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서울특별시 | COEX | aT센터 | SETEC | |
부산광역시 | BEXCO | ||||
대구광역시 | EXCO | ||||
인천광역시 | 송도컨벤시아 | ||||
광주광역시 | 김대중컨벤션센터 | ||||
대전광역시 | 대전컨벤션센터 | ||||
울산광역시 | 울산전시컨벤션센터 | ||||
경기도 | KINTEX | 수원메쎄 | |||
충청북도 | 청주OSCO* | ||||
전북특별자치도 |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 | ||||
경상북도 | 구미코 | 안동국제컨벤션센터 | |||
경상남도 | 창원컨벤션센터 |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 |||||
<colbgcolor=#00adef><colcolor=#fff> | ||
<nopad> | ||
| ||
| ||
한문명칭 | 蔚山展示컨벤션센터 | |
영문명칭 | Ulsan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 |
개관일 | 2021년 4월 29일[1] | |
전시면적 | 총계 | 7,776㎡ (1단계 계획) |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울산역로 255 (교동리) | |
웹사이트 |
1. 개요
울산전시컨벤션센터(약칭 UECO, 통칭 유에코)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KTX 울산역 인근)에 위치한 전시 및 컨벤션 시설이다.2. 연혁
울산광역시에 MICE산업에 따른 전시장을 짓자는 말은 무려 1970년대부터 나왔다. 그러나 계속 중앙정부에서 울산의 컨벤션센터 건립을 불허했고, 1995년 지방자치제가 전면 시행되고 나서야 간신히 계획을 잡게 된다. 울산전시컨벤션센터의 건립 논의는 2000년대 초반 처음 제기되었다. 울산 북구 진장유통단지 조성 당시 전시컨벤션시설의 필요성이 언급되었으나, 입지와 규모, 예산 문제 등으로 오랜 기간 사업이 지연되었다. 이후 KTX 울산역 역세권 개발과 연계하여 부지를 원래 북구로 예정된 것에서 울주군으로 바뀌며 계획이 본격화되었다. 역세권개발사업인 울산역세권개발사업에 따라 2015년 드디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2017년 12월 공사를 시작했다. | |
<colbgcolor=#00adef><colcolor=#fff> 2018년 2월 27일에 개최한 기공식 | <colbgcolor=#00adef><colcolor=#fff> 2021년 4월 29일에 개최한 개관식 |
기사1 기사2 기사3
3. 시설 안내
울산전시컨벤션센터는 부지 면적 4만3,000㎡, 건축 연면적 42,982㎡에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건립되었다.1층에는 약 7,776㎡ 규모의 전시장이 있어 380여 개 부스 설치 또는 최대 약 7,600명 수용이 가능하며, 둘 혹은 넷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1층에는 3개실, 총 299.82㎡의 규모로 최대 300명 수용 가능한 회의실과 VIP 대기실, 회의실, 보드미팅룸 그리고 수유실이 마련되어있다.
2층에는 6개실, 총 808.6㎡로 최대 700명 수용 가능한 회의실과 2층 로비에는 참가자와 방문객을 위한 개방형 스마트라운지(휴게 및 미팅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3층에는 대규모 컨벤션홀이 위치하여 최대 1,440명이 수용 가능한 총 1,260㎡ 규모의 컨벤션홀이 마련되어있다.
주차시설은 지하주차장, 지상주차장 그리고 하역장주차장으로 구성된 주차면수 총 800면의 주차장이 24시간 운영되고있다.
