.5. 오그녜보이 - 6티어 (이벤트 보상)
Gnevny급 구축함을 기반으로 개발한 군함으로 배수량이 늘어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Gnevny급과는 달리 2연장 포탑에 더욱 정교한 주함포를 장착하였다.
선체 | 내구도 | 16,100 | 장갑 | 6-20mm | 어뢰 피해 감소 | - |
무장 | 주포 | 130mm 2X2 | 사거리 | 10.8km | AP탄 | 2,500 | 재장전 | 5초 | 180도 회전 | 18.6초 | ||
HE탄 | 1,900 | 화재 발생율 | 8% |
어뢰 | 533mm 2X5 | 사거리 | 10km | 최대피해량 | 15,100 | 재장전 | 92초 | 속도 | 56노트 |
533mm 2X3 | 55초 |
기동성 | 속도 | 37노트 | 선회반경 | 610m | 조타시간 | 4.7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6.6km | 공중 피탐지 거리 | 3.8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2.8km |
Rust N Rubble 이벤트의 보상으로 받을수 있었다.
PC와는 달리 2차트리가 아닌 프리미엄 쉽으로 발매되었다.
특징은 선택 가능한 장사정의 3연장-5연장 어뢰로 3연장을 사용하면 재빠른 어뢰 재장전이 가능하며 5연장을 사용하면 미국 구축함들처럼 넓은 대역을 커버할수 있다. 주포는 130mm 연장포 2기로 주포 화력은 아쉬운 편이라 주로 장사정의 어뢰를 이용한 뇌격전이 주가된다. 5연장 어뢰도 나름 재장전 시간이 짧기 때문에 이를 잘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2.6. 타슈켄트 1939년형 - 6티어 (충성도 보상)
6주년 기념으로 6년차 사용자에 대한 충성도 보상으로 무료 지급되었다. 타슈켄트 건조시 연장포탑 개발이 완료되지 않아서 임시로 단장포탑을 탑재했던 사실을 근거로 만들어진 프리미엄 쉽이다.선체는 기본적으로 7티어 정규트리의 타슈켄트와 비슷하지만 주포가 130mm 단장포 3기로 축소되어있고 어뢰가 10km 사거리로 변경되어 있다.
추가적인 소모품으로 어뢰 재장전 소모품이 추가되어서 총 18기의 어뢰를 순식간에 살포할수 있는 위력을 가지고 있다.
3. 순양함
3.1. 오로라/오로라B - 2티어 (무료 번들)
Pallada급 방호순양함 중 가장 마지막으로 건조된 Aurora는 당시 다른 방호순양함 보다 속력이 월등하였다. 현대화 작업을 거쳐 무장을 강화하여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배수량이 같은 모든 순양함보다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였다.
선체 | 내구도 | 22,500 | 장갑 | 6-152mm | 어뢰 피해 감소 | - |
무장 | 주포 | 152mm 14X1 | 사거리 | 11.3km | AP탄 | 2,700 | 재장전 | 8.6초 | 180도 회전 | 36초 | ||
HE탄 | 2,100 | 화재 발생율 | 8% |
기동성 | 속도 | 19노트 | 선회반경 | 400m | 조타시간 | 6.4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9.5km | 공중 피탐지 거리 | 6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4.4km |
실제 함선에 대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러일전쟁부터 2차대전까지 겪은 현 역사의 산증인으로 현 러시아 해군의 기념함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박물관으로 사용되며 상징적인 전 러시아 함대 기함으로도 재취역하기도 했다.
2020년 4월부터 플랫폼 스토어에서 번들로 무료 배포되었다.
3.2. 올레그/올레그A - 2티어 (캠페인 보상/무료 지급)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는 Bogatyr급 방호순양함으로 편대에 소속되어 전투를 진행하거나 원거리 정찰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강력한 함포가 장착되었으며 당시 운용된 군함 중 빠른 속력과 단단한 장갑을 자랑하였다.
