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09:53:18

어맹뿌

새토깽 어맹뿌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95DA><tablebgcolor=#0095DA> 파일:이명박투명.svg이명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95DA> 일생 일생 · 구속 사건 (타임라인) · 재판 (1심 · 항소심 · 상고심) · 이명박/다른 정치인들과의 관계
가족 조부 이종한 · 아버지 이충우 · 장형 이상은 · 차형 이상득 · 아내 김윤옥 · 딸 이주연 · 딸 이수연 · 아들 이시형
17대 대선 제17대 대통령 선거 · 이명박 정부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 다스 실소유주 논란 · BBK 주가조작 사건
사건사고 쥐약 테러 미수사건 · 지금은 곤란하다 조금만 기다려달라 · 국정원 게이트 (여론조작 사건 ·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사건 · 불법 사찰 사건 · 대북공작금 유용 사건 · 사법농단 의혹 사건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 방송장악 블랙리스트)
지지 세력 친이 · 이명박 갤러리
별명과 밈 별명 · MB가 다 해주실 거야 · 내가 직접 나서겠다 · XX하면 어떠냐 경제만 살리면 그만이지 · 이명박은 배고픕니다 · 가카 ·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 · 어맹뿌 · 저거 어떻게 쥐어박고 싶었어 · 다 아는 사람들이구먼 · 명박산성 · 명텐도 · 이명박근혜
기타 자택 · 지지율 · 청계천 복원사업 ·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 Hi Seoul · 덕실마을 · DAS · 뉴타운 · 747 공약 · 범효성가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이명박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이명박 정부 참고
}}}}}}}}} ||

1. 개요2. 문법 오류3. 여담
3.1. 유사 사례

1. 개요

파일:새토갱 어맹뿌.jpg
최후 한子3ㅏ지 찿ح حЧ 3ㅏ지
우리 츼선읒 Σ시Σ
2 //、 6. L
새토갱 어 맹 뿌(ᄠᅮ 혹은 ᄟᅮ)
(원문)
최후의 한구까지 찿을때 까지
우리는 최선을 다 합시다
2011. 6. 6
대통령 이명박
대한민국 17대 대통령 이명박의 자필 서명 필체 때문에 생긴 별명. '대통령'까지 포함해서 새토갱 어맹뿌라고도 하며 어맹박, 어갱박, 이맹뿌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1][2][3]

2011년 6월 6일 제56회 현충일 추념식이 끝난 뒤에 이명박 대통령이 국립서울현충원에 있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을 찾아 방명록에 남긴 필기체가 '새토갱 어맹뿌'로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으며 기사까지 나왔다.[4]

2. 문법 오류

'어맹뿌'는 필체의 문제니 어쩔 수 없다고 해도[5] 문장 자체도 오류가 많은 비문이다. 그래서 이외수는 맞춤법과 띄어쓰기가 틀렸다고 지적했다.# 다만 이외수가 지적한 건 이명박이 대통령 후보 시기인 2007년에 쓴 글에서 나온 문법적 오류를 지적한 것인데 2007년에 썼던 글에 보이는 문제점이 2011년에 쓴 이 글에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어 딱히 본인이 문법 교정에 별 관심이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이하는 교정의 예이다.
최후의 한 구를 찾을 때까지
우리 모두 최선을 다합시다.
2011. 6. 6.
대통령 이명박

3. 여담

오인용웹툰 666부대에서도 이 이름의 이병이 단역으로 출연했다.

썰전강적들에서 강용석써먹은 적이 있고 팟캐스트 <그것은 알기 싫다>의 진행자인 UMC/UW는 이명박 전 대통령을 언급할 때 거의 이 별명으로 부른다.

읍니다 문서에도 사진으로 있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공문서와 방명록에도 있고 퇴임 후 2018년구속되기에 앞서 마지막으로 공개한 글의 서명에도 있다. 페이스북에 공개한 글[8]

똑같은 이유로 만들어진 또 다른 야민정음으로 '뿌주부'가 있다. 백종원마이 리틀 텔레비전에서 자필로 쓴 백주부 명찰의 '백' 부분이 필기체로 인해 'ㅐ'가 'ㅂ'으로, 'ㄱ'이 'ㅜ'로 보였던 것이다. 원래는 '백'과 '박'으로 다른데 둘 다 '뿌'가 되었다.

