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테크트리 | ||||||||||||
{{{#!folding [ 보기 · 닫기 ] | 미국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일본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영국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독일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프랑스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소련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이탈리아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범아시아 | 순양함 | 구축함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범유럽 | 순양함 | 구축함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기타 | 기타 국가 프리미엄 | 기타 국가 레전더리 | 이벤트 프리미엄 | |||||||||
기타 이벤트 함선 | 기타 함선 |
1. 개요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 등장하는 미국 순양함 일람.
2. 공통 함선
초기 미국 순양함
초기 미국 순양함은 연사력이 뛰어난 함포로 강력한 측면 화력 투사에 집중했으며, 미국 계통도의 시발점이기도 합니다. 3단계부터 유용한 방어수단인 소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장점
- 높은 연사력
- 3단계부터 소나 소모품 사용 가능
* ▼ 단점
- 제한적인 주포 발사각
- 느린 포탄 속도
초기 미국 순양함은 연사력이 뛰어난 함포로 강력한 측면 화력 투사에 집중했으며, 미국 계통도의 시발점이기도 합니다. 3단계부터 유용한 방어수단인 소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 장점
- 높은 연사력
- 3단계부터 소나 소모품 사용 가능
* ▼ 단점
- 제한적인 주포 발사각
- 느린 포탄 속도
1~4티어까지는 1,2차 트리 모두 공유하며 1차 대전까지의 장갑순양함이나 방호순양함 및 경순양함이다.
2.1. 알바니 - 1티어
| 브라질 해군을 위해 영국에서 건조하였지만, 미 해군에서 구매하였다. 취역 당시 미 해군에서 성능이 가장 뛰어난 순양함이었으며 선체는 상대적으로 작지만 강력한 무장을 장착하였다. | 생존 | 11 | |||
함포 | 3 | |||||
대공 | 6 | |||||
기동력 | 27 | |||||
피탐지 | 80 |
특성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152mm Mk.6 | 6×1 | 7.0초 | 18.0초 | 9.5km | 2.0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2,100 | 7% | 25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11,500 | 0% | 6~76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350m | 7.0s | 20.0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8.3km | 5.0km | 3.6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37mm Maxim | 4×1 | 10 | 2.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역사적으로 미국 해군에서 취역 당시 성능이 가장 뛰어난 순양함이었으며 브라질 해군을 위해 영국 해군이 설계한 함급이었지만 구입한 방호순양함이다. 선체는 상대적으로 작지만 강력한 무장을 장착하였고, 1899년에 취역하여 필리핀-미국 전쟁 및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여 후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기도 하였다. 함명의 유래는 미국 뉴욕 주의 주도인 알바니로 뉴욕 주 뉴욕 시티에서 북쪽으로 230 km 떨어진 허드슨강 중류에 위치한 소도시이다.
PC 버전에선 2티어 프리미엄 순양함으로 등장헀으나. 레전드에선 이리를 제치고 테크트리의 첫 함선으로 등장.
1티어 선박답게 속력은 느리지만 강력한 152mm 함포를 장착한 것이 특징. 장전도 느리지 않아 미국의 주특기인 포격 능력을 미리 맛볼 수 있다는 소소한 장점(?)이 있다.
2.2. 세인트루이스 - 2티어
| 드레드노트급이 개발되기 전 활약하던 전형적인 대형 순양함이다. 당시 연사력이 빠른 함포를 다수 장착하였으며 추진 장치를 장갑 벨트로 보호하였다. 그러나 속력은 평범한 수준이었다. | 생존 | 30 | |||
함포 | 37 | |||||
대공 | 3 | |||||
기동력 | 36 | |||||
피탐지 | 76 |
특성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152mm Mk6 | 14×1 | 8.0초 | 22.5초 | 11.1km | 2.0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2,100 | 7% | 25mm | ||
철갑탄 | 3,000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76.2mm Mk4 | 18×1 | 5.0초 | 2.5km | 고폭탄 | 1,100 | 4% | 13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27,000 | 0% | 6~102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450m | 6.4s | 22.0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9.1km | 5.4km | 4.0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7.6mm Hotchkiss Mk1 | 8×1 | 10 | 1.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미 해군의 마지막 방호순양함인 세인트루이스급 방호순양함. 건조 당시 최신예이자 가장 강력한 방호순양함이었고 제 1차 세계대전에 참전. 나름의 수훈을 쌓은뒤 전후 치안 유지 활동을 하다 30년대에 세척의 자매함 모두가 퇴역했다.
