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00:04:57

시베리아 항공 1812편 격추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사건사고 우크라이나 대기근 · 소련 붕괴(벨라베자 조약 · 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각서) · 시베리아 항공 1812편 격추 사건 · 오렌지 혁명 · 유로마이단 혁명 · 2018년 정교회 분열 · 2021-2022년 우크라이나 위기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크림반도 합병 · 돈바스 전쟁 · 우크라이나 침공)
외교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관계 · 우크라이나-체첸 관계
기타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 크림반도 }}}}}}}}}


Катастрофа Ту-154 над Чёрным морем
Катастрофа Ту-154 над Чорним морем
Siberia Airlines Flight 1812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 2001년 10월 4일
유형 민항기 격추
발생 위치 흑해 해상
탑승인원 승객: 66명
승무원: 12명
사망자 탑승객 78명 전원 사망
기종 Tu-154M
항공사 시베리아 항공
기체 등록 번호 RA-85693
출발지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텔아비브 벤 구리온 국제공항
도착지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노보시비르스크 톨마체보 공항
파일:42362345324.png
사고 2개월 전, 하노버 공항에서 촬영된 사진

1. 사건 개요2. 사건 상세3. 사건 이후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사건 개요

2001년 10월 4일 우크라이나군S-200 미사일러시아Tu-154 민간 여객기를 실수로 격추해 탑승 인원 78명 전원이 사망한 사건이다.

2. 사건 상세

파일:2014072100939_0.jpg
시베리아 항공 1812편은 현재까지 군에서 격추한 민항기 중 가장 높은 고도에서 격추된 민항기이다.

2001년 10월 4일, S7 항공으로 사명을 변경하기 전인[1] 시베리아 항공 시절 1812편이 훈련 중이던 우크라이나군이 발사한 S-200 미사일에 격추, 흑해에 추락해 탑승자 78명이 모두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미국에서 9.11 테러가 발생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벌어진 일이었기 때문에, 본국인 러시아는 물론이고 출발지이자 러시아인 외에 제일 많은 탑승자가 있었던 이스라엘에서는 테러가 난 게 아니냐며 난리가 났었다.

당시 흑해에서 훈련 중이던 우크라이나군이 훈련용 표적을 향해 S-200 실탄을 발사했는데 S-200 미사일이 빗나가면서 표적을 재탐색하는 과정에서 근처 11,000m 상공에서 순항중이던 시베리아 항공 1812편을 공격해 격추한 것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처음에는 격추가 아닌 여객기가 혼자 추락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러시아와 이스라엘의 계속되는 비난과 압박에 결국 9일 만에 격추 사실을 인정했다. 또한 해당 항공편이 이스라엘 텔아비브를 출발해 노보시비르스크로 가는 항공편이었기 때문에 이스라엘인도 다수가 사망했고 이스라엘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맹렬히 비난했다.

3. 사건 이후

사건 직후 우크라이나는 국방부 장관 올렉산드르 쿠즈무크 대장과 방공군 사령관 볼로디미르 트카초우 상장을 해임했다.

이후 2003년 우크라이나는 유가족들에게 1인당 20만 달러의 보상금을 지급하는 보상 협상을 러시아, 이스라엘과 체결했다. 그런데 이후 배상금 협상이 끝나자 마자 우크라이나 정부는 '1812편의 격추가 우크라이나 정부의 책임이 아니다' 라며 발뺌했다. 이에 일부 유가족은 보상금을 거부하고 우크라이나 정부에 소송을 걸었으나 기각당했다. 러시아 정부와 이스라엘 정부도 이에 항의했으나 우크라이나는 무시했다. 이에 분노한 러시아 정부는 우크라이나군에게 신형 무기 수출을 금지했다.[2]

S7 항공은 격추당한 Tu-154에 대한 보상으로 1,330만달러를 요구하는 소송을 우크라이나 국방부와 국무부에 제기했으나, 2011년 9월 키예프 지방법원은 보상청구를 기각했다. 2012년 5월 키예프 고등법원도 S7 측의 항소를 기각했다. 그러다가 2012년 12월에서야 우크라이나 최고 법원은 S7 측의 항공기 보상금 소송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2013년에 일어난 유로마이단으로 인해 재판이 중단되어 S7 항공은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했다. 사고 이후 소치, 노보시비르스크, 이스라엘에서 매년 추모행사가 열리고 있다.

4. 여담

이후 우크라이나의 친 러시아 반군세력이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을 일으키게 된다.

