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2 23:12:07

우리은행 종로금융센터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4호]⠀
{{{#!wiki style="margin:-10px 0"
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화양동 느티나무[A]}}}
  1. 강감찬 생가 터(낙성대)
  2. 세검정 터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이화장[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만해한용운심우장[5]}}}
  1. 양천향교 터
  2. 망원정 터
  3. 보신각 터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허가바위[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낙천정 터}}}
  1. 무악산 동봉수대 터
  2. 목멱산 봉수대 터
  3. 아차산 봉수대 터
  4. 배재학당 동관
  5. 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
  6. 구용산수위관측소
  7. 광통관
  8. 구세군 중앙회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아차산홍련봉보루유적[7]}}}
  1. 류순정·류홍 부자 묘역
  2. 해공 신익희 가옥
  3. 화의군 이영 묘역
  4. 숙용 심씨 묘표
1.#26 영산군 이전 묘역
  1. 충정공 목서흠 묘역
  2. 도봉서원과 각석군
  3. 완남부원군 이후원 묘역
  4. 월산대군 이정 태실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인왕산 수성동 계곡[A]}}}
  1. 불암산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방학동 은행나무[A]}}}
  1. 호안공 이등과 의령옹주 묘역
  2. 경천군 이해룡 사패지 송금비
  3. 수유동 분청사기 가마터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성균관 대성전 은행나무[A]}}}
  1. 서울광장 지하배수로
  2. 남대문로 지하배수로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인왕산 백운동 계곡[A]}}}
  1. 태평로2가 지하배수로
  2. 배봉산 보루
  3. 숙선옹주(선빈) 안씨 묘
  4. 사릉 석물 채석장 터

[A] 2024년 7월 11일에 기존 서울특별시 기념물에서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목록이 서울특별시 자연유산으로 분리되며 지정해제[A] [A] [4] 사적 제497호로 승격[5] 사적 제550호로 승격[A] [7] 사적 제455호로 승격[A] [A] [A] [A]
}}}}}}}}}}}}
{{{#!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7aa><rowcolor=#ffffff> 우리은행 종로금융센터
파일:우리은행 CI.svg
<colbgcolor=#0067aa><colcolor=#ffffff> 설립시기 1899년(광무 3년) 1월 30일
건립시기 1909년(융희 3년) 5월
위치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118 (남대문로1가)
영업일 평일 09:30 ~ 16:00
공휴일 및 주말 휴무
전화번호 02-734-4491
링크 파일:우리금융그룹 심볼마크.svg

서울특별시 기념물
<colbgcolor=#ae1932><colcolor=#fff> 광통관
廣通館
분류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 근대산업생산 / 금융업
수량 / 면적 건물 1棟, 토지 437.2㎡
지정연도 2002년 3월 5일
시대 1909년(융희 3년) }}}
파일:광통관.jpg
<colbgcolor=#0067aa> 우리은행 종로금융센터로 쓰이는 광통관[1]
TBS에서 제작한 광통관 영상
1. 개요2. 역사3. 이용안내4. 건축5. 여담6. 대중매체에서

1. 개요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에 있는 우리은행 지점. 중구에 있는데 이름은 '종로금융센터'이다.
파일:광통교.png
<colbgcolor=#006fb9> 광통관 이름의 유래인 청계천 광통교[2]
'광통관(廣通館)'이란 별칭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근처에 청계천 광통교(廣通橋)가 있어 붙은 이름이다.

2. 역사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 건물 중 하나이다. 1907년(광무 11년)에 대한제국 탁지부에서 금융 관련 회합장으로 지었다. 설계와 공사 모두 탁지부 소속 건축소에서 맡았다. 1908년(융희 2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년 여 뒤인 1909년(융희 3년)에 완공했다.

완공 후에는 대한천일은행과 수형조합이 입주했으며 둘 다 1층을 사용했다. 단, 둘의 공간은 나눠져 있어서 출입구도 따로 있었다. 2층에는 회의실, 흡연실, 대기실, 접견실 등 집회 공간이 들어섰다.

1914년 2월에 불 타 1년 뒤에 재건했는데 이때 부분적으로 많이 바뀌었다. 대표적으로 돔과 장식부, 창문 일부 등을 들 수 있다. 그 뒤로도 돔 상부 등이 바뀌었고, 시대에 따라 실내 구조가 리모델링되는 등 약간의 변화는 있었다.
파일:광통관 옛 모습.jpg
<colbgcolor=#006fb9> 1920년대 ~ 1930년대 광통관 일대. 왼쪽부터 한성은행, 다이도생명보험 경성지점, 조선상업은행 종로지점(광통관)이다.

이후 광통관은 조선상업은행 종로지점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종로에서 남대문로로 이어지는 구간에는 경성금융상업의 핵심 시설들이 늘어서 있었다.[3] 광통관은 여기에 포함되어 경성 금융을 상징하는 건물 중 하나가 되었다.

8.15 광복 이후에는 한국상업은행 종로지점, 한빛은행 종로지점을 거쳐 현재는 우리은행 종로금융센터로 쓰이고 있다.

2002년 3월 5일에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9호로 지정받았다.

3. 이용안내

4. 건축

5. 여담

6. 대중매체에서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사진 출처.[3] 화신상회(화신백화점) - 동일은행 - 한성은행 - 조선상업은행 종로지점(광통관) - 조선식산은행 - 조선상업은행 본점 - 미츠코시 백화점 - 조선저축은행 - 조선은행 순이다.[4] 사진 출처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