2티어 순양함중 으뜸가는 패왕.장전시간이 조금 늘었지만 8초로 나름 빠른편인데다 함체 업그레이드시 포대만 14개, 포곽식 구조로 조금 손해보더라도 측면으로 최대 8문을 쏠 수 있고, 회피기동 하면서 뿅뿅 쏴대도 거의 6~7문이 사격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화력 역시 최강.
장갑 역시 비범한데. 방호순양함 답게 장갑이 든든하고 내부 장갑구조도 좋아서 동티어 순양함 철갑탄은 가뿐히 막아낸다. 실 역사에서도 엄청난 무게와 그 장갑 덕택에 2차대전 분류로는 중순양함에 속할정도로 무거운 선박이다 보니 당연한 수준.
다만 큰 결점이라면 2티어라서 수리반이 없어 내구도를 보충 못한다는 것과 22노트라는 저열한 속력. 그래도 2티어라 다 거기서 거기인 부분이니 패왕 순양함이라 생각하면 된다.
2.3. 피닉스 - 3티어
| 매우 빠른 속력과 어뢰 무장이 특징인 정찰 순양함이다. 동시대 다른 순양함과 달리 개방형 포좌에 함포를 설계하였다. Phoenix급 순양함은 실제로 건조되지는 않았지만, Omaha급 순양함 개발에 기반이 되었다. | 생존 | 28 | |||
함포 | 39 | |||||
어뢰 | 17 | |||||
대공 | 10 | |||||
기동력 | 77 | |||||
피탐지 | 68 |
특성 |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152mm Mk8 | 10×1 | 7.0초 | 18초 | 12.8km | 2.0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2,200 | 12% | 25mm | ||
철갑탄 | 3,100 | - |
어뢰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533mm triple | 2×3 | 66초 | 7.2초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11,733 | 1.1km | 5.5km | 56노트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24,000 | 0% | 6~76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630m | 5.4s | 35.0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0.3km | 6.2km | 4.6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12.7mm Browning M2 mod. 1 | 4×1 | 14 | 1.2km |
28mm Mk2 mod. 2 | 2×4 | 14 | 3.1km |
76.2mm Mk10 | 4×1 | 8 | 3.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피닉스는 미 해군이 평갑판형 구축함과 합동 작전을 위한 계획되었던 정찰순양함 프로토타입중 하나인 계획 1917년 버전을 약간의 가상 개장을 거쳐 만든 가상의 선박이다. 실제로는 이 설계를 다음티어인 오하마에 반영하여 건조하였기 때문.
전티어랑 같이 빙글빙글 돌면서 뿅뿅 쏘는것이 가능하다. 장전이 1초 줄어든 7초로 더욱 더 많이 쏠 수 있기 때문. 포문수가 10문으로 줄어들었지만, 기동력이 매우 큰 폭으로 상승하였기 때문에 딱히 체감되는 단점은 아니다.
어뢰도 추가되었는데, 추가된건 둘째치고 사거리가 짧고 각이 생각외로 좋진 않아서 마지막 한방 먹인다고 무리하게 했다간 적한테 어뢰 못맞추고 나만 폭사당하는 불상사가 생기므로 목숨걸고 쏠 생각은 하지 말자. 데미지가 1만대지만 3발뿐이라 나만 죽고 적은 안죽는 불상사도 생길 수 있다.
대신 제일 큰문제는 생존, 전티어는 전함급 탱킹력을 선보이는 떡장갑 선박이었는데. 피닉스는 정찰 순양함이란 이름 답게 장갑이 종잇장으로 바뀌기 때문, 그것도 어중간하게 두꺼워서 전함탄에 맞으면 피부가 갈리는듯한 큰 고통을 받는다. 3티어대라 전함 주함포 집중도는 낮은 편이지만. 한발만 맞아도 아프고 동종 순양함의 철갑탄도 아프니 조심해야한다. 방뢰 역시 없는 수준이니 어뢰도 조심해야한다. 대신 이 단점을 35노트의 고속 항행 능력과 뛰어난 조타 능력으로 극복해야 한다는것. 다만 근접전이 자주 벌어지는 저티 특성상 극복하긴 어렵다.
