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6:16:48

용수초등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북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구남초등학교 구포초등학교 금곡초등학교
금명초등학교 금창초등학교 대천리초등학교
덕성초등학교 덕양초등학교 덕천초등학교
만덕초등학교 명덕초등학교 명진초등학교
백산초등학교 백양초등학교 상학초등학교
신금초등학교 신덕초등학교 신천초등학교
양덕초등학교 양천초등학교 와석초등학교
용수초등학교 포천초등학교 학사초등학교
화명초등학교 화잠초등학교 화정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용수초등학교 1관.png
파일:용수초등학교 2관.png
학교 전경[1]
<colbgcolor=#003586><colcolor=#fff> 용수초등학교
龍水初等學校
Yongsu Elementary School
파일:용수초등학교 로고.png
개교 2002년 3월 1일
성별 남녀공학
형태 공립
교장 윤미영
교훈 튼튼한 몸으로 슬기로운 생각과
아름다운 마음을 다듬는 어린이
교화 장미
교목 소나무
학생 수 791명[기준]
교직원 수 60명[기준]
관할 교육청 부산광역시북부교육지원청
주소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신도시로 53 (화명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nopad>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시설
3.1. 1층3.2. 2~5층3.3. 6층3.4. 외부 시설
4. 여담5. 학교 행사6. 방과후 활동7. Y-STAR 제도
7.1. 제도의 문제점
8. 교훈 및 상징
8.1. 교표8.2. 교화8.3. 교목8.4. 상징 캐릭터: 미르와 미리8.5. 교가8.6. 교훈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9.2. 지하철
10. 이야깃거리11. 사건/사고12.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다.

2. 학교 연혁

3. 학교 시설

3.1. 1층

1층에는 학교 도서관, 보건실 이 있다. 1층부터 6층을 잇는 엘리베이터가 존재하지만, 학생들은 아플때만 허가증을 걸고 사용해야한다.

3.2. 2~5층

2~5층에는 학교 교실이 있으며, 중앙계단 앞 공간에는 원래 뭔가 음침해보이는 쉼터(정확한 명칭은 방과후쉼터)가 있었으나, 2020년에 들어서 쉼터 공사를 진행하여 독서(2층), 창의(3, 4층), 문화예술(5층)[4]을 테마로 한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그러나 기껏 공사 다 해놨는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터지는 바람에 2020학년도 6학년들은 공간을 이용해보지도 못하고 졸업하게 되어버렸다... 3층에는 학교 최대 강당인 용수관이 있다. 여담으로 2024년 기준 4층 공간은 못들어가도록 되어있다.[5]

3.3. 6층

6층에는 용수관보다는 작은 강당인 소나무관과 장미관이 있다. 소나무관이 장미관보다 조금 더 크며, 두 강당은 서로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에 있다. 그래서 소나무관과 장미관을 잇는 복도는 엄청나게 짧다.

2022년 리모델링으로 강당도 리모델링 되었다.

이와 동시에 6층 화장실도 싹 리모델링 되어 덕분에 6층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6] 강당 내부는 따뜻한 우드톤으로 리모델링 되었다.소나무관은 모서리 마다 에어컨이 자리 잡았으며 미치도록 시원하다. 장미관도 입구 쪽과 뒤 쪽에 에어컨이 있다.

대부분 소나무관은 5학년이, 장미관은 6학년이 쓴다.

3.4. 외부 시설

밖에는 놀이터와 운동장이 있다. 하지만 사실상 놀이터는 용수 병설유치원 유치원생들의 전유물로, 점심 쉬는 시간에 가보면 유치원생들이 놀이터를 점령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사이에 눈치없이 끼어들어 놀면 유치원 선생님들에 의해 구박당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유치원 쪽에도 학교로 이어지는 계단이 있지만 그것도 유치원생들의 전유물이라 제지당할 게 뻔하니 가지 않는 것이 좋다.[7]

운동장은 바닥이 흙으로 되어 있으며, 철로 된 운동기구(철봉 등)이 몇 개 존재한다.~ 운동장이지만 사실상 체육시간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거의 99.9% 장미관 혹은 소나무관에서 수업하고, 달리기 등 실내에서 하기 힘든 활동은 덥지 않다면 매우 낮은 확률로 운동장을 이용한다. 체육 시간에 사용하지 않는 대신 점심 쉬는 시간에는 그야말로 학생들의 핫플레이스로, 밥먹고 나온 학생들이 몰려나와 친구들끼리 노는 광경을 흔히 목격할 수 있다.