선체 | 내구도 | 24,100 | 장갑 | 6-140mm | 어뢰 피해 감소 | - |
무장 | 주포 | 152mm 8X1, 152mm 2X2 | 사거리 | 11.3km | AP탄 | 2,700 | 재장전 | 9초 | 180도 회전 | 36초 | ||
HE탄 | 2,100 | 화재 발생율 | 8% | |||||||||
부포 | 75mm 12X1 | 2.5km | HE탄 | 1,500 | 화재발생율 | 4% | 재장전 | 4초 |
기동성 | 속도 | 24노트 | 선회반경 | 450m | 조타시간 | 7.1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9.5km | 공중 피탐지 거리 | 6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4.4km |
바가티르급 방호순양함 2번함으로 위의 오로라와 함께 러일전쟁때 살아남은 순양함 중 하나다. 러시아 혁명 와중에 반혁명 간섭군으로 참가한 영국 어뢰정에 의해서 격침되었다.
2020년 4월 업데이트로 진행된 2주간의 ‘영웅 올레그(Heroic Oleg)’ 캠페인에서 해군성 지원을 1250 금화로 구매시 최종보상으로 지급되었다. 2023년 7월에는 5주년 기념으로 올레그 A라는 위장이 변경 함선을 무료로 지급하였다.
3.3. 크라니스 크림 - 4티어 (글로벌XP 구매)
1910년대에 설계된 경순양함으로 상대적으로 구경이 작은 함포를 다수 무장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 무렵에 개조되어 더욱 강력한 대공 방어 체계, 개선된 사격 통제 장치를 갖추었지만, 당시 운용된 다른 군함보다 속력이 떨어졌다.
선체 | 내구도 | 25,100 | 장갑 | 10-125mm | 어뢰 피해 감소 | - |
무장 | 주포 | 130mm 15X1 | 사거리 | 14.3km | AP탄 | 2,500 | 재장전 | 8.1초 | 180도 회전 | 22.5초 | ||
HE탄 | 1,900 | 화재 발생율 | 8% |
어뢰 | 533mm 2X3 | 사거리 | 5km | 최대피해량 | 13,200 | 재장전 | 70초 | 속도 | 65노트 |
기동성 | 속도 | 29노트 | 선회반경 | 590m | 조타시간 | 7.2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1.8km | 공중 피탐지 거리 | 7.4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5.6km |
러시아 해군의 순양함인 스베틀라나를 소련 해군이 1939년 이름을 변경하고 현대화 개장한 순양함이다. 즉, 3티어의 스베틀라나와는 이름만 다르고 같은 함선이다.
2020년 5월 업데이트 후 전체경험치 4티어 프리미엄쉽으로 발표되었었다가 현재는 내려간 상태. 구매에 필요한 경험치는 187,500 GXP였다.
3티어 정규 순양함인 스베틀라나를 이름만 바꾼 함선이므로 거의 비슷한데 내구도가 살짝 좋아졌으며 주포의 사거리가 티어에 맞게 늘어났다. 주포의 연사력과 주포탑 회전속도도 살짝 좋아졌다. 어뢰도 대형화되면서 위력이 올라갔다. 대신 화재발생율이 살짝 떨어졌으며 양측의 어뢰발사관이 2개씩에서 1개씩으로 변경되었다. 어뢰의 재장전 시간도 늘어났다.
3.4. 무르만스크 - 4티어 (제철소)
미국의 오마하급 경순양함 2번함 밀워키를 소련이 2차 대전중에 불하받아서 사용한 함선이다. 무장이나 장갑은 오마하에 준하지만 어뢰 자체는 소련제 어뢰를 장착하고 있다. 대공역시 강화되어 있다.2021년 12월 업데이트로 발표되었으며 6250 스틸로 구매 가능하다.
3.5. 미코얀 - 4티어 (이벤트 보상)
키로프급의 선행 설계안으로 180mm 주포를 동일하게 사용하지만 3연장포가 아닌 연장포탑을 3기 탑재한 설계안이다.주포는 구경은 동일하지만 키로프와 코톱스키와는 달리 몰로토프왁 같은 철갑탄을 사용해서 뛰어난 관통력을 보여준다.
물론 포문수가 적고 키로프급 답게 장갑도 없다시피한데다 어뢰도 4km 사거리라 쓸데가 거의 없으니 운영이 쉽지않다.
3.6. 몰로토프 - 5티어
Kirov급 순양함과 외관이 비슷하지만, 더욱 개선된 설계를 통해 제작되었다. (Project 26-bis) 실제 제작된 군함은 시제 군함보다 장갑이 크게 강화되었으며, 강력한 함포와 빠른 속력은 그대로 유지하였다.