5. 둘러보기

역대 러시아의 대형 사고 및 참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min-width: 100px; min-height: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발생일<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2024년 6월 23일
28 파일:icon_terror.png2024년 다게스탄 테러
2024년 3월 22일
145 파일:icon_terror.png2024년 모스크바 공연장 테러 사건
2023년 8월 14일
37 파일:icon_explosion.png마하치칼라 주유소 폭발 사고
2022년 12월 23일
22 파일:icon_fire.jpg케모로보 요양원 화재
2021년 11월 25일
52 파일:icon_structure.png러시아 리스트배쥬나야 탄광 매몰 사고
2021년 7월 6일
28 파일:icon_plane.jpg캄차카 반도 An-28 추락 사고
}}}}}}}}}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2019년 5월 5일
41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1492편 회항 사고
2018년 12월 31일
39 파일:icon_structure.png마그니토고르스트 아파트 붕괴 사고
2018년 3월 25일
64 파일:icon_fire.jpg케메로보 쇼핑몰 화재
2018년 2월 11일
71 파일:icon_plane.jpg사라토프 항공 703편 추락사고
2016년 3월 19일
62 파일:icon_plane.jpg플라이두바이 981편 추락 사고
2016년 2월 25일 ~ 29일
36 파일:icon_explosion.png세베르나야 광산 폭발 사고
2015년 10월 31일
224 파일:icon_terror.png코갈림아비아 항공 9268편 테러 사건 파일:black_circle.jpg
2015년 7월 23일
24 파일:icon_structure.png옴스크 막사 붕괴 사고
2015년 4월 2일
62 파일:icon_ship.png극동호 침몰사고
2014년 12월 1일
27 파일:icon_ship.png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7월 15일
24 파일:icon_rail.png모스크바 지하철 탈선사고
2013년 12월 29일 ~ 30일
32 파일:icon_terror.png볼로그라드 폭탄테러
2013년 11월 17일
50 파일:icon_plane.jpg타타르스탄 항공 363편 추락 사고
2013년 9월 13일
37 파일:icon_fire.jpg옥소치 신경정신과 기숙학교 화재
2013년 7월 2일
24 파일:icon_plane.jpg폴라 항공 9949편 추락 사고
2013년 4월 26일
38 파일:icon_fire.jpg14번 정신병원 화재
2012년 4월 2일
33 파일:icon_plane.jpg유테이르 항공 120편 추락 사고
2011년 12월 18일
53 파일:icon_ship.png콜스카야호 전복 사고
2011년 9월 7일
44 파일:icon_plane.jpg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항공기 참사
2011년 7월 10일
122 파일:icon_ship.png불가리야호 침몰 사고
2011년 6월 20일
50 파일:icon_plane.jpg루스에어 9605편 추락 사고
2011년 1월 24일
37 파일:icon_terror.png도모데도보 국제공항 폭탄 테러
2010년 5월 8일 ~ 9일
91 파일:icon_explosion.png라스파다스카야 광산 폭발 사고
2010년 4월 10일
99 파일:icon_plane.jpg폴란드 공군 Tu-154 추락 사고
2010년 3월 29일
41 파일:icon_terror.png2010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2009년 12월 5일
156 파일:icon_fire.jpg흐로마야 로사지 나이트클럽 화재
2009년 11월 7일
28 파일:icon_terror.png넵스키 열차 폭탄 테러
2009년 8월 17일
75 파일:icon_explosion.png사야노 슈센스카야 수력발전소 사고
2009년 7월 24일
21 파일:icon_car.png로스토프 버스 충돌 사고
2009년 3월 25일
25 파일:icon_car.png블라디미르 버스 충돌 사고
2008년 9월 14일
88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821편 추락 사고
2007년 3월 20일
63 파일:icon_fire.jpg크라스노다르 요양원 화재
2007년 3월 19일
110 파일:icon_explosion.png울랴아노프스카야 광산 사고
2006년 12월 8일 ~ 9일
46 파일:icon_fire.jpg모스크바 마약 중독자 재활 센터 화재
2006년 8월 22일
170 파일:icon_plane.jpg풀코보 항공 612편 추락 사고
2006년 5월 3일
113 파일:icon_plane.jpg아르마비아 967편 추락 사고
2006년 2월 23일
68 파일:icon_structure.png바스마니 시장 붕괴 사고
2006년 1월 9일
