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21:10:22

미국 태평양함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미합중국 인도-태평양사령부 휘장.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하위 통합사령부
파일:socpac_emblem 0.jpg
SOCPAC
태평양특수작전사령부
파일:주한미군 마크.svg
USFK
주한미군
파일:주일미군 엠블럼.svg
USFJ
주일미군
하위 구성사령부
파일:미합중국 태평양육군.svg
USARPAC
태평양육군
파일:mcfp.png
MARFORPAC
태평양해병대
파일:미합중국 태평양함대.svg
USPACFLT
태평양함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미합중국 태평양공군.svg
PACAF
태평양공군
파일:U.S._Space_Forces_Indo-Pacific_emblem.png
SPACEFORINDOPAC
인도-태평양 우주군
}}}
}}}}}}}}} ||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미국 치안총감 계급장.svg
파일:미합중국 함대전력사령부.png
USFF
함대전력사령부
파일:미합중국 태평양함대.svg
USPACFLT
태평양함대
파일:미합중국 유럽-아프리카해군.png
CNE-CNA
유럽-아프리카해군
파일:미국 치안정감 계급장.svg
파일:Seal_of_the_United_States_Fleet_Cyber_Command.png
FLTCYBER
함대사이버사령부
파일:United_States_Naval_Forces_Central_Command_patch_2014.png
USNAVCENT
중부해군사령부
파일:Seal_of_the_United_States_Navy_Reserve.svg
USNR
해군예비군
파일:미국 치안감 계급장.svg
파일:Navso_crest2_Ver_2.gif
USNAVSO
남부해군사령부
파일:미합중국 해군특수전사령부 마크.png
USNSWC
해군특수전사령부
파일:Commander,_Operational_Test_and_Evaluation_Force_(seal).jpg
OPTEVFOR
작전시험평가부대
U.S. Navy Operating Forces
}}}}}}}}} ||
미국 태평양함대
United States Pacific Fleet
파일:미합중국 태평양함대.svg
창설일 1907년
약칭 USPACFLT
소속 미국 해군
상급부대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
규모 130,000명[1]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진먼 포격전
베트남 전쟁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테러와의 전쟁
사령관 스티븐 쾰러 대장
부사령관 블레이크 콘버스 중장
본부 진주만-히캄 합동기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역대 함대사령관4. 둘러보기

1. 개요

United States Pacific Fleet, 태평양함대는 미국 해군의 양양(兩洋)함대이며,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의 근무구성군, 즉 인도-태평양 통합사령부의 해군구성군사령부다. 사령관은 해군 대장이 보임된다.

2. 역사

태평양함대는 본래 하와이와 태평양 방면의 해역을 방어하기 위해 1821년에 창설된 태평양전대(Pacific Squadron)가 시초이며, 1907년에 아시아전대(Asiatic Squadron)와 합쳐지면서 태평양함대가 창설되었다. 태평양함대는 1922년에 대서양함대와 합쳐지면서, 미국함대(United States Fleet) 예하의 전투함대(Battle Fleet)로 대체되었다. 그리고 현재의 태평양함대는 1941년에 재창설되었다.

태평양함대는 태평양 전쟁의 개전과 동시에 진주만 공습으로 다수의 전함이 침몰당하였고, 피해가 없던 항공모함을 주력으로 반격에 임했다.[2] 미드웨이 해전을 시작으로 산타크루즈 해전, 과달카날 해전에서 일본 제국 해군의 공세를 무력화시켰고, 고속 항공모함 기동부대를 중심으로 필리핀 해 해전, 레이테 만 해전에서 승리해 태평양의 제해권을 장악하면서 일본 제국의 항복을 끌어냈다.

이후 미국 통합전투사령부 계획에 따라 태평양해역군을 바탕으로 태평양사령부가 조직되면서 태평양사령부의 해군 구성군이 되었다. 냉전 동안 태평양함대는 6.25 전쟁, 진먼 포격전, 베트남 전쟁, 제3차 대만 해협 위기에 개입했고, 현재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

현 사령관은 스티븐 쾰러 대장으로 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정책본부장(J5)을 맡던 중 대장 진급과 함께 부임했다.

3. 역대 함대사령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미합중국 해군대장기.svg
<rowcolor=#000> 태평양함대 총사령관
<rowcolor=#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William T. Swinburne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Uriel Sebree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Giles B. Harber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William H. H. Southerland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Walter C. Cowles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Thomas B. Howard
파일:미합중국 해군소장기.svg
Cameron M. Winslow
William B. Caperton 휴 로드맨 에드워드 에벌
<rowcolor=#000> 전투함대 총사령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에드워드 에벌 Samuel S. Robison Charles F. Hughes Richard H. Jackson Louis R. de Steiguer
<rowcolor=#000> 전투함대 총사령관 함대전투사령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7대 제18대
William V. Pratt Louis M. Nulton Frank H. Schofield Frank H. Schofield 리처드 리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Luke McNamee William H. Standley Joseph M. Reeves Frank H. Brumby Harris Laning
<rowcolor=#000> 함대전투사령관 태평양함대 총사령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윌리엄 리히 Claude C. Bloch Edward C. Kalbfus 제임스 리처드슨 허즈번드 킴멜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체스터 니미츠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존 타워스 루이스 덴펠드 드위트 램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아서 래드포드 펠릭스 스텀프 Maurice E. Curts Herbert G. Hopwood John H. Sides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율리시스 그랜트 샤프 Thomas H. Moorer Roy L. Johnson John J. Hyland Jr. Bernard A. Clarey
제44대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Maurice F. Weisner Thomas B. Hayward Donald C. Davis James D. Watkins Sylvester R. Foley Jr.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James A. Lyons Jr. 데이비드 제러마이어 Charles R. Larson Robert J. Kelly Ronald J. Zlatoper
<rowcolor=#000> 태평양함대 총사령관 태평양함대사령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제56대 제57대
Archie Clemins Thomas B. Fargo Walter F. Doran Walter F. Doran 개리 러프헤드
제58대 제59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로버트 윌러드 Patrick M. Walsh 세실 헤이니 해리 해리스 스콧 스위프트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 제67대
존 아킬리노 새뮤얼 파파로 스티븐 쾰러 }}}}}}}}}


==# 편제 #==
===# 제3함대 #===
United States Third Fleet


===# 제7함대 #===
United States Seventh Fleet


===# 태평양함대 해군항공군[3] #===
Naval Air Force, United States Pacific Fleet


===# 태평양함대 해군수상함군 #===
Naval Surface Force, United States Pacific Fleet


===# 태평양함대 잠수함군 #===
Submarine Force, United States Pacific Fleet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서태평양 서대서양 동태평양 남아메리카
제1함대 해체 파일:second fleet.png
제2함대
파일:external/www.trophyexpress.com/3rdfleet.jpg
제3함대
파일:4th fleet.jpg
제4함대
인도양 동대서양 서태평양 함대사이버사령부
파일:5th fleet.png
제5함대
파일:6th fleet.jpg
제6함대
파일:United_States_Seventh_Fleet_insignia,_2016.png
제7함대
파일:1920px-United_States_Tenth_Fleet.png
제10함대
U.S. Navy Numbered Fleets
}}} }}}}}} ||

[1] https://www.pacom.mil/About-USINDOPACOM/[2] 항공모함을 주력으로 한 것은 미국 해군신의 한 수가 되었고, 태평양 전쟁 이후 항공모함은 명실상부 전함을 대신하는 주력함이 되었다.[3] 태평양함대 해군항공군 지휘관은 해군 항공사령관(Commander, Naval Air Forces)을 겸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