선체 | 내구도 | 28,400 | 장갑 | 10-150mm | 어뢰 피해 감소 | - |
무장 | 주포 | 180mm 3X3 | 사거리 | 14.8km | AP탄 | 4,400 | 재장전 | 12.5초 | 180도 회전 | 22.5초 | ||
HE탄 | 2,500 | 화재 발생율 | 13% | |||||||||
부포 | 100mm 6X1 | 사거리 | 4.5km | HE탄 | 1,400 | 화재 발생율 | 6% | 재장전 | 4초 | - | - |
어뢰 | 533mm 2X3 | 사거리 | 4km | 최대피해량 | 14,400 | 재장전 | 70초 | 속도 | 65노트 |
기동성 | 속도 | 36노트 | 선회반경 | 860m | 조타시간 | 7.8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2.4km | 공중 피탐지 거리 | 7.8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6.6km |
기본적으로는 키로프의 강화버전으로 공개된 스펙상으로는 큰 차이를 느끼기 힘들기 때문에 티어가 높아진 것에 대해서 아쉬울수는 있지만 진짜 업그레이드 된 주요부분은 주포로 소련 8티어 중순양함이 사용하는 주포 사양으로 최고의 중순양함의 관통력을 가진 철갑탄을 5티어에서 운영하는 셈이다. 이정도면 전함 상대로도 철갑탄이 유용하다. 방어력은 원본인 키로프와 대동소이하므로 전방으로 나서면 순식간에 용궁 직행이라는 점, 그리고 저각고속포다보니 섬 뒤에서 안전하게 포격하는 것은 키로프와는 달리 불가능하다.
3.7. 마카로프 - 5티어
선체 | 내구도 | 27,000 | 장갑 | 13-100mm | 어뢰 피해 감소 | 7% |
무장 | 주포 | 150mm 3X3 | 사거리 | 14.9km | AP탄 | 3,900 | 재장전 | 6초 | 180도 회전 | 23.7초 | ||
HE탄 | 1,700 | 화재 발생율 | 8% | |||||||||
부포 | 88mm 4X2 | 사거리 | 4km | HE탄 | 1,100 | 화재 발생율 | 7% | 재장전 | 4초 | - | - |
어뢰 | 533mm 2X3 | 사거리 | 6km | 최대피해량 | 13,700 | 재장전 | 68초 | 속도 | 64노트 | 피탐지 | 1.3km |
기동성 | 속도 | 32노트 | 선회반경 | 720m | 조타시간 | 7.6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2.9km | 공중 피탐지 거리 | 7.7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6.3km |
3.8. 라조 - 6티어 (이벤트 가차)
2025년 3월 이벤트에서 전용 박스로 입수 가능했다.차파예프급의 11번함으로 건조 예정이었으나 후속인 스베르들로프급 순양함의 개발로 건조가 취소되었다.
기본적인 스펙은 동급함인 7티어 정규트리 경순양함인 차파예프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장갑이 좀더 얇다.
PC에서는 전용의 정찰기를 가지고있지만 레전드에서는 구현되지 않은대신 PC버전에서는 제거한 레이더 소모품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3.9. 미하일 쿠투조프/쿠투조프W - 7티어 (캠페인 보상, 글로벌XP 구매)
미하일 쿠투조프는 소련 해군에서 가장 선진적인 경순양함의 하나로, 그 속력과 장갑은 다른 나라의 수많은 경쟁함들에 필적하였다. 그리고 뛰어난 설계의 포탑 마운트에 의한, 경순양함으로서는 매우 긴 주포 사정거리를 실현한 것이 큰 우위점이었다.
선체 | 내구도 | 40,700 | 장갑 | 16-175mm | 어뢰 피해 감소 | - |
무장 | 주포 | 152mm 4X3 | 사거리 | 16km | AP탄 | 3,300 | 재장전 | 8초 | 180도 회전 | 25초 | ||
HE탄 | 2,200 | 화재 발생율 | 12% | |||||||||
부포 | 100mm 6X2 | 사거리 | 5km | HE탄 | 1,400 | 화재 발생율 | 6% | 재장전 | 4초 | - | - |
어뢰 | 533mm 2X5 | 사거리 | 8km | 최대피해량 | 14,400 | 재장전 | 131초 | 속도 | 60노트 |
기동성 | 속도 | 33노트 | 선회반경 | 760m | 조타시간 | 6.5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3.8km | 공중 피탐지 거리 | 8.7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7.7km |
2020년 3월 업데이트의 '전쟁과 평화' 캠페인의 최종 보상으로 공개되었다. W버전은 스펙은 동일하며 전용의 겨울 위장을 가진다.
