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22:08:58

용인 버스 810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0060af>
파일:용인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파일:810용인공공.jpg 파일:810_9219.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경합4.2. 사건·사고4.3.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개요

동백지구(초당고)와 분당(미금역)을 잇는 용인시의 마을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용인시 CI_White.svg 용인시 마을버스 810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용인마을 810번 노선도 배경.png
파일:용인마을버스 810번 노선도.svg
}}}}}}}}} ||
기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초당고등학교) 종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미금역)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6:15
막차 23:20 막차 00:05
평일배차 7~20분 주말배차 9~20분
운수사명 승진여객 운행대수 19대
노선 초당고 - 동백2동행정복지센터 - 동백고 - 백현중 - 동백중 - 호수마을자연앤데시앙 - 물푸레마을 - 법화ㆍ마북터널 - 꽃메마을1~2단지 - 독정초교 - 보정고 - 죽현마을 - 오리역 - 미금역

3. 역사

파일:1638946876.png
파일:1638946876-1.png }}}
파일:1638979787.png
파일:1639587275.png }}}

4. 특징

4.1. 경합

승진여객의 대표 간판 노선이며, 사실상 용인시 마을버스 수요 1위라고 봐도 무방한 노선이다. 구간구간마다 다른 노선들의 수요를 분담하거나 가져가는 모습을 보인다.

4.2. 사건·사고

4.3. 시간표

파일:용인-승진여객 810(15대).png

5. 연계 철도역


[1] 1997년 11월경 경일여객에서 좌석버스 노선으로 신설하여, 2000년 4월 경남여객 계열사인 성산교통으로 이관되며 입석형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전환되었다가, 2003년경 경남여객으로 이관되었으나 적자로 인해 2004년 폐선되었다. 이 810번은 동백을 경유하지 않고, 현 820번과 거의 유사한 노선으로 운행한 820번의 전신이다.[2] 과거 임시역사 보정역이다.[3] 보정역 경유를 위해 죽전중앙공원에서 죽현마을을 거쳐 바로 보정역으로 가지 않고 보정고 방면으로 돌아가는 굴곡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이 때문에 보정역 정류장 역시 기존 1번과 반대 방향으로 변경되었다.[4] 당시 통합 흔적은 지금 노선에서도 찾을 수 있는데, 미금역 진입 용인시 마을버스들은 모두 오리역부터 미금역까지 무정차로 운행하나 810번은 두 역 사이 성남시 정류소 2개에 모두 정차한다. 또한 미금역.청솔마을.2001아울렛 역시 1번출구 앞 정류소에서 승하차를 끝내는 타 노선들과 달리 이곳에서는 하차만 하고 8번출구 앞에서 승차한다. 과거 오리역 7번출구 앞 정류소에 정차했던 것 또한 시내버스로의 통합 흔적이다.[5] 용인 마을버스 24와 비슷한 수준이다.[6] 이 노선을 제외한 나머지 죽전동 마을버스들은 1번출구에서 승하차하며 U턴하여 8번출구 정류장과 하얀, 까치마을 정류장등은 통과하고 바로 오리역으로 간다.[7] 구성/마북경유 마을버스 노선들은 3번출구에서 내려주지만, 이 노선은 청솔마을사거리에서 유턴하기 때문에 8번출구 앞에서 타야한다.[8] 법화, 마북터널 내에서의 제한속도는 60km/h이지만, 수지구로 진입하는 방면으로는 과속카메라가 없는 탓에 전체적인 교통흐름은 약 75~100km/h 정도이다. 810번의 경우 70~100km/h로 교통흐름을 우선시하고, 390번의 경우는 평균 40km/h로, 규정속도를 우선시하기 때문에 이같은 시간차가 발생하는 것이다.[9] 특히 동백지구 내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요가 많다.[10] 카운티, 레스타, eBus-7[11] 810번 버스의 안전거리 미확보와 전방주시 태만[12] 죽현마을 단국대입구 하행선 정류장은 추월이 불가능하기 때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