2.4. 오마하 - 4티어
| 어뢰와 상대적으로 강력한 함포를 장착한 고속 정찰 순양함으로 함포 일부를 포탑에 장착하였다. 미 해군에서 처음으로 함재기 정비용 장비를 탑재한 순양함이다. | 생존 | 29 | |||
함포 | 39 | |||||
어뢰 | 17 | |||||
대공 | 12 | |||||
기동력 | 74 | |||||
피탐지 | 63 |
특성 |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152mm Mk13 152mm Mk16 | 8×1 2x2 | 7.0초 | 18초 | 13.4km | 2.0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2,200 | 12% | 25mm | ||
철갑탄 | 3,100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127mm Mk32 | 8×2 | 6.0초 | 5.0km | 고폭탄 | 1,800 | 5% | 21mm |
어뢰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
533mm triple | 4×3 | 66초 | 7.2초 | |
어뢰 최대 공격력 | 어뢰 대함 피탐지 | 사거리 | 속력 | |
11,733 | 1.1km | 5.5km | 56.0노트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26,800 | 0% | 6~76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600m | 5.7s | 34.0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1.1km | 6.7km | 5.1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12.7mm Browning M2 mod. 2 | 4×1 | 15 | 1.2km |
28mm Mk2 mod. 2 | 8×4 | 54 | 3.1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2.7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3.7km | 90초 | 180초 | 2회 | 2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100초 | 80초 | 6회 | 3번(패드 →) |
정찰 순양함의 기획과 영국의 칼레돈급 순양함을 참고하여 만든 경순양함. 정찰을 목적으로 하는 경순양함이었던지라 35노트의 고속을 낼 수 있던 장점이 있으나 건조 도중 용도 변경에 무장을 많이 설치하여 과적 문제로도 피로를 겪었다. 그럼에도 자매함 10척은 제 2차 세계대전에 참전, 전쟁 내내 무사히 복무하여 1946년에 퇴역, 스크랩되었다. 2번함 밀워키는 전후 소련에 인도되어 무르만스크란 이름을 가지기도 했다.
전티어에다가 연장포 두개 더 붙이고 어뢰도 붙이고. 함재기까지 붙인 Mk.2 느낌이 물씬나는 순양함. 사실 전티어 설계 자체가 오하마의 초기 설계이기 때문에 비슷한 느낌이 나는것.
함포는 전티어에서 전후방에 대공포 달렸던 자리에 대공포 대신 2연장 주함포 2기가 생겼다. 선수/선미만 내밀때 화력도 오르고 측면으로도 사격 가능한 포문수가 8문으로 늘었으니 큰 개선점이라 봐도 무방.
어뢰는 어뢰 발사관 두기가 더 추가되어 투발량이 두배로 늘었다. 성능은 동일하지만 적어도 다 맞췄는데도 안죽는 불상사는 면하는 정도라 생각하면 된다.
장갑이나 기동은 전티어랑 판박이. 거의 없는 장갑에 35노트 고속항행 능력까지 전부 동일하다. 여전히 근접전 위주의 교전이다 보니 근접 하다 터지는건 동일
3. 1차트리(중순양함)
폭격형 중순양함
미국 중순양함은 강력한 초중량 철갑탄과 고폭탄으로 적 군함에 포격을 가하는 데 아주 적합하지만, 어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7단계부터는 전투에 레이더와 소나를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숨은 적군함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 ▲ 장점
- 성능이 뛰어난 철갑탄
- 7단계부터 지속 시간이 긴 레이더 사용가능
- 5단계부터 소나 소모품 사용 가능
* ▼ 단점
- 느린 포탄 속도
- 약한 방호력
미국 중순양함은 강력한 초중량 철갑탄과 고폭탄으로 적 군함에 포격을 가하는 데 아주 적합하지만, 어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7단계부터는 전투에 레이더와 소나를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숨은 적군함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 ▲ 장점
- 성능이 뛰어난 철갑탄
- 7단계부터 지속 시간이 긴 레이더 사용가능
- 5단계부터 소나 소모품 사용 가능
* ▼ 단점
- 느린 포탄 속도
- 약한 방호력
중순양함의 기본 함포 구경인 8인치를 쭉 사용하는 전형적인 중순양함 트리. 괄목할 만한 점이라면 8인치 치곤 연사력이 비교적 빠른편이고, 철갑탄을 초중량탄을 사용하던 미국 해군의 역사를 고증하여 도탄각이 60/67.5도로 좀더 좋게 보정되어있고. 7티어부터 철갑탄의 위력이 크게 상승하기 때문에 전함 상대로도 철갑탄이 쏠쏠 박혀 철갑 고폭 둘다 혼용하여 쓰는 트리이기도 하다. 또한 탄도가 높고 저속으로 날아가지만, 섬을 이용하여 탐지되지 않고 적을 공격하는, 소위 섬뒤샷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대신 전 트리가 어뢰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소모품은 피해 복구반과 소나, 대공 방어 사격, 사출 전투기를 사용하고 7티어부터 레이더와 군함 수리반이 추가되어 유지력과 함대 보조 능력이 크게 상승한다. 레이더 사거리가 9km로 긴 편은 아니지만 지속시간이 30초로 길게 유지되므로 적 구축함의 뚝배기를 작살내는데엔 충분하다.
