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4:58:19

예거마이스터

파일:Jägermeister.jpg


1. 개요2. 브랜드 심볼3. 설명4. 역사
4.1. 창립과 탄생4.2. 주요 이정표
5. 제조 및 성분6. 제조 과정
6.1. 1. 원재료 준비6.2. 2. 마세레이션 (Maceration)6.3. 3. 숙성 (Aging)6.4. 4. 블렌딩 및 첨가6.5. 5. 정제 및 품질 검사6.6. 6. 서빙 온도
7. 성분과 맛
7.1. 대표 성분 (11가지)7.2. 맛의 특징
8. 병 디자인과 상징9. 음용법10. 여담

1. 개요

공식 홈페이지

Jägermeiſter[1]
/ˈjɛːɡɐˌmaɪ̯stɐ/

1934년 독일의 마스트-예거마이스터(Mast-Jägermeister)사에서 개발된 전통 리큐르이다. 독일의 전통 리큐르로서 비터스의 일종인 크로이터리쾨르(Kräuterlikör)에서 유래되었다.

**예거마이스터(Jägermeister)**는 독일 볼펜뷔텔 Wolfenbüttel의 커틀(Krämer) 가문의 마스트-예거마이스터(Mast-Jägermeister)사에서 1934년 개발된 전통 허브 리큐어(Herbal Liqueur)로서 비터스의 일종인 크로이터리쾨르(Kräuterlikör)에서 유래되었다.

예거마이스터(Jägermeister)는 허브 리큐어(Herbal Liqueur)로, 56가지 허브, 뿌리, 꽃, 과일 등으로 제조된다. 이름은 독일어로 "사냥 마스터(Hunting Master)"를 뜻하며, 제품 이름과 라벨 디자인은 독일 전통 사냥 문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
병 라벨에 그려진 사슴과 십자가는 성 훕베르투스의 전설에서 유래하였다. 35도의 도수를 가진 리큐어로, 냉동 보관 후 샷으로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브랜드 심볼

예거마이스터의 로고는 성 훕베르투스의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훕베르투스는 사슴의 뿔 사이에 십자가가 떠오르는 신비한 환영을 본 후 회개하고, 자연을 존중하는 삶을 살게 되었다. 이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아 커트 마스트는 사슴 로고를 브랜드의 상징으로 채택했다.

3. 설명

짙은 갈색의 액체로서 특유의 허브향과 강한 단맛이 특징이다. 덴마크, 헝가리, 체코 등에도 비슷한 허브 리큐르가 있지만 예거마이스터보다는 단맛이 약하다고 한다. 비터스답게 당분 함량이 높아 술치고 점도가 상당히 높다.

Jägermeister는 hunt-master라는 뜻인데, 독일의 산림 관리인 또는 사냥터 관리인을 부르는 말로서, 처음부터 이들을 위한 술로 출시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유래 덕분에 전세계적으로 야성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술이다. 사슴십자가가 그려져 있는 로고가 특징이며, 라벨 가장자리에 사냥꾼 겸 산림 관리인이자 시인이었던 오스카 폰 리젠탈의 시가 새겨져 있다.

주정과 물을 혼합하여 56가지 허브 잎, 열매, 인삼, 뿌리, 향료 등을 갈아넣은 뒤 걸러서 참나무통에 1년 이상 숙성한 뒤 다시 걸러서 설탕을 첨가하여 단맛을 내고 캐러멜 색소로 색깔을 균일하게 맞춘 뒤 주정과 물을 적당량 첨가하여 도수를 맞취서 판매한다. 알코올 도수는 35%(70proof)이다. 자세한 배합 비율은 다른 오래된 리큐르들과 마찬가지로 기업 비밀로서 공개되지 않고 있다.