기본적인 특징은 연막내 고폭탄 포격이나 벨파스트와는 달리 레이더는 없고 소나만 장착된다. 처음 발매시에는 수리반이 없었지만 직후 업데이트로 수리반이 추가되었다.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거리는 꽤나 길어서 연막 포격할 위치를 잘 잡아야한다. 원거리에서 연막을 피고 숨어서 고폭 찜질을 해대는 쿠투조프는 전함 입장에서는 매우 불편한 존재다. 여기에 화재도 흔하게 일어나서 견디기가 쉽지않다. 여기에 8km에 달하는 5연장 어뢰도 있다.
단점도 명확한데 소련 경순양함답게 전체적인 장갑이 부실한데 선수, 선미, 선체, 상갑판 모두 26mm로 15인치 철갑탄에 대한 내성이 없고 시타델 장갑도 100mm에 그치기 때문에 중순양함만 되어도 충분히 타격을 넣을수 있을 정도며 전함이라면 한번 일제사격에 일격사로 보낼수 있을정도로 약하다. 피탐지 거리도 기본적으로 길고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도 꽤나 길기 때문에 너무 상대 가까이에서 연막을 쳤다가는 접근하는 전함에게 일격에 용궁행이 된다. 또한 타 소련 순양함과는 달리 레이더가 없다.
3.10. 오차코프 - 7티어 (캠페인 보상)
MLK-8-152 기획에 따라 제작된 소형 경순양함 중 한 척이다. 1940년대 중반 소련에서 제작된 152mm 양용포를 주무장으로 사용하였다.
선체 | 내구도 | 34,730 | 장갑 | 15-100mm | 어뢰 피해 감소 | - |
무장 | 주포 | 152mm 4X2 | 사거리 | 15.5km | AP탄 | 3,300 | 재장전 | 5.8초 | 180도 회전 | 13.8초 | ||
HE탄 | 2,200 | 화재 발생율 | 12% |
어뢰 | 533mm 2X5 | 사거리 | 8km | 최대피해량 | 15,100 | 재장전 | 131초 | 속도 | 65노트 |
기동성 | 속도 | 35노트 | 선회반경 | 750m | 조타시간 | 7.4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3.2km | 공중 피탐지 거리 | 8.3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7.1km |
사용된 주포와 고폭탄이 특이한데 소련 경순양함 라인의 기존 152mm와는 다른 포다. 고폭탄의 관통력이 기존의 1/6이 아닌 1/5 관통 공식을 따르며 이에 따라서 25mm가 아닌 30mm까지 관통이 가능하다.
쿠투조프와 같은 8km 사거리의 5연장 어뢰를 갖추고 있으며 레이더와 음향탐지 소모품을 모두 가지고 있어서 대 구축함전에서는 강력하다.
장갑은 선수, 선미, 선체는 26mm이며 사타델은 70mm로 오히려 매우 얇다. 근거리에서는 전함의 철갑탄이 과관통 되는 경우도 종종있다. 물론 대구경 고폭탄이나 신관이 짧은 철갑탄에는 매우 약하고 각 잘못주다가는 오히려 시타델이 뚫리는 경우도 잦다.
레이더는 차파예프와 동일한 11.7km에 20초로 연사력을 생각하면 구축함에게는 매우 치명적이다.
3.11. 표트르 바크라티온/표트르 바크라티온B - 7티어 (캠페인 보상, 범용경함치)
선체 | 내구도 | 42,000 | 장갑 | 6-210mm | 어뢰 피해 감소 | 16% |
무장 | 주포 | 180mm 3X3 | 사거리 | 16km | AP탄 | 4,550 | 재장전 | 11초 | 180도 회전 | 22.5초 | ||
HE탄 | 2,500 | 화재 발생율 | 13% | |||||||||
부포 | 100mm 8X2 | 사거리 | 5km | HE탄 | 1,400 | 화재 발생율 | 6% | 재장전 | 4초 | - | - |
어뢰 | 533mm 2X5 | 사거리 | 8km | 최대피해량 | 14,400 | 재장전 | 131초 | 속도 | 55노트 | 피탐지 | 1.1km |
AA | 25mm 4X4/3.1km | 45mm 8X2/3.5km | 100mm 8X2/5km |
기동성 | 속도 | 34.5노트 | 선회반경 | 890m | 조타시간 | 10.3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3.3km | 공중 피탐지 거리 | 8.4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7.8km |
2024년 블랙함선이 공개되었으며 금화로 판매 및 블랙프라이데이 박스로 입수가능하다.