해당 트리의 레전더리는 디모인급 중순양함으로 해당 트리내의 선박이 딱히 없어도 진행이 가능한 일반 프로젝트이다.
3.1. 펜사콜라 - 5티어
|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제한에 따라 건조된 첫 미 해군 순양함으로 강력한 함포를 장착하고 있으나 장갑이 취약하였다. Pensacola급 순양함은 취역 후 얼마 되지 않아 203mm 함포를 장착하여 중순양함으로 재설계되었지만, 장갑은 여전히 경순양함 수준이었다. | 생존 | 41 | |||
함포 | 62 | |||||
대공 | 59 | |||||
기동력 | 70 | |||||
피탐지 | 60 |
특성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203mm Mk14 mod. 2 203mm Mk14 mod. 1 | 2×2 2×3 | 13.0초 | 45.0초 | 14.6km | 2.0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2,800 | 14% | 34mm | ||
철갑탄 | 4,600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127mm Mk19 mod. 6 | 8×1 | 4.5초 | 4.5km | 고폭탄 | 1,800 | 9% | 21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32,700 | 4% | 6~102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620m | 6.3s | 32.5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1.7km | 7.0km | 6.5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Oerlikon Mk4 | 17×1 | 61 | 2.0km |
40mm Bofors Mk2 | 6×4 | 95 | 3.5km |
127mm Mk19 mod. 6 | 8×1 | 58 | 4.2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2.8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3.9km | 92초 | 180초 | 2회 | 2번(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200% | 40초 | 150초 | 2회 | 2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4회 | 3번(패드 →) |
진정한 미 해군의 최초의 중순양함. 2연장 포대 2기 3연장 포대 2기를 붙여 총 10문의 8인치 함포를 운영하였고, 초기 장갑이나 배수량으로 구분하던 순양함 구분법 때문에 진수 초기엔 중순양함인 CA가 아닌 경순양함인 CL 코드를 받기도 했다.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어뢰를 장착했던 중순양함이었으나, 이내 곧 제거하여 반영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제 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을땐 쓰레기선박이라 불렸을 정도로 구식이었지만 펜사콜라와 자매함 솔트레이크 시티의 수훈은 별명에 맞지 않는 노장이자 수훈함으로써의 함생을 살았다. 특히 2번함 솔트레이크 시티함은 온갖 기행과 강운이 많았던 선박이기도 하다.
본격적인 미국맛 중순양함의 스타트, 152mm 함포는 버리고 드디어 반듯한 포탑 배치, 8인치 함포를 받았으나 전티어랑 비슷한 허약한 장갑은 여전해서 교전시 히트 앤 런을 잘 구사해야 오래 살아남을 수 있다
주함포는 8인치 함포 Mk.14 2연장 2기, 3연장 2기가 혼합된 형태로 장착하여 총 10문을 운영한다. 동티어 군함중 이렇게 많은 8인치를 장착한 순양함은 하나도 없다시피 하다 보니 동종 함선에겐 아주 강력한 죽창을 꽂아넣는 사신 그 자체, 아직 초중량탄이 없어 탄도도 좋기 때문에 장거리 교전 능력도 나쁘지 않다. 대신 6인치 시절 고DPM 싸움은 장전시간이 13초로 길어져 불가능 해지므로 기동을 하며 강력한 일제사를 꽂아넣는 플레이를 익혀야 한다. 특히 주함포의 회전속도가 180도 회전에 45초로 매우 느려지므로 잦은 포탑 회전은 되려 화력 손실을 입을 수 있으므로 자제해야 한다.