원래부터 독일 및 주변 국가들에서는 일반적인 리큐르가 아니라 약용 리큐르(아페리티프 비터스)였던 것으로, 천식 완화, 소화제감기약 용도로도 사용되었던 술이다. 현재도 독일 및 주변 국가들에서는 예거마이스터를 상비약으로 구매해 놓고 있는 가정이 많다고 한다. 맛이 매우 독특하여 마치 한국의 활명수를 농축시켜 놓은 듯한 맛이 난다. 의사 처방을 받아 구매가능한 구강소독제 '헥사메딘'이나, 한국의 어린이용 소화제 '백초 시럽'은 맛이 예거마이스터와 엄청나게 비슷하다. 예거마이스터의 본 용도를 생각하면 일종의 수렴 진화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맛과 향의 느낌이 흡사하다. 하지만 실제 약효가 있는지는 다른 비터스가 그러하듯 미지수이다. 본래 용도가 약용이고 예거마이스터에는 계피, 생강, 오렌지껍질 등 약재들이 들어 있으므로 감기에 효과가 없진 않겠지만, 현대의학에서는 감기에 술을 마시는 것 자체가 별로 추천되지 않는다.

파일:IMG_0123.jpg
영하 18도에서도 얼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며, 스트레이트(샷)으로 마실 경우 영하 15도의 온도로 제공하는 것이 원칙이다.[2] 이러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예거마이스터를 취급하는 바에는 전용 디스펜서(냉각기)를 함께 제공한다. 가정에서도 알코올 성분이 높아서 변질되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냉동실에 보관하는 것이 원칙이다. 상온에서 마시면 달고 걸쭉한 느낌에 부담스러울 수 있다. 미국에서는 Tap Machine이라는 회사와 협업해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판매하고도 있다.

한국에서도 일반적인 대형마트를 포함하여 어디에서나 쉽게 구할 수 있다. 가격은 2025년대 초반 기준 350mL짜리가 2만 원대 후반, 700mL짜리가 3만 원대 후반이다. 20mL짜리 미니어처도 있다. 2020년에는 식약처가 수입 금지를 때렸다가 풀린 적이 있었는데 한국 식약처의 규정에 맞도록 한국 예거마이스터는 라벨에 56이라는 숫자가 없는 라벨을 부착하여 수입되고 있다.

4. 역사

4.1. 창립과 탄생

* 1878년: 빌헬름 마스트(Wilhelm Mast)가 볼펜뷔텔에 식초 공장을 설립. 현재도 ‘스탐하우스’ 건물로 남아 있음.
* 1917년: 아들 커트 마스트(Curt Mast)가 사업을 승계. 허브 리큐어 개발에 착수함.
* 1934년: 수년간의 연구 끝에, 56가지 허브 조합으로 예거마이스터의 오리지널 레시피 완성. 같은 해 독일 시장에 출시.
* 1935년: 독일 시장에 공식 출시.

4.2. 주요 이정표

* 1952년: 귄터 마스트(Günter Mast)가 경영에 참여. 공격적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며 브랜드 성장의 전환점을 맞이함.
* 1964년: 제품 포트폴리오를 단일 제품으로 간소화.
* 1973년: 독일 분데스리가 구단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의 유니폼을 스폰서하며, 독일 최초의 유니폼 광고가 됨.
* 1980년대: 미국에서 Jägerettes & Jägerdudes 마케팅팀 등장. 현장 프로모션 강화.
* 1993년: 시드니 프랭크(Sidney Frank)가 미국 시장에서 최초로 예거마이스터 전용 탭 머신을 도입.
* 2017년: 글로벌 리브랜딩 캠페인 시작.
* 2021년: 예거마이스터 레이싱 브랜드 'Rennmeister' 론칭.
- Rennmeister 프로젝트
1970~80년대 활약한 예거마이스터 레이싱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브랜드. Porsche 911 RSR, BMW 320 Group 5, Ford Capri RS 2600 등 클래식 차량을 중심으로 아트 갤러리, 나이트클럽 등에서 전시.
Instagram: [https://www.instagram.com/rennmeister72 @rennmeister72]

5. 제조 및 성분

* 사용되는 주원료는 전 세계에서 엄선된 식물 재료이며, 가공되지 않은 원물만을 구매하여 직접 추출을 진행.
* 400개 이상의 참나무 오크통에 약 1년간 숙성되며, 일부 통은 100년 이상 된 현지 목재로 제작됨.
* 블렌딩 후, 캐러멜, 연수, 당분 등을 소량 추가하여 최종 병입.