125 파일:icon_plane.jpgS7 항공 778편 활주로 이탈 사고
2005년 7월 11일
25 파일:icon_fire.jpg패세지 쇼핑센터 화재
2005년 3월 16일
28 파일:icon_plane.jpg브랜디 An-24 추락 사고
2004년 9월 1일 ~ 3일
364 파일:icon_attack.png베슬란 학교 인질사건
2004년 8월 24일
90 파일:icon_terror.png2004년 러시아 여객기 연쇄 테러 사건
2004년 3월 16일
58 파일:icon_explosion.png아르헨겔스크 아파트 폭발 사고
2004년 2월 14일
28 파일:icon_structure.png트란스발 워터파크 붕괴사고
2004년 2월 6일
41 파일:icon_terror.png2004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
2003년 12월 5일
46 파일:icon_terror.png스타로폴 열차 폭탄 테러
2003년 11월 24일
44 파일:icon_fire.jpg러시아 민족 우호 대학교 기숙사 화재
2003년 4월 10일
30 파일:icon_fire.jpg마하치칼리 청각장애인 기숙학교 화재
2003년 4월 7일
22 파일:icon_fire.jpg아쿠티아 고등학교 화재
2003년 8월 20일
20 파일:icon_plane.jpg캄차카 Mi-8 추락 사고
2002년 10월 23일 ~ 26일
171 파일:icon_attack.png모스크바 극장 인질극
2002년 5월 9일
44 파일:icon_terror.png2002년 카스피스크 폭탄 테러
2001년 11월 19일
27 파일:icon_plane.jpgIRS 에어로 iL-18 추락 사고
2001년 10월 4일
78 파일:icon_attack.png시베리아 항공 1812편 격추 사건 파일:black_circle.jpg
2001년 7월 4일
145 파일:icon_plane.jpg블라디보스토크 항공 352편 추락 사고
2000년 8월 12일
118 파일:icon_ship.png쿠르스크 함 침몰사건
}}}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종류사건명국외
1999년 9월 13일
119 파일:icon_terror.png카시르스코예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9월 9일
94 파일:icon_terror.png구리야노바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9월 4일
64 파일:icon_terror.png부아낙스크 군인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3월 16일
20 파일:icon_plane.jpg1999년 소보레보 Mi-8T 추락 사고
1998년 6월 25일
23 파일:icon_structure.png유노스트로시 스포츠 경기장 발코니 붕괴 사고
1997년 12월 2일
67 파일:icon_explosion.png지리야노브스카야 광산 사고
1996년 12월 6일
72 파일:icon_plane.jpg이르쿠츠크 An-124 추락 사고
1997년 3월 18일
50 파일:icon_plane.jpg스타브로폴스카야 아크티시오너나야 항공 1023편 추락 사고
1996년 11월 16일
39 파일:icon_terror.png1996년 카스피스크 폭탄 테러
1996년 9월 26일
22 파일:icon_rail.png로스토프 건널목 사고
1995년 12월 7일
98 파일:icon_plane.jpg카바롭스크 유나이티드 그룹 3949편 추락 사고
1995년 6월 14일 ~ 19일
129 파일:icon_attack.png부됴놉스크 병원 인질극
1994년 9월 26일
28 파일:icon_plane.jpg바나바라 Yak-40 추락 사고
1994년 8월 7일
29 파일:icon_structure.png티틀랸스코예 저수지 방류 사고
1994년 8월 5일
47 파일:icon_plane.jpg러시아 공군 An-12 추락 사고
1994년 4월 23일
75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 사고
1994년 1월 3일
125 파일:icon_plane.jpg바이칼 항공 130편 추락 사고
1993년 8월 26일
24 파일:icon_plane.jpg사카-아비아 482편 추락 사고
1992년 12월 1일
25 파일:icon_explosion.pngL.D 셰브야코프 광산 폭발 사고
1992년 11월 11일
33 파일:icon_plane.jpg트레비 An-22 추락 사고
1992년 8월 27일
84 파일:icon_plane.jpg아에로플로트 2808편 추락 사고
1992년 3월 3일
43 파일:icon_rail.png포드소센카 열차 충돌 사고
||




그리고 S-200은 시리아군이 이스라엘 F-16을 조준하고 쐈다가 ECM에 의해 빗나가자 근처의 러시아군 소속 IL-20을 격추하게 된다.
[1] 사명은 2005년에 변경되었다.[2] 가령 Kh-35 대함미사일은 원래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시험발사 하며 개발 중이던 체계인데 이 사건 이후 신형무기 개발은 모두 러시아 자국내에서 테스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