오하마에서 많이 달리던 어뢰는 펜사콜라엔 존재하지 않는다, 덕분에 근접 한방 먹이는건 함포밖에 없어 아쉬움이 남는 단점, 실 역사에선 건조 당시엔 달려있었으나, 30년대에 개장하면서 제거하였다.
장갑은 전티어보다는 올랐으나, 조약형에 목메인 함체의 한계로 동종 8인치는 어찌어찌 피해를 최소화 할 수는 있지만 전함 철갑탄엔 그냥 프리패스 당하고 시타델 약장까지 헌납하니 조심해야한다. 다른 부분의 장갑도 부족한 편이므로 조심해야하며, 주함포 장갑도 65mm로 결코 두껍다고 말할 수가 없는 수준이라 생각외로 주포 고장이 자주 나니 소심해야한다. 최고 속력은 32.5노트로 다소 낮아졌지만 우수한 조타 능력은 여전하므로 사격후 선체를 돌리는 방식으로 피해를 최소화 하는 컨트롤을 익히는것이 좋다.
3.2. 뉴올리언스 - 6티어
| 미국의 첫 신형 중순양함이다. 이전 순양함보다 장갑이 크게 강화되었다. 배수량이 제한된 것을 고려하면 무장, 방호, 속력이 훌륭하게 균형을 이룬 군함이다. | 생존 | 39 | |||
함포 | 64 | |||||
대공 | 53 | |||||
기동력 | 70 | |||||
피탐지 | 59 |
특성 |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203mm/55 Mk14 | 3×3 | 12.0초 | 27.7초 | 15.0km | 2.0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2,800 | 14% | 34mm | ||
철갑탄 | 4,600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127mm Mk19 mod. 6 | 8×1 | 5.0초 | 4.5km | 고폭탄 | 1,800 | 9% | 21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35,000 | 4% | 6~152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730m | 7.8s | 32.5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2.6km | 7.6km | 7.2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Oerlikon Mk4 | 9×1 | 32 | 2.0km |
20mm Oerlikon Mk20 | 17×2 | 104 | 2.0km |
40mm Bofors Mk2 | 6×4 | 95 | 3.5km |
127mm Mk19 mod. 6 | 6×1 | 58 | 4.2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2.9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4.2km | 94초 | 180초 | 2회 | 2번(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200% | 40초 | 150초 | 2회 | 2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4회 | 3번(패드 →) |
미 해군의 조약형 순양함의 최종형,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을 운용하며 얻은 데이터를 통해 극한의 배수량 조절과 무장 배치를 통해 조약형 순양함중 가장 단단한 장갑, 가장 뛰어난 거주성등, 그동안 온갖 불편한 요소를 해결하는 설계의 종점 역할을 해냈다, 이후 살짝 변경하여 브루클린급 경순양함 함체의 기조가 되고, 그 함체는 다시 위치타급 중순양함의 함체로 활용, 다시 발전시켜 볼티모어급 - 오리건시티급 - 디모인급으로 이루어지는 완성형 중순양함 함체의 기조를 다잡아낸 튼튼한 뼈대 역할을 수행해주었다. 자매함 7척중 3척인 아스토리아, 퀸시, 빈센트는 사보섬 전투 도중 격침되었다.
함포는 8인치 Mk.14 3연장 3기 총 9문을 장착하였다, 전티어랑 비교하면 3연장 3기로 깔끔하게 정리했으나, 다들 포문수가 늘어난 시점이다 보니 화력은 평범해졌다. 장전은 1초 빨라졌지만 포 1기가 줄어든 댓가라고 하기엔 조금 심심한 수준.
대신 무력하게 당하던 장갑은 확실하게 개선되어 생존성은 크게 개선되었다, 몸비틀며 탄을 피하며 생존하던 펜사콜라보다 대충 각대며 맞아주는 뉴올리언스가 더 오래 생존하는 정도이니 말 다한 수준, 포탑 장갑 역시 튼튼해진 만큼 펜사콜라 마냥 주포가 자주 터지는 일은 없는 편이다. 기동은 별 차이 없고 조타 능력도 아주 약간의 열화 빼곤 없는 수준이라 펜사콜라의 기동 능력 그대로라 생각해도 무방.
