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5 01:07:09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문명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
파일: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 로고.png
게임 관련 정보
유닛  ·  건물  ·  기술  ·  자원  ·  캠페인  ·  문명  ·  도전 과제  ·  치트 및 도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등장 문명 목록]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에오엠4 잉글랜드.jpg
잉글랜드
파일:에오엠4 중국인.jpg
중국인
파일:에오엠4 프랑스인.jpg
프랑스인
파일:에오엠4 신성 로마 제국.jp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에오엠4 몽골.jpg
몽골
파일:에오엠4 루스인.jpg
루스인
파일:에오엠4 델리 술탄국.jpg
델리 술탄국
파일:에오엠4 아바스 왕조.jpg
아바스 왕조
파일:에오엠4 오스만.jpg
오스만
파일:에오엠4 말리인.jpg
말리인
파일:에오엠4 비잔티움인.jpg
비잔티움인
파일:에오엠4 일본인.jpg
일본인
변형 문명
파일:에오엠4 주희의 유산.jpg
주희의 유산
파일:에오엠4 잔 다르크.jpg
잔 다르크
파일:에오엠4 용의 기사단.jpg
용의 기사단
파일:에오엠4 아이유브 왕조.jpg
아이유브 왕조
}}}}}}}}}



[clearfix]

1. 개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4에 등장하는 문명들을 정리한 문서.

2. 등장 문명

2.1. 기본판

2.1.1. 파일:에오엠4 잉글랜드.jpg 잉글랜드

입문하기 쉽고 해군 양성과 거점 방어에 유리하며 농업에 이점이 있고 초반에 주도권을 잡기 쉬운 궁사 및 무장 병사 특화 문명.

2.1.2. 파일:에오엠4 중국인.jpg 중국인

관료제를 통한 경제력, 다양한 왕조 시스템 고유 유닛과 건물들, 보너스를 가지는 후반 강세형 화약 특화 문명.

2.1.3. 파일:에오엠4 프랑스인.jpg 프랑스인

단순하고 쉬운 운영, 풍부한 경제력과 각종 고유 연구, 강력한 성능의 석궁병과 중기병을 가진 문명.

2.1.4. 파일:에오엠4 신성 로마 제국.jpg 신성 로마 제국

고위 성직자로 경제력과 군사력을 증대시키고, 특이한 성유물 보너스, 튼튼한 방어 건물과 우월한 근접병들을 운용하는 보병과 신학 특화 문명.

2.1.5. 파일:에오엠4 몽골.jpg 몽골

석재로 향상된 기술을 연구하거나 유닛 생산에 이점을 가지고, 건물이 움직이며 인구수 제한이 없어 유목민의 특성을 살린 기동성 높은 약탈 특화 문명.

2.1.6. 파일:에오엠4 루스인.jpg 루스인

어업, 사냥과 교역을 통한 부유한 경제력으로 기마 수도사, 중기병과 궁기병을 운용하는 맵 장악에 능한 만능형 기병 특화 문명.

2.1.7. 파일:에오엠4 델리 술탄국.jpg 델리 술탄국

특이한 무료 연구 시스템과 고유 기술들, 성지 점령의 이점, 특수 성직자 유닛과 막강한 코끼리 유닛을 운용하는 과학과 신학 특화 문명.

2.1.8. 파일:에오엠4 아바스 왕조.jpg 아바스 왕조

다양한 고유 연구로 모든 걸 다방면으로 최적화하고 공성 무기를 야전 조립하며 질높은 무금 유닛과 고성능의 낙타 유닛을 운용하는 만능형 대기병 특화 문명.

2.2. 오스만과 말리

2022년 8월 24일 최초의 추가 문명인 오스만 문명과 말리 문명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업데이트는 1주년 기념으로 2022년 10월 26일 영구 가격 인하와 함께 무료로 진행되었다.

2.2.1. 파일:에오엠4 오스만.jpg 오스만

무료 유닛 양성으로 계속해서 물량을 확보하고 대기병 특화 예니체리와 강력한 대형 사석포, 성직자와 군악대로 군대 전체를 지원하는 공세적 문명.

2.2.2. 파일:에오엠4 말리인.jpg 말리인

식량 수입을 주는 소 가축과 황금의 경제력으로 기존 문명권과 전혀 다른 특수 병과를 높은 회전율로 양성해 매복과 기습에 특화된 보병 문명.

2.3. 술탄의 승천

2023년 11월 15일 비잔티움 문명과 일본 문명이 추가되었고, 기존 문명을 재해석한 4개의 변형 문명이 추가되었다.

2.3.1. 파일:에오엠4 비잔티움인.jpg 비잔티움인

수로 연결망으로 경제력과 방어력을 동시에 갖추고서, 비싸지만 강력한 고유 유닛들을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로스터를 바꿀 수 있는 용병으로 보조하는 후반 지향 만능 문명.

