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22 10:27:58

시어도어 루스벨트 행정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연방당 민주공화당 휘그당 민주당 공화당
조지 워싱턴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제임스 매디슨
제임스 먼로 존 퀸시 애덤스 앤드루 잭슨 마틴 밴 뷰런
<bgcolor=#F0DC82,#F0DC82> 윌리엄 헨리 해리슨 존 타일러 제임스 K. 포크 재커리 테일러
밀러드 필모어 프랭클린 피어스 제임스 뷰캐넌 에이브러햄 링컨
앤드루 존슨 율리시스 S. 그랜트 리더퍼드 B. 헤이스 제임스 A. 가필드
체스터 A. 아서 그로버 클리블랜드 벤저민 해리슨 그로버 클리블랜드
윌리엄 매킨리 <bgcolor=#E81018,#E81018> 시어도어 루스벨트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우드로 윌슨
워런 G. 하딩 캘빈 쿨리지 허버트 후버 <bgcolor=#0044C9,#0044C9>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해리 S. 트루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존 F. 케네디 <bgcolor=#0044C9,#0044C9> 린든 B. 존슨
리처드 닉슨 제럴드 포드 지미 카터 로널드 레이건
조지 H. W. 부시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버락 오바마
도널드 트럼프 1기 조 바이든 도널드 트럼프 2기 }}}}}}}}}
시어도어 루스벨트 행정부
Theodore Roosevelt Administration
{{{#!wiki style="margin: -16px -11px" 1901년 9월 14일 ~ 1909년 3월 4일
출범 이전 이후
윌리엄 매킨리 행정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행정부 }}}
<colbgcolor=#E81018>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 / 제26대
부통령 찰스 W. 페어뱅크스 / 제26대
여당

파일:시어도어 루스벨트 1905 선서.jpg
다른 각도에서 찍힌 사진 ▼
파일:시어도어 루스벨트 1905 선서 다른 각도.jpg
▲ 미합중국 제26대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 취임 선서[1]

1. 개요2. 내각3. 주요 사건4. 둘러보기

1. 개요

제26대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이끌었던 행정부로, 전임자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이 암살 사건으로 인해 임기 중 사망하면서 루스벨트 부통령이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1901년 9월 14일에 출범하였고 이후 190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해 1909년 3월 4일까지 존속하였다.

2. 내각

파일:미국 국장 (원형).svg 시어도어 루스벨트 행정부 내각
1909년 3월 4일 시어도어 루스벨트 전 대통령 퇴임일 기준
대통령 부통령 국무장관 재무장관 전쟁장관
파일:Theodore_Roosevelt.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시어도어 루스벨트
파일:FAIRBANKS,_CHARLES_W._HONORABLE_LOC_hec.14934.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찰스 W. 페어뱅크스
파일:로버트 베이컨.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로버트 베이컨
파일:조지 B. 코텔류.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조지 B. 코텔류
파일:루크 에드워드 라이트.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루크 라이트
법무장관 체신장관 해군장관 내무장관 농무장관
파일:1000005639.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찰스 조셉 보나파르트
파일:조지 폰 렌게르크 마이어.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조지 폰 렌게르크 마이어
파일:트루먼 H. 뉴베리.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트루먼 H. 뉴베리
파일:제임스 루돌프 가필드.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제임스 루돌프 가필드
파일:제임스 윌슨.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제임스 윌슨
상무노동장관 파일:미국 국장 (원형).svg
파일:오스카 스트라우스.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오스카 스트라우스

3. 주요 사건

3.1. 1901년

3.2. 1902년

3.3. 1903년

3.4. 1904년

3.5. 1905년

3.6. 1906년

3.7. 1907년

3.8. 1908년

3.9. 1909년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81018><tablebgcolor=#e81018> '''[[시어도어 루스벨트|{{{+1 파일:시어도어루즈벨트.svg]]'''시어도어 루스벨트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81018> 일생 생애
가족 조카 엘리너 루스벨트 · 친척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역대 선거 1904년 미국 대통령 선거 · 19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관련 정치인 윌리엄 매킨리 ·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우드로 윌슨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부커 T. 워싱턴
사건사고 미국-스페인 전쟁 · 암살 미수 사건
조직 공화당 · 진보당
평가 평가
기타 테디 베어 · 박물관이 살아있다 시리즈 · 루스벨트 가문 · 미국의 현대자유주의
TR 행정부
정책 반독점법 · 뉴 내셔널리즘 · 스퀘어 딜 · 자유제국주의 · 자유주의적 매파
사건사고 가쓰라-태프트 밀약 · 샌프란시스코 지진 · 스티븐스 저격사건 · 이로쿼이 극장 화재 사고 · 인류학의 날 · 포츠머스 조약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


[1] 위 사진은 1904년 대선 이후 루스벨트 대통령의 재선 취임식 선서 사진으로 난간 가까이에서 기립해 있는 중앙의 세 인물 중 우측 인물이 시어도어 루스벨트이다.[2]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 피살범으로 폴란드계 미국인이자 아나키스트였다.[3] 부통령 후보는 찰스 W. 페어뱅크스.[4] 부통령 후보는 헨리 G. 데이비스.[5] 부통령 후보는 제임스 S. 셔먼.[6] 부통령 후보는 존 W. 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