W버전은 스펙은 동일하지만 전용 겨울 위장을 가지며 프리미엄함선이다.
3.3. 볼티모어 - 7티어
| 군축 조약 제한이 해제된 후 설계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에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건조되었다. 선체를 더 크게 설계하였고 갑판 장갑과 추진 장치 부분 장갑을 강화하여 생존력을 향상하였다. 또한, 주함포 외에 양용포를 장착하였다. | 생존 | 48 | |||
함포 | 64 | |||||
대공 | 74 | |||||
기동력 | 61 | |||||
피탐지 | 55 |
특성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203mm Mk15 | 3×3 | 12.0초 | 30.0초 | 15.5km | 1.9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3,000 | 14% | 34mm | ||
철갑탄 | 5,300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127mm Mk32 | 6×2 | 6.0초 | 5.0km | 고폭탄 | 1,800 | 5% | 21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42,400 | 4% | 6~203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730m | 7.8s | 32.5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2.6km | 7.6km | 7.2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Oerlikon Mk4 | 23×1 | 83 | 2.0km |
40mm Bofors Mk2 | 12×4 | 191 | 3.5km |
127mm Mk32 | 6×2 | 91 | 5.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3.1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4.4km | 96초 | 180초 | 2회 | 2번(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200% | 40초 | 150초 | 2회 | 2번(패드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9.0km | 30초 | 180초 | 2회 | 3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4회 | 3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54 | 28초 | 80초 | 2회 | 4번(패드 ↓) |
탈 조약형 중순양함 1호이자 제 2차 세계대전에서 중순양함 최강자인 볼티모어급, 조약형 순양함에서 얻은 설계 사상을 제약없이 풀어내어 가장 효율적인 장갑, 가장 효율적인 전자장비와 대공 장비와 통제시스템, 뛰어난 기동능력까지, 모든것을 다 갖춘 완벽한 중순양함으로 일컫기도 한다. 총 14척이 건조되었으며, 일부 선박은 종전이후 건조되었다, 이후 대공 미사일을 장착해 보스턴급 미사일 순양함, 알바니급 방공 순양함으로 개장되기도 했다.
주함포는 8인치 Mk.15 3연장 함포 3기를 장착하여 총 9문을 운영한다, 이때부터 초중량탄이 적용되어 탄속이 느려지고 고각 탄도를 지니게 되지만 고폭탄 데미지와 철갑탄 데미지가 크게 상승하여 강력한 포격 능력을 자랑한다, 거기다 장전속도가 더 느려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고, 장전 모듈까지 사용이 가능해 최대 9초대로 줄이는것이 가능하다.
장갑은 전체적으로 더욱더 단단해졌고, 선수가 27mm로 올라 15인치 철갑탄까지 우습게 씹고 들어올 정도로 막강한 방어력을 자랑한다. 거기다 기동력도 그렇게 크게 희생되지 않는데다 수리반까지 곁들어져 한 구역에 박혀서 방호하는 능력은 가희 최강. 선수만 내밀고 초중량 철갑탄을 쏴대는 볼티모어는 적 순양함한테 지옥과도 같은 존재, 어뢰만 조심하면 순양함중 가장 최상의 방어 능력을 자랑한다. 대공 능력도 상당히 올라 항모 공격도 적당히 막아줄 수 있는 방공 능력도 선보여준다.
종합적으로 보면 완성형 미국 중순양함이라 봐도 무방하다, 최상의 화력, 최상의 방어력에 지원 능력까지, 단지 장거리 교전 능력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함장을 통해 극은신 빌드로 들어가면 강제로 들어가야만 잡을수 있지만 잡을 수 없는 사신으로 군림할 수 있는 강력한 중순양함이다.
