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12:29:40

우리의 소원

우리의 소원은 통일에서 넘어옴
1. 개요2. 곡 정보
2.1. 북한통일 노래 대체 시도
3. 가사4.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안석주[1] 작사, 안병원 작곡의 동요. 1947년 발표되었다.

2. 곡 정보


1947년 당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학부생이었던 안병원조선방송협회에서 어린이 프로그램 담당으로 근무하던 친구의 의뢰를 수락하면서 작곡되었다. 당시 3·1절 특선 아동 뮤지컬이었던 "독립의 날"에 포함되어 있던 다섯 곡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이 곡만 남아 불리고 있다.[2]

중간에 가사가 한 번 바뀐 적이 있는데 처음에는 가사가 통일이 아닌 독립이었었다. 미군정기인 당시에는 일본 제국의 압제에서 해방되어 자유를 되찾았으나 미군정이 행정을 총괄하고 좌우익으로 상징하는 냉전 체제의 대립이 극심했던 탓에 진정한 의미의 자주독립과는 거리가 멀었던 것. 이후 1948년 자주정부인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6.25 전쟁으로 남북분단이 격화되면서 1954년 문교부의 제안을 받아들여 통일로 수정되었다.

2013년 이 노래를 작곡한 안병원"이제는 이 노래를 그만 불렀으면 좋겠다"는 씁쓸한 인터뷰를 하였다. 어서 빨리 통일이 와서 분단의 아픔을 상징하는 이 노래가 더 이상 불러질 일 없이 역사속으로 사라지기를 바랐던 것이다. 그러나 그런 간절한 바람에도 불구하고 안병원은 통일을 보지 못하고 2015년 사망하였다.

김대중 전 대통령도 평소에 이 노래를 즐겨 불렀으며 2009년 8월 23일에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영결식에서 고인을 추모하는 장송곡 중 하나로 연주되었다.

북한에서는 김일성 집권기인 1980년대부터 평양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참가한 임수경에 의해 알음알음 퍼지다가 햇볕정책의 일환으로 개최된 2000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이 이 노래를 부르는 것을 계기로 북한 인민대중에게도 전파되었다. 김정은 역시 아버지가 부른 노래인만큼 어느정도 용인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6년 북한의 4차 핵실험이후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금지곡으로 선포하고 보위부, 인민보안부를 동원해 대대적으로 단속했는데 김정은이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 아니라, 강성대국이 되는 것'이라고 교시한 것이 이유라고.

그러나 이후 문재인 정부 시기 판문점에서 개최된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을 보도한 북한 기록 영화[3]의 배경 음악으로 이 곡이 깔렸으며, 같은 해 평양에서 개최된 남북평화 협력기원 남측예술단 평양공연Red Velvet이 이 노래를 부르기도 하였고, 금강산에서 개최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서 북측 이산가족들과 적십자회 보장성원들 역시 이 노래를 부른 바 있다. 아마도 상기한 금지곡 선정은 다소 즉흥적으로 선포되었다가 주민들의 반발[4]이나 남북관계를 의식해 은근슬쩍 해금한 것으로 보인다.

2024년부터는 북한이 아예 남한을 같은 민족이 아닌 적대 국가로 규정하고, 통일에 관한 것들을 적폐로 취급하기 때문에 사실상 북한에서는 금지곡이 된 것으로 보인다.

2.1. 북한통일 노래 대체 시도


우리의 소원이 아무래도 남한의 시각이 깊게 담긴 노래인지라 북한에서는 백두와 한나는 내 조국이라는 노래를 밀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초 북한 삼지연관현악단 서울 공연 때 가수라기보다는 고위 정치인으로 인식되는 현송월 단장이 이 노래를 개사하여 불러 강한 인상을 심었고, 동년 4월 3일 남북평화 협력기원 남측예술단 평양공연에서도 후반부 남북 가수 합동 무대에서 우리의 소원 대신 이 노래를 연출의 정점에 놓음으로써 남북 행사의 차세대 표준곡, 혹은 우리의 소원과 같은 위치에 놓으려는 의도를 보여주었다.남북측 합동 공연 전체 영상

곡의 퀄리티 자체는 매우 우수한 편이다. 하지만 북한 내부에서만 이 노래가 사용되던 시절의 원래 가사는 김씨일가 개인숭배적 요소가 상당했고 그 문제를 남측에서 지적하자 방남한 김영남, 김여정[5], 현송월이 임기응변으로 고쳐버린 가사가 현재 남북 공동행사에서 사용되는 버전이라는 흑역사가 있는 데다 2절 이후부터는 21세기의 남한에게는 이민자 집단에 대한 소외와 차별을 걱정해야 할 정도로 부담스러울 정도로 민족주의 요소가 심하게 담겨 있어 남한에서 이 노래가 인정을 받을지는 미지수라고 할 수 있다.

3. 가사

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
이 정성 다해서 통일
통일을 이루자

이 겨레 살리는 통일
이 나라 살리는 통일
통일이여 어서오라
통일이여 오라

4. 매체에서



[1] 1901년~1950년. 안병원의 아버지로 한때 영화감독, 각본가, 만화가, 작가 등 예술계의 팔방미인으로 활동하면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에 가입하기도 하였으나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변모하여 친일인명사전에 오르는 등 굴곡진 인생을 살았다. 여담으로, 돈지랄 문서에 나온 조선일보 1934년판 만화를 그린 안석영이 바로 안석주다. "우리의 소원"이 나왔을 때에는 과거를 청산하고 다시 한국과 손을 잡았지만 이미 친일파로 알려져버려 씻을 수 없는 행적을 갖고 말년을 살다 1950년에 작고하였다.[2] 여담으로 이 뮤지컬이 선보였던 1947년 3·1절은 제주 4.3 사건의 단초가 된 제주 삼일절 발포 사건가 일어난 날이기도 하다.[3] 해당 링크의 영상은 연합뉴스에서 인용하여 방영한 것이다.[4] 상술했던 것처럼 김정일이 즐겨 불렀던 것을 금지곡으로 만든 탓에 주민들의 불만이 컸다. 보안원들도 온 나라 사람들이 술자리 노래로 써도 문제없을 만큼 대중적이었던 노래를 어느날 갑자기 처벌한다고 하면 요즘 북한 같은 분위기에서는 체포는커녕 멱살 잡혀 내쫒길 판인 데다 '조국 통일을 하자는데 동무는 반대하시오?' 같은 북한에서 통하는 무적의 논리가 등판해 버리면 뒷목을 잡게 된다.[5] 아무리 김영남과 현송월이 북한에서 끗발 날리는 권력자라고 해도 수령 숭배 요소를 자신의 권한만으로 가사에서 뺄 수는 없다. 2015년, 현송월이 최중요 동맹국인 중국 공연 때 ICBM이 발사되는 장면을 배경에서 빼 달라 요청을 받으니 "원수님의 작품은 점 하나 뺄 수 없다"며 공연 취소를 강행한 적이 있었다. 백두혈통인 김여정의 결단이 없었다면 개사가 불가능했으므로, 이 노래도 남한 무대에 올라가는 일이 없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