2.3.2. 파일:에오엠4 일본인.jpg 일본인

자원 채집 최적화와 농장 강화로 빠르게 물량을 확보하고, 기수를 필두로 한 다양한 강화효과와 고유 유닛의 특수능력을 활용해 빠르게 전면전을 개시하는 보병 중심 공세적 문명.

2.3.3. 변형 문명

2.3.3.1. 파일:에오엠4 주희의 유산.jpg 주희의 유산
중국인 기반, 성리학 모티브. #

수정 전[1]에는 '옥의 제국'이라는 의미불명한 이름이었다. 문화/기술 중심의 문명.
2.3.3.2. 파일:에오엠4 아이유브 왕조.jpg 아이유브 왕조
아바스 왕조 기반, 아이유브 왕조 모티브. #

수정 전에는 '술탄의 군대'라는 이름이었다. 아바스 왕조와 다른 지혜의 집 시스템을 지닌다. 고유 유닛 역시 원본보다 공격적인 형태.
2.3.3.3. 파일:에오엠4 잔 다르크.jpg 잔 다르크
프랑스인 기반, 잔 다르크 모티브. #

잔 다르크 영웅 유닛 중심 문명. 잔 다르크는 1시대에 농부로 시작하지만 2시대부터 무장하며 레벨 업한다.
2.3.3.4. 파일:에오엠4 용의 기사단.jpg 용의 기사단
신성 로마 제국 기반, 드래곤 기사단 모티브.

소수 정예 유닛 중심의 문명. 기본 유닛보다 비싸지만 성능이 더 좋은 '도금' 유닛 기반이다.

3. 추가 전망

본편에서 등장하지 않은 추가 문명들은 발매 이후 확장판 DLC에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본판에 나온 문명의 숫자와 문명 사이의 차별화에 투자한 노력을 봐서는 3편처럼 확장마다 3개 정도의 문명 추가가 한계일 가능성이 높아서 대부분 나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역사적 비중이 높은 대표적인 문명들부터 순차적으로 추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은 중세시대의 중요한 역사적인 사건들의 무대가 되었던 문명들이며 각 지역의 대표성이 높고, 최근 에오엠 시리즈의 확장팩들이 특정 지역을 테마로 두세개 정도의 문명을 추가하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30
, 4.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첫 명칭이 역사와 동떨어진 명칭이라는 지적이 있어 한 차례 교체되었다. 이는 아이유브 왕조도 마찬가지.[2] 콘월, 아일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 브르타뉴. 잉글랜드와의 전쟁이나 프랑스와의 전쟁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3]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나올 가능성이 높은 민족으로, 자세한 건 하술.[4] 핀란드, 에스토니아. 바이킹(덴마크+노르웨이/스웨덴) 혹은 동슬라브(러시아)와의 전쟁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5]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신성 로마 제국이나 프랑스나 바이킹과의 전쟁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6] 칸톤(주)들의 연합 과정과 신성로마제국으로부터의 독립 투쟁이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 혹은 스위스 용병들의 역사적 발자취를 따라가는 방식도 가능하다.[7]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신성로마제국 혹은 동슬라브(러시아) 혹은 마자르(헝가리) 세력과의 전쟁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8] 헝가리. 신성로마제국 혹은 동슬라브(러시아) 세력과의 전쟁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9] 만약 제4차 십자군의 콘스탄티노플 점령이 나온다면 베네치아 공화국이 주역이 되는 캠페인으로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10] 옛 유고슬라비아 소속 국가들. 신성로마제국이나 비잔틴, 혹은 투르크와의 전쟁이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11] 몽골과의 전쟁 혹은 중국과의 전쟁이나 중국으로부터의 독립 전쟁 혹은 캄보디아와의 전쟁이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 베트남의 경우 문화적 측면에서 보통의 동남아보다는 한반도, 중국 대륙, 일본 열도에 더 가까운 문명권이라 2의 결정판에서 동아시아 문명권으로 분류되기도 했다.[12] 서기 800-900년대로 에오엠4로 치자면 대략 암흑-봉건시대 사이[13] 참고로 한국 역사로 따지면 고려와 조선이 모두 해당되는 여말선초가 4편의 연대상 중간쯤 된다. 조선군에도 팽배수와 기마병 같은 전력이 쓸만했던 시기였지만, 보다 세련되고 개성있는 군사편제와 과학기술을 지녔던 조선군 병기가 나오기는 힘들 수도 있다.[14] 복수가 아닌 단수로 explore an indigenous Hindi-speaking civilisation이라고 표현하는 걸 봐선 일단 힌두계 인도 팩션은 하나인 것으로 보인다. 일단 연대상 나올 만한 문명은 촐라 제국이나 비자냐아나가라 제국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