주포는 소련 중순양함 트리의 180mm 주포를 사용하며 10초라는 중순양함으로는 수준급이나 경순양함으로는 아쉬운 연사력에 탄속이 빠르며 집탄도 시그마 2.1로 타 7티어의 2.0보다 우수하다. 철갑탄은 소련 순양함과 동일한 도탄각 보정이 들어가며 신관도 약간 짧은데다 위력도 중순양함급으로 좋지만 고폭탄은 경순양함급의 위력과 화재 확율을 가져서 철갑탄 사용이 좀더 권장된다.
소모품으로는 처음에는 없었으나 업데이트로 소련 순양함의 수색 레이더 소모품이 추가되었다.
2023년 8월 업데이트로 철갑탄 관통력, 집탄, 레이더 소모품 작동시간이 버프되었다.
3.12. 앨래펀트 - 7티어
2024년 해적 이벤트로 추가된 순양함. 원본은 영국 프리미엄 순양함인 햄프셔이며, 햄프셔와 동일하게 도탄 보정이 들어간 철갑탄을 쓰는 8인치 주함포 10문을 사용한다. 주함포 철갑탄 공격력과 집탄, 피탐지가 좋아지고 대신 주함포 사거리와 내구도가 줄었다. 또한 수상 전투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대신 전용 관측기를 사용한다.3.13. 드미트리 포자르스키 - 7티어 (이벤트 구매)
2024년 12월 이벤트로 무료로 구매 가능했다.같은 티어의 쿠투조프의 자매함으로 기본적으로는 비슷한 스펙을 가지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도탄각이 보정된 철갑탄만을 사용하며 어뢰의 사거리가 짧아져서 어뢰 할용은 힘들어졌다.
3.14. 크론슈타트 - 8티어 (캠페인 보상)
이벤트 프리미엄쉽으로 발매되었다. 무장은 스탈린그라드와 비슷한 305mm 3연장포 3기를 탑재하나 대형 순양함임에도 전함의 탄퍼짐을 가지고있으며 시그마값도 평범한 순양함과 같아서 스탈린그라드같은 위력을 보여주지는 못한다. 철갑탄의 관통력도 평범한 수준이다.대신 높은 체력과 꽤나 좋은 방어력을 바탕으로 한 플레이가 가능한것이 특징.
4. 전함
4.1.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 - 4티어 (번들 판매)
러시아 제국 해군에서 마지막으로 건조된 전함이다. Imperatritsa Mariya급 전함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강력한 화력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초기 러시아 드레드노트급 군함을 건조하며 얻은 경험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장갑 배치로 방호 능력을 크게 강화하였다.
선체 | 내구도 | 44,800 | 장갑 | 6-400mm | 어뢰 피해 감소 | 13% |
무장 | 주포 | 305mm 4X3 | 사거리 | 14.5km | AP탄 | 8,600 | 재장전 | 30초 | 180도 회전 | 48.6초 | ||
HE탄 | 4,500 | 화재 발생율 | 33% | |||||||||
부포 | 130mm 20X1 | 사거리 | 4km | HE탄 | 1,900 | 화재 발생율 | 9% | 재장전 | 12초 | - | - |
기동성 | 속도 | 25노트 | 선회반경 | 660m | 조타시간 | 10.5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2.5km | 공중 피탐지 거리 | 10.5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10km |
2020년 3월 업데이트로 공개되었다. 판매는 3월 23일부터 플랫폼 스토어에서 번들로만 판매되고 있다.
공개된 스펙은 기본적으로 PC버전과 다른데 일단 주포의 회전속도와 재장전 속도가 빨라졌으며 속도도 21노트에서 25노트로 조정되었다.