3.4. 버팔로 - 8티어
| 순양함 Baltimore 개발 완료 직후 설계된 CA-B 기획안 중순양함이다. 배수량이 증가하여 군함의 장갑 방호력과 무장이 강화되어 주함포가 총 12문 장착되었다. | 생존 | 56 | |||
함포 | 70 | |||||
대공 | 76 | |||||
기동력 | 54 | |||||
피탐지 | 52 |
특성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203mm Mk15 | 4×3 | 10.0초 | 25.7초 | 15.6km | 2.05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2,800 | 14% | 34mm | ||
철갑탄 | 5,000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127mm Mk32 | 6×2 | 6.0초 | 5.0km | 고폭탄 | 1,800 | 5% | 21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47,800 | 19% | 6~229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800m | 11.2s | 33.0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3.0km | 7.8km | 7.5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Oerlikon Mk20 | 16×2 | 98 | 2.0km |
40mm Bofors Mk1 | 4×2 | 45 | 3.5km |
40mm Bofors Mk2 | 11×4 | 175 | 3.5km |
127mm Mk32 | 6×2 | 91 | 5.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3.4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4.9km | 100초 | 180초 | 2회 | 2번(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200% | 40초 | 150초 | 2회 | 2번(패드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9.0km | 30초 | 180초 | 2회 | 3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100초 | 80초 | 4회 | 3번(패드 →) |
정찰기 | 정찰기를 사출함, 주함포 포탄 집중도 +10% | 30초 | 200초 | 4회 | 3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38 | 28초 | 80초 | 2회 | 4번(패드 ↓) |
4. 2차트리(경순양함)
화재 유발 경순양함
미국 경순양함은 연사력이 뛰어난 여러 문의 함포 덕분에 고폭탄을 쏟아붙어 화재를 유발하는 데 더없이 좋지만, 어뢰를 전혀 사용할 수 없습니다. 7단계부터는 전투에 레이더와 소나를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숨은 적군함도 손쉽게 탐지할 수 있습니다.
* ▲ 장점
- 높은 연사력
- 7단계부터 지속 시간이 긴 레이더 사용 가능
- 3단계부터 소나 소모품 사용 가능
* ▼ 단점
- 느린 포탄 속도
- 약한 방호력
미국 경순양함은 연사력이 뛰어난 여러 문의 함포 덕분에 고폭탄을 쏟아붙어 화재를 유발하는 데 더없이 좋지만, 어뢰를 전혀 사용할 수 없습니다. 7단계부터는 전투에 레이더와 소나를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숨은 적군함도 손쉽게 탐지할 수 있습니다.
* ▲ 장점
- 높은 연사력
- 7단계부터 지속 시간이 긴 레이더 사용 가능
- 3단계부터 소나 소모품 사용 가능
* ▼ 단점
- 느린 포탄 속도
- 약한 방호력
1티어 알바니부터 사용하는 152mm, 6인치 함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순양함 트리이며, 뛰어난 연사력을 자랑하는 주함포로 DPM과 화재 유발 능력으로 상대를 괴롭히고 많은 지원형 소모품으로 아군을 지원하는 운영을 하게 된다.
1차 트리와 다르게 철갑탄에 보정이 없어 고폭탄만 사용하게 된다, 대신 5티어~7티어의 철갑 신관이 짧아 순양함이나 구축함, 전함 상부구조물 상대로 매우 파괴적인 화력을 자랑하므로 아예 안쓰는것은 아니다. 특히 연사력이 매우 좋으므로 매우 높은 DPM을 내세워 상대를 철거하는것이 가능하다. 중순양함 트리와 마찬가지로 어뢰가 없다.
해당 트리의 레전더리는 우스터이며, 경순양함 트리 내의 선박이 없어도 진행이 가능한 일반 프로젝트이다.