6. 제조 과정

예거마이스터는 총 56가지 천연 식물성 재료를 사용하여 독일 볼펜뷔텔(Wolfenbüttel) 본사에서 제조되며,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친다.

6.1. 1. 원재료 준비

* 전 세계에서 엄선된 56가지의 허브, 꽃, 뿌리, 과일 등 식물성 원재료 사용.
* 가공된 추출물이 아닌, 가공되지 않은 천연 원물만을 직접 구매하여 사용.

6.2. 2. 마세레이션 (Maceration)

* 원재료를 알코올과 물의 혼합액에 수 주간 침지.
* 식물의 향과 성분이 추출되며, 이 과정을 통해 4개의 서로 다른 마세레이트(herbal extract base)를 만듬.

6.3. 3. 숙성 (Aging)

* 약 400개의 오크통에 보관된 마세레이트를 약 1년간 숙성.
* 일부 오크통은 100년 이상 된 참나무로 제작되며, 독일 현지산 목재로 수작업 완성됨.
* 숙성 중에는 재료가 ‘숨을 쉬듯’ 조화롭게 숙성되도록 관리됨.

6.4. 4. 블렌딩 및 첨가

* 4가지 마세레이트를 블렌딩한 후, 소량의 캐러멜, 액상 설탕, 연수(soft water), 추가 알코올을 첨가.
* 예거마이스터 특유의 어두운 색상과 풍부한 맛을 완성함.

6.5. 5. 정제 및 품질 검사

* 총 383회의 정밀 품질 검사 과정을 통과한 후 병입됨.
* 생산 공정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온도, 향, 맛, 색상 관리가 이루어짐.

6.6. 6. 서빙 온도

* 최적의 맛을 위해 -18℃에서 제공하는 것이 권장됨.
* 이를 위해 예거마이스터 전용 탭 머신(Jäger Tap Machine)이 전 세계 바와 클럽에 보급되어 있음.

7. 성분과 맛

7.1. 대표 성분 (11가지)

비터 오렌지, 카다몸, 시레타, 계피, 정향, 갈랑갈, 생강, 감초 뿌리, 육두구, 오렌지 껍질, 스타 아니스

7.2. 맛의 특징

허브 향, 시트러스 계열 과일 향, 스파이시함, 단맛, 쌉쌀함이 어우러짐.
* 비건 및 채식주의자도 섭취 가능 (동물성 성분 무함유)

8. 병 디자인과 상징

* 로고: 성 훕베르투스 전설을 바탕으로 한 사슴과 십자가.
* 라벨: 독일 시인 오스카 폰 리젠탈의 사냥꾼에 관한 시가 인쇄되어 있음.
* 병뚜껑: 녹색과 황금색 조합. 쿠르트 마스트의 서명이 포함됨.
* 병 디자인: 네모난 병 형태로, 내구성이 강해 야외에서도 쉽게 깨지지 않음.

9. 음용법

스트레이트 (아이스콜드샷) 로 마시거나 칵테일로 마신다.

주된 조합은 다음과 같다. 공식 홈페이지 또는 칵테일 갤러리의 레시피도 있다.

10. 여담




[1] ſ는 과거에 s의 다른 형태로 쓰였던 문자다.[2] 사실 냉동실 온도에서 얼지 않는 것은 대부분의 증류주리큐르가 마찬가지이다. 에탄올 농도 40%의 수용액의 빙점은 -26.95℃이며 불순물이 많을 경우 더욱 낮아진다. 보드카는 냉동실에 넣어 두었다가 스트레이트로 시원하게 마시는 것이 인기있는 음용법이다.[3] 뮤직비디오에 고어나 선정적인 장면들이 있으므로 후방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