주포는 저구경이라도 3연장포 4개에 시그마값 1.9라는 뛰어난 집탄과 두터운 현측 방어력, 거기에 상부 구조물이 거의 없어서 고폭탄에 대한 내성도 높다. 결정적으로 4개의 주포탑중 앞쪽부터 3개의 주포탑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구조물이 적다보니 포각도 좋아서 안그래도 두터운 장갑 및 높은 고폭탄 내성과 시너지를 일으켜 강력하다. 대신 티어 업을 했기 때문에 내구도는 낮은 편.
소련 전함 특성인 긴급 복구반의 갯수에 제한이 있다. 일반과 동일하게 3개로 함장을 통해서 늘릴수 있다.
4.2.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아 - 4티어
선체 | 내구도 | 42,500 | 장갑 | 12-305mm | 어뢰 피해 감소 | 10% |
무장 | 주포 | 305mm 4X3 | 사거리 | 14.8km | AP탄 | 8,600 | 재장전 | 32초 | 180도 회전 | 56.3초 | ||
HE탄 | 4,500 | 화재 발생율 | 33% | |||||||||
부포 | 120mm 10X1 | 사거리 | 4km | HE탄 | 1,700 | 화재 발생율 | 8% | 재장전 | 8.6초 | - | - |
기동성 | 속도 | 23노트 | 선회반경 | 630m | 조타시간 | 12.6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3.2km | 공중 피탐지 거리 | 10.6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10.1km |
그래도 현대화 개장을 하고 티어를 올린것을 반영해서 내구도와 어뢰 피해 감소는 살짝 늘어났으며 주포 연사와 사거리도 좋아졌다. 또한 시그마값이 1.4로 최악의 집탄을 가졌던 강구트와는 달리 시그마값이 1.8로 매우 좋아졌기 때문에 일발의 위력이 많이 좋아졌다. 부포가 줄어든 대신 대공포가 증설되어있다. 대신 조타가 조금 떨어졌으며 피탐지가 늘어났다.
4.3. 라스푸틴 - 5티어
2023년 할로윈 이벤트에 추가된 선박. 4티어에 있는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를 기반으로 했으며. 22년도에선 본래 NPC의 선박이었으나 23년에 복각하면서 5티어로 출시. 기본적인 성능은 니콜라이 1세와 동일하다.4.4. 폴타바 - 6티어
356mm 함포를 장착한 B형 전함 제작 기획은 대형 A형 전함 기획과 동시에 진행되었다. 주요 목적은 적군 순양함과 Scharnhorst급 전함을 상대하는 것이었다.
선체 | 내구도 | 59,100 | 장갑 | 16-425mm | 어뢰 피해 감소 | 33% |
무장 | 주포 | 356mm 3X3 | 사거리 | 15.9km | AP탄 | 11,250 | 재장전 | 28초 | 180도 회전 | 45초 | ||
HE탄 | 5,300 | 화재 발생율 | 41% | |||||||||
부포 | 130mm 8X2 | 사거리 | 4.5km | HE탄 | 1,900 | 화재 발생율 | 8% | 재장전 | 5초 | - | - |
기동성 | 속도 | 29노트 | 선회반경 | 1000m | 조타시간 | 14.8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3.6km | 공중 피탐지 거리 | 11.4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12.4km |
14인치 주포를 탑재한 소련 버전의 소형 고속 전함 계획안을 기반으로 한 워게이밍의 창작함이다.
전형적인 소련 전함과는 달리 낮은 구경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일단 저구경이기는 해도 관통력은 뛰어나므로 대 전함전에서 철갑탄은 여전히 유용한 편이다. 다만 7티어 정도되면 대부분의 전함과 상당수의 순양함의 장갑이 14인치 철갑탄을 막기 충분하기 때문에 상대를 잘 가려서 철갑탄을 사용해야한다. 하지만 폴타바의 주무장은 철갑탄 보다는 고폭탄이라고 할 수 있다. KGV와 비슷하게 구경에 비해서 뛰어난 고폭탄 위력과 뛰어난 화재 발생율로 전형적인 고폭 스팸 전함으로서의 스펙을 가지고 있다. 다만 3연장포 3개로 주포 갯수는 구경에 비해서는 적다는 점이 조금 아쉽지만 그래도 KGV와는 달리 철갑탄도 유용하게 쓸만하다는 장점이 있다. 집탄이 시그마 1.9로 뛰어난 편이다.