운동장과 학교 건물 사이에는 세종대왕 동상이 있다.

4. 여담

학교 아주 가까이에 CU가 있는데, 테이블이 두 개가 있다. 그 테이블 2개 탓인지 테이블 1개를 차지하고 앞에는 모르는 학생이 앉으면 어색한 분위기를 피하지 못한다고 한다.

용수초 뒤에는 용수중학교가 있는데 용수중 뒤로는 코오롱하늘채 1, 2차가 있고 앞으로는 화명 현대2차, 롯데캐슬카이저, 대림쌍용 등이 있다.

초등학교 치고는 넓은 학교이기도 하고 구조도 복잡해 처음 입학한 1학년이나 전학온 학생들은 길을 몰라서 헤매는 경우가 많이 있기도 하다.[8]

용수초등학교는 대림쌍용 강변타운 701동과 아주 낮은 담장 하나 를 기준선으로 직접 맞닿아 있는데, 등하교시간에 대림쌍용 701동 부근에 사는 3~6학년 학생들은 이 담장을 넘어서 집을 가기도 한다.

용수초등학교에는 강당이 3개(장미관, 소나무관, 용수관)이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큰 강당인 용수관은 체육할 때는 많이 쓰이지 않고 1년에 한 두번 있는 교육에 많이 사용된다.

5. 학교 행사

1년에 한 번씩 용수 스포츠데이를 개최한다. 짝수 반과 홀수 반이 대결하는 구도로, 1, 2교시는 운동장에서 진행하고 3, 4교시는 용수관에서 진행한다.

1학기에 한 번씩 현장체험학습을 간다. 1학년정도의 저학년들은 주로 근처의 장미공원이나 기후변화체험관, 또는 화명생태공원에 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6학년은 덤으로 1박 2일 수학여행까지 가지만, 2020학년도 6학년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갈 수 없게 되었다.

학교이니만큼 용수 학예회를 개최한다. 원래는 용수관에서 진행했지만, 2019년에는 특이하게도 졸업인 6학년을 제외한 모두가 각 반 교실에서 학예회를 진행했다.

1년에 한 번씩 톡톡 글꼴 대회를 개최하는데, 한글 사랑 독도 사랑이라는 글자를 자신만의 글꼴로 표현하면 되는 대회다. 생각보다 독특한 작품들이 꽤나 나온다고.

6. 방과후 활동

중, 고등학생들이야 대부분 학원을 가거나 과외를 한다. 하지만 초등학생들은 학교가 끝나면 1/3~절반 이상은 방과후를 신청한다. 방과후의 종류에는 컴퓨터, 영어, 한자, 과학실험, 요리 등이 있고 각 전담실에서 진행하게 된다. 유독 인기있는 방과후로는 컴퓨터가 있는데 타자연습 이벤트, 컴퓨터로 하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은 방과후시간이다. 방학때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게임 만들기, 게임 CD, 맛있는 간식 등을 많이 주기도 한다. 그리고 컴퓨터 방과후가 결정적으로 인기를 끌 수 있었던 이유에는 수업이 빨리 끝나거나 제시간에 끝나도 몇분, 많게는 20분정도까지 게임이나 유튜브를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쉬는 시간도 많이 준다. 하지만 자격증을 따려는 목적으로 신청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자격증을 따기 위해 시험기간 비슷하게 연습을 하는데, 이것은 진짜 중고등학교 시험기간만큼 빡셀때도 있긴 하다. 그리고 컴퓨터 외에도 인기를 끄는 방과후는 요리 정도가 있고 인기를 끌지는 않지만 필수 과목으로 자리잡은 영어 등등 많은 방과후의 종류들이 있다

7. Y-STAR 제도

용수초등학교에는 용수초만의 제도인 Y-STAR 제도가 있다. 모든 용수초등학교 학생들은 Y-STAR를 통과해 상장을 받을 수 있는데, Y-STAR를 통과하려면 줄넘기 테스트를 통과해야 하고(6학년 기준으로 기본적인 줄넘기부터 줄을 X자로 엮어서 뛰기, 이단뛰기 등을 통과해야 한다), 학년마다 지정된 악기로 지정된 음악들을 연주해야 하며(1학년은 탬버린같은 기본적인 악기를 사용하고, 3학년은 오카리나를 사용하며, 그 외에 2, 4, 5, 6학년은 리코더를 사용한다), 용수초등학교 도서관에서 1년 안에 100권 정도의 책을 빌려야 한다. 이전에는 이 세 가지 모두 충족해야만 상을 줬지만,이 중 한 개만 성공해도 상장을 준다.