고파스2021년 옥중에서 지지자가 보낸 편지에 대한 답으로 작성한 편지가 공개되었는데 '-읍니다'는 '-습니다'로 고쳤지만 여전히 어맹뿌 필체를 유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수험생들이 보낸 편지에 답장해 준 버전도 있다. '인싸 어맹뿌'는 덤. 이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자필로 손수 쓴 손편지를 '어맹뿌'라고 지칭하는 경우도 많다. 이런 사례를 보면 어맹뿌는 이후 사람들로부터 악감정을 담은 멸칭 같은 게 아니라 최소한 중립적이거나 가끔씩 긍정적으로 쓰이는 별명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 필체로 인해 밈처럼 되었지만 글씨 자체만 놓고 보면 악필 수준은 아니라는 게 중론이다. 백강고시체에 기반을 두고 모음을 상당히 길게 쓴 글씨체라 볼 수 있다.

3.1. 유사 사례

10년 이상 지난 뒤 정치적으로 정반대 진영에 위치한 조국도 비슷한 원리로 '로극'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 많은 사람들이 새토이 아닌 새토이라고도 하지만, 령에서 갱으로 보이는 부분중 기역으로 보이는 건 1획 방식으로 쓴 리을(리을은 정자로는 3획이다)의 윗부분이고, ㅕ 부분에서 두 점을 이어쓰면서 좀 세로로 써서 ㅐ로 보이기 때문이며, 기역이 하나 더 보일 이유가 없다. 새토은 좀 맞지 않는 부분. 굳이 쌍기역을 쓰고 싶다면 'ᄁᅠᆼ'가 더 정확하다(초성 쌍기역과 종성 이응만 있고 모음은 없는 글자 모양. 조합형인데 일부 환경에서는 풀어쓰기된것마냥 가로로 쭉 표시될 수 있다).[2] '맹'으로 변하는 '명' 부분에서 미음을 마지막에 긋는 아래 획 없이 2획으로 쓰기도 하는데, 만약 이명박이 미음을 정자인 3획으로 썼다고 생각하고 본다면 미음의 마지막획과 ㅕ의 위쪽 점이 이어지므로 알아보기 힘든데 ㅕ의 두 점을 날려쓰기까지 해서 '맹'으로 보인다. 미음을 2획으로 쓴것을 알고 있다 해도 ㅕ의 위쪽 점 부분이 너무 얇아서 그냥 미음을 쓰고 ㅕ까지 날려쓰는 과정에서 이어지는 선이 남은 것으로 보일 수 있다.[3] 박에서 뿌가 되는 부분은 쌍비읍으로 보이는 부분의 오른쪽 비읍이 원래는 ㅏ를 쓴것이고 ㅏ는 2획짜리에(실제론 이어썼으므로 1획) 비읍으로 보이는 것은 이론상 어려우나, 실제로 글자를 바로 보면 뿌로 보이기 쉽다. 위의 (억까성이 다분해보이는) 좀 더 왜곡시킨 변형판에는 ᄠᅮ로도 쓰여져있으나, 이는 디귿의 위 획을 약하게 썼거나 안 썼거나 꺾인게 약했다고 생각하고 본 모양이며, 정확하게는 ᄟᅮ 모양에 더 가깝다.[4] 사실 어맹뿌가 처음 알려진 건 2008년이었으나 그때는 크게 알려지지 않았던 걸로 보인다.[5] 다른 글과 비교해 보면 먹이나 잉크가 번지는 특성상 어로 보이기는 하지만 명박은 명박으로 보이는 편이다.[6] 사실 발음만 해보면 알 수 있는 문제다. [차즐\]로 발음하므로 이 발음을 [차ᄌᅠ/ᅟᅳᆯ\]로 분철하여 '찾을'로 쓰면 된다. 발음이 [차츨\]이 아닌 이상 'ㅊ' 받침을 쓸 하등의 이유가 없다. 애초에 현행 한글 표기 자체가 국어의 자연스러운 발음을 기준 삼아 정해진 것이다. 아마도 '찾'이든, '찿'이든 이어지는 모음 어미 없이 끊어 읽으면 그 발음이 [찯\]으로 같다는 점과 초성이 'ㅊ'이라는 점에 이끌린 모양이다.[7] 다 합시다 = 함께 하자, 다합시다 = 끝까지 하자. 뜻이 전혀 다르다.[8] 구속 이후에는 차피 구는 서진다의 약자가 되면서 비아냥거리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