4.5. 레닌 - 7티어 (이벤트 보상)
406mm 함포로 무장한 Project 21 기획 고속 전함 중 1척으로 '대형 함대' 계획 하에 개발되었다. 주함포 포탑이 선수에 집중 배치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선체 | 내구도 | 63,200 | 장갑 | 19-425mm | 어뢰 피해 감소 | 22% |
무장 | 주포 | 406mm 3X3 | 사거리 | 17km | AP탄 | 13,100 | 재장전 | 33초 | 180도 회전 | 30초 | ||
HE탄 | 5,850 | 화재 발생율 | 41% | |||||||||
부포 | 100mm 6X2 | 사거리 | 5km | HE탄 | 1,400 | 화재 발생율 | 6% | 재장전 | 3.8초 | - | - | |
152mm 4X3 | 5km | 2,200 | 12% | 8초 | - | - |
기동성 | 속도 | 28.5노트 | 선회반경 | 840m | 조타시간 | 13.5초 |
피탐지 | 해상 피탐지 거리 | 15.4km | 공중 피탐지 거리 | 12.3km | 연막내 포격시 피탐지 거리 | 14.8km |
3연장 주포를 모두 전진배치한 구조의 전함 설계안. 실질적으로는 워게이밍의 창작함이다. 일반 판매는 안하고 현재로는 매우 낮은 확률로 산타 박스로만 입수가 가능하다. 전반적인 성능이 우수하나 집탄만 시그마 1.7로 살짝 낮은 편이다.
4.6. 보로디노 - 7티어 (이벤트 판매)
소형 전함 설계안을 기반으로한 워게이밍의 창작함이다.소형 전함 설계안이라는 이름에서도 나오듯이 작은 선체에 전면에 16인치 3연장 주포탑 2개만 배치하고 후방에는 소련 순양함이 사용하는 180mm 연장포탑 2기를 부포로 탑재한다. 레이더 소모품을 가지고 있다.
4.7. 나바린 - 8티어 (캠페인 보상)
워게이밍의 창작함으로 정규트리 블라디보스토크와 유사한 16인치 4연장 주포탑을 3기탑재하고있다.2024년 10월 업데이트의 캠페인 쉽으로 발표되었다.
PC에서는 일반 전함 분산에 시그마 1.4라는 엽기적인 집탄을 가진 부포 전함이었는데 레전드에서는 어떨지가 기대된다.
5. 항공모함
5.1. 치칼로프 - 7티어 (범용경험치)
| 함재기 | |||||
함포 | ||||||
대공 | ||||||
기동력 | ||||||
피탐지 |
특성 | |||
| [2]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30mm/55 B-2-U | 8×2 | 5초 | 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1,800 | 8% | 21mm |
뇌격기 | ||||
명칭 | 함재기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최대 비행 거리 |
Polikarpov VIT-2 | 1,800 | 183knot | 10km | 27km |
공격 편대 크기 | 편대 내 함재기 | 함재기 수용량 | 정비시간 / 동시 정비 수 | |
6대 | 6대 | 12대 | 120초 / 3대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사거리 | 어뢰 속력 | 탑재 수 | |
4,100 | 6km | 41knot | 1발 |
폭격기 | ||||||
명칭 | 함재기 내구도 | 최고 속력 | 피탐지 | 최대 비행 거리 | ||
Sukhoi SU-2 | 1,700 | 187knot | 10km | 28km | ||
공격 편대 크기 | 편대 내 함재기 | 함재기 수용량 | 정비시간 / 동시 정비 수 | |||
6대 | 6대 | 12대 | 120초 / 3대 | |||
폭격 방식 | 폭탄 탄종 | 탑재 수 | ||||
저공 | 고폭탄 | 1발 | ||||
폭탄 최대 공격력 | 폭탄 관통력 | 반동 횟수 | 화재 확률 | |||
10,500 | 68mm | 3회 | 45%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51,700 | 25% | 13 - 10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1,040m | 13.2초 | 32.3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4.7km | 11.9km | x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37mm V-11 | 16×2 | 147 | 3.5km |
37mm 46-K | 8×4 | 98 | 3.5km |
130mm/55 B-2-U | 8×2 | 98 | 5.2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부함포 강화 장치 1 비행 관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편대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편대 강화 장치 3 비행 관제 강화 장치 2 |
소모품 | ||||||
사용대상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모함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60초 | 90초 | 무제한 | AUTO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600초 | 40초 | 4회 | AUTO | |
뇌격기,폭격기 | 순찰 전투기 | 지역을 순찰하며 자동으로 적 항공기를 요격하는 전투기 편대 호출 | 60초 | 10초 | 3회 | 2번(패드 ↑) |
회피 기동 | 활성화 시간동안 함재기 편대가 받는 피해량이 50% 감소 | 10초 | 150초 | 2회 | 3번(패드 →) |
프로젝트 71형 항공모함중 정규 설계안인 B형을 기반으로 하여 제작한 창작함. 6티어 세로프와 같은 설계안이지만 세로프는 경항모. 치칼로프는 정규 계획안인 만큼 크기 차이가 있다. 2024년 11월 업데이트로 발표되었고, 추가 당시 골드와 범용 경험치로 판매를 진행하였고 이후 골드 판매는 내려가 현재는 볌용 경험치로 구매가 가능하다.