7.1. 제도의 문제점

하지만 Y-STAR 제도는 문제가 많다. 일단 Y-STAR 통과는 말만 선택이지 사실상 필수로, 줄넘기나 악기를 잘 못하는 학생에겐 큰 스트레스가 된다. 또한 1년 안에 제도에 명시된 책의 수만큼 책을 빌려야 하기에 그냥 도서관에서 빌리기만 하고 보지는 않는(...) 학생들이 많아졌다. 거기다가 Y-STAR 통과자들이 매우 많으니 상장을 아예 뿌리듯이 아무나 상장을 받게 되었고, 상장이 상장이 아니게 되었다. 줄넘기나 악기를 잘 못해 Y-STAR를 통과하지 못한 학생은 다른 학생들은 다 통과하는데 자신만 못하는 것을 보고 소외감을 느까기도 한다. 그리고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고 반납하지 않는 케이스가 대부분.

8. 교훈 및 상징

8.1. 교표

파일:용수초등학교 로고.png
녹색은 금정산 줄기 끝의 화산을, 붉은색은 교화인 장미가 모인 장미동산을, 파란색은 낙동강과 김해평야를 상징한다. 초록색 바탕은 자연을, 원은 화합을 의미한다. 전체적으로 산, 들, 강, 자연에 둘러 쌓여있는 학교를 단아하게 표현했다. 그러나 이 뜻을 아는 사람은 매우 적다.

8.2. 교화

파일:용수초등학교(교화).jpg
언제나 당당하고 향기로운 꽃의 여왕 장미처럼 자신있게 생활하고 삶을 아름답게 가꾸자는 의미를 갖고 있다.

8.3. 교목

파일:용수초등학교(교목).jpg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늘 푸르고 힘차게 살아가는 소나무처럼 우리도 희망을 가지고 꿋꿋하게 살아가자는 의미를 갖고 있다.

8.4. 상징 캐릭터: 미르와 미리

파일:용수초등학교/미르.jpg파일:용수초등학교 상징 캐릭터 미리.jpg
미르 미리
미르는 용수초등학교의 교목인 소나무를 형상화했으며, 이름은 순우리말로 을 뜻하는 미르에서 가져왔다. 미리는 용수초등학교의 교화인 장미를 형상화했으며, 이름은 경상도 사투리로 을 뜻하는 미리에서 가져왔다. 미르와 미리의 뜻은 용수초등학교에서 자체 제작하는 교과서인 '용수어린이' 에 자세히 나와 있다.

8.5. 교가

파일:용수초_교가.gif

8.6. 교훈

튼튼한 몸으로 슬기로운 생각과 아름다운 마음을 다듬는 어린이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북부경찰서 정류장[9]
시내버스 15, 59, 111, 121, 126
양산 버스 21(양산), 23(양산)
마을버스 금정1, 북구3, 북구7
용수초등학교 정류장[10]
시내버스 300

9.2. 지하철

10. 이야깃거리

11. 사건/사고

12. 출신 인물


[1] 이 사진은 옛날에 촬영된 사진이다. 현재는 중앙현관의 간판이 변경되었고 몇년 전에 운동장에 있는 축구골대가 하얗게 바뀌었고 건물을 새로 도색했다.[기준] 2024년 3월 1일[기준] [4] 문화예술공간은 대부분 용스킹(용수초 내에서 재능나눔단이 주최하는 버스킹)을 한다.[5] 이로인해 학생들의 불만이 매우 크다[6] 이전에는 창고였음.[7] 예전에는 등교나 하교시간에는 출입이 가능했었지만 교칙이 바뀌게 되면서 출입이 불가능해졌다.[8] 본관과 후관이 연결되어있는 구조이다.[9] 북부경찰서 정류장에서 화명2차현대아파트를 가로질러 가면 된다.[10] 북구7-2번의 노선 단축으로 인해 더 이상 화명신도시로에 정차하지 않아 사용이 불가능했으나 2021년 5월 1일 300번의 노선이 연장되며 다시 사용이 가능해졌다.[11] 투썸플레이스가 있는 쪽 길로 쭉 걸어가다 보면 학교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