4.1. 댈러스 - 5티어
| Helena급 순양함보다 앞서 개발된 소형 경순양함 설계 버전이다. 적당한 속력, 어뢰 무장 미탑재, 152mm 양용포 등 이후 등장하는 미해군 순양함의 특징을 고스란히 지니고 있다. | 생존 | 31 | |||
함포 | 47 | |||||
대공 | 49 | |||||
기동력 | 61 | |||||
피탐지 | 61 |
특성 |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152mm Mk13/16 mod. 1 Twin 152mm Mk13/16 mod. 1 | 2×2 2×3 | 8.5초 | 20.0초 | 14.6km | 2.0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2,200 | 12% | 25mm | ||
철갑탄 | 3,200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127mm Mk24 mod. 11 127mm/38 Mk29 mod. 0 | 2×1 2×2 | 6.0초 | 4.0km | 고폭탄 | 1,800 | 5% | 21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28,300 | 4% | 6~89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650m | 8.0s | 32.5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1.6km | 6.9km | 5.4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Oerlikon Mk4 | 14×1 | 50 | 2.0km |
40mm Bofors Mk1 | 6×2 | 68 | 3.5km |
127mm Mk24 | 2×1 | 16 | 5.0km |
127mm/38 Mk29 mod. 0 | 2×2 | 30 | 5.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2.8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3.9km | 92초 | 180초 | 2회 | 2번(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200% | 40초 | 150초 | 2회 | 2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4회 | 3번(패드 →) |
4.2. 헬레나 - 6티어
| Brooklyn급 군함에 가까운 경순양함으로 선체 구조와 양용포를 장착한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동급 군함 중 일부는 152mm 15문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 생존 | 38 | |||
함포 | 48 | |||||
대공 | 57 | |||||
기동력 | 58 | |||||
피탐지 | 58 |
특성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152mm Mk16 mod. 1 | 5×3 | 9.0초 | 20.0초 | 14.2km | 2.0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2,200 | 12% | 25mm | ||
철갑탄 | 3,200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127mm/38 Mk29 mod. 0 | 4×2 | 6.0초 | 4.5km | 고폭탄 | 1,800 | 5% | 21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33,300 | 4% | 6~165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680m | 9.1s | 32.5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2.1km | 7.2km | 5.8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Oerlikon Mk4 | 10×1 | 36 | 2.0km |
20mm Oerlikon Mk20 | 4×2 | 24 | 2.0km |
40mm Bofors Mk1 | 4×2 | 45 | 3.5km |
40mm Bofors Mk2 | 4×4 | 64 | 3.5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3.0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4.0km | 100초 | 180초 | 2회 | 2번(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200% | 40초 | 150초 | 2회 | 2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4회 | 3번(패드 →) |
4.3. 클리블랜드 - 7티어
| Cleveland급 순양함이다. 동급 군함 중 대공 성능과 장갑 방호력이 매우 뛰어난 편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가장 강력한 경순양함 중 하나이다. | 생존 | 42 | |||
함포 | 51 | |||||
대공 | 72 | |||||
기동력 | 64 | |||||
피탐지 | 55 |
특성 | |||||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152mm Mk16 mod. 1 | 4×3 | 7.0초 | 20.0초 | 15.3km | 2.0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2,300 | 13% | 25mm | ||
철갑탄 | 3,300 | - |
부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포탄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127mm Mk32 | 6×2 | 6.0초 | 5.0km | 고폭탄 | 1,800 | 5% | 21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36,900 | 4% | 13~165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660m | 7.2s | 33.0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2.5km | 7.5km | 6.1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Oerlikon Mk20 | 23×2 | 140 | 2.0km |
40mm Bofors Mk1 | 6×2 | 68 | 3.5km |
40mm Bofors Mk2 | 4×4 | 64 | 3.5km |
127mm Mk32 | 6×2 | 91 | 5.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3.1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4.4km | 96초 | 180초 | 2회 | 2번(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200% | 40초 | 150초 | 2회 | 2번(패드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9.0km | 30초 | 180초 | 2회 | 3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184 | 28초 | 80초 | 2회 | 4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3회 | 4번(패드 ↓) |
4.4. 시애틀 - 8티어
| 152mm 양용포를 주함포로 채택한 최초의 미 해군 경순양함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추가 개발을 통해 Worcester급 순양함이 탄생했습니다. | 생존 | 56 | |||
함포 | 48 | |||||
대공 | 82 | |||||
기동력 | 59 | |||||
피탐지 | 54 |
특성 | ||||
|
|
주함포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152mm/47 DP Mk17 | 4×3 | 6.5초 | 22.5초 | 15.3km | 2.05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2,300 | 14% | 30mm | ||
철갑탄 | 3,500 | -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43,600 | 4% | 13~178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750m | 8.7s | 33.0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2.8km | 7.7km | 6.3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 Oerlikon Mk4 | 24×1 | 86 | 2.0km |
40mm Bofors Mk2 | 12×4 | 191 | 3.5km |
152mm/47 DP Mk17 | 4×3 | 90 | 6.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5초 | 6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소나 | 범위 내 어뢰 강제 탐지 3.3km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4.7km | 98초 | 180초 | 2회 | 2번(패드 ↑) |
대공 방어 사격 | 평균 대공 공격력 +200% | 40초 | 150초 | 2회 | 2번(패드 ↑) |
레이더 | 범위 내 군함 강제 탐지 9.0km | 35초 | 150초 | 2회 | 3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08 | 28초 | 80초 | 2회 | 4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3회 | 4번(패드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10% | 30초 | 200초 | 3회 | 4번(패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