4. 상세
문제는 규모인데 고작 8,000㎡ 이다. 인근의 부산 BEXCO는 1·2전시관 합산 46,380㎡이며, 그보다 작은 대구의 EXCO도 1·2전시관 합산 37,183㎡ 규모이다. 울산광역시에 있는 기업이 얼마나 많은데 대체 8,000㎡ 짜리 전시장을 짓겠다는 계획은 말이 되지 않는 수준으로 작다. 이는 부산 BEXCO의 1 전시관 1홀 크기랑 비슷한 수준이다. 이미 2019년 수원컨벤션센터가 개장하기도 전인 2019년 3월에 사전예약 이벤트 만으로 가동률 70% 돌파라는 과포화 상태가 된 만큼, 2020년 울산컨벤션센터 개장 시 상황을 대충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창원컨벤션센터는 확장 공사를 3번이나 했는데도 가동률이 과포화선인 70% 밑으로 안 떨어져서 제2컨벤션센터 떡밥이 나오는 수준이다. 이 모양 이 꼴이라면 개장하자마자 확장 공사 얘기부터 나올 가능성이 100%이다.하지만 개장 이후 1년만에 적은 가동률로 지적을 받았다. 이건 유에코 개관 초기가 코로나19 상황이라 정착에 애를 먹었던 것이고[2] 그러나 2024년부터는 울산컨벤션센터 가동률도 40%를 넘어서며 적정선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고 울산역세권개발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방문객도 확연히 늘어나고 있다. 울산역세권 2단계인 울산역세권복합특화단지개발사업이 이뤄지면 유에코 주변이 더 발달하게 된다.
UECO주변의 지적편집도 | |||
<rowcolor=#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울산전시컨벤션센터 확장 부지 | |||
<rowcolor=#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인근에 경부고속도로와 도보로 10~15분 거리에 위치해 있는 울산역덕분에 타지에서 KTX와 SRT 그리고 자동차를 타고 오는 사람에게 접근성이 좋다. 반면 버스 및 항공편이나 그 외 울산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접근성이 좋지 않다. 그나마 다행히 리무진버스가 있어 가는 방법은 단순하나 거리가 멀어 소요시간에 큰 문제가 있다.
단적인 예로, 울산에서 이따금씩 열리는 각종 일자리박람회의 경우 규모 면에서 UECO가 더 넓음에도 불구하고 교통편 및 접근성 수요에 따라 도심 인근의 체육관 등에서 열리는 걸 선호할 정도이다. 가령 체육관에서 80여 부스를 빡빡하게 갖춰도 접근성 때문에 최소 몇천 명은 방문이 보장되는 반면, UECO에서는 100여 부스를 널널히 갖추더라도 방문자 네자리 수를 채우기가 훨씬 어렵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서울 킨텍스 역시 규모에 반해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과 같은 맥락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사람들이 먼 거리를 감수하고서라도 방문하게 만들 방안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정도다.
개관한지 1년 만에 호평일색이던 지역언론에서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2022.07.23/뉴스데스크/울산MBC2022.11.04/뉴스데스크/울산MBC
지역산업기반의 마이스행사유치가 거의 없고, 상품 전시홍보행사장으로 전락했는데 그나마도 가동률이 40%가 채 안된다.
2023.06.09/뉴스데스크/울산MBC 가동률은 2021년 35.5%에서 2022년 33.1%로 개선은 커녕 하락하였고, 비수기 장기대관시 할인율을 최대 80%까지 검토하는 등 수익성은 포기하고 가동률을 끌어올리는데 노력하고 있다.
또한 운영주체가 울산광역시 산하 울산관광재단에서 운영하고 있어 전문성 역시 떨어지는데, 공공기관 통폐합기조에 맞물려 울산문화재단과 통폐합하여 울산문화관광재단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그러면 더욱 운영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질것으로 보여 전문성있는 운영기관으로 운영주체가 바뀔 필요성이 있어보인다.
코로나19 국면이 끝나면서 2024년 울산컨벤션센터는 가동률이 40%를 넘어섰다. 기사 또한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예비 국제회의지구에 선정돼 중앙정부 지원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기사
2025년 8월 코믹월드를 진행할 예정이다. 해당 사업은 울산시의 신규 행사 유치 보조금(1개 행사당 3000만원)을 받아서 진행하는 사업이다. 기사
2025년 4월 20일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 후보 경선 영남권 순회 경선을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다. 기사
5. 교통
5.1. 시내버스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dddddd><table bgcolor=#ffffff,#1f2023> 울산전시컨벤션센터(30468·30469) ||
일반 | |
직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