폭격기가 2종류라는 차이점을 들고오는 PC 버전과 달리 함재기를 2종류가 한계인 레전드 특성상 정규트리와 동일한 뇌격기/저공 폭격기 구성을 유지한다.
뇌격기는 플리카르포프 VIT-2를 운영하며, 6대가 1개 편대를 구성하여 다니고 정비는 3대당 120초간 진행되며 최대 12대씩 격납 할 수 있다. 1기당 어뢰 1발을 투하하며 6대가 공격에 투입해 총 6발을 투하한다. 정규 트리 포베다와 비교하면 투하 발수가 1발이 줄어든데다 공격력도 4,100으로 낮아져 딜적으로는 다소 불리하다는 점이 있다. 대신 함재기 체력이 소폭 오르고 항속이 빨라졌으므로 공격도중 격추당하는 비율을 생각할 경우 그렇게 큰 차이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항속거리가 27km로 공격 범위 면적으로는 소폭 우위.
폭격기는 정규 트리와 동일한 수호이 Su-2를 운영하며, 6대가 1개 편대를 구성하여 다니고 정비는 3대당 120초간 진행되며 최대 12대씩 격납 할 수 있다. 1기당 폭탄 1발을 투하하며 6대가 공격에 투입해 총 6발을 투하한다. 이 저공 폭격기가 치칼로프의 핵심 딜러인데 공격력이 10,500에 관통력 68mm 짜리 미친 폭탄을 투하하기 때문. 비록 그에 대한 반동으로 신관이 1회 반동해야 작동하는 다른 저공 폭격기와 달리 2회 반동해야 작동한다는 디메리트가 존재하지만 각만 잡는다면 수상함 구분할 것 없이 옆구리에 1만뎀 폭탄 6발을 쑤셔박아 넣어 그로기 상태로 만들어 버리는것이 가능하다.[3] 항속이 빨라진 만큼 정규에 비해 함재기 생환률은 더 좋은 편
내구도는 51,700으로 평균대고 장갑은 그리 좋다고는 못보는 수치, 속도는 32.3노트로 항공모함의 평균 수준. 피탐지 범위는 평균보다 좀 더 큰 수준. 대공도 자함 방공은 잘 해내는 수준의 평범한 대공이라 볼 수 있다.
매우 사기적인 저공 폭격기로 인해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항공모함. 저공 폭격기의 측면 공격력이 남다른 점을 고관통 고데미지 폭탄을 쑤셔 박다 보니 함종 상관없이 스트레슬 유발하는 사상 최악의 항공모함이라 봐도 무방하다. 그렇다고 함재기 생환율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함재기 충전률이 낮은것도 아니라서 거의 풀편대로 다니기에 상대하는 입장에선 그야말로 죽을 맛. 현재 성능도 말이 많지만 출시 초기에는 공방 파괴범 그 자체일 정도로 사기성이 매우 짙다고 보면 된다.
[1] PC버전에서는 소형 경순양함 계획의 다른 MLK 16-130형 설계안을 프리미엄 10티어 순양함 스몰렌스크로 구현되어 있다.[2] 치칼로프는 추가 디버프로 2회 반동해야 신관 작동[3] 출시 당시에는 2회 반동 디메리트 없이 1회 반동으로 신관이 작동했었다 보니 출시 초기에는 7티어 항모는 십중팔구 치칼로프에 구축함은 씨가 말라버리는 막장 상황이 자주 펼쳐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