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넓적사슴벌레(Dorcus titanus)의 아종 목록 | |||
|   베트남넓적사슴벌레   |   중국넓적사슴벌레   | ||
|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 | |
|   | |
| 학명 | Dorcus titanus yasuokai | 
| <colbgcolor=#fc6> 분류 |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 강 | 곤충강(Insecta) | 
| 목 | 딱정벌레목(Coleoptera) | 
| 과 | 사슴벌레과(Lucanidae) | 
| 속 | 왕사슴벌레속(Dorcus) | 
| 종 | 넓적사슴벌레(D. titanus) | 
| 아종 | 수마트라왕넒적사슴벌레(D. t. yasuokai) | 
1. 개요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는 넓적사슴벌레의 한 아종. 수마트라왕넒적사슴벌레, 수마트라넓적사슴벌레라고 불리며 보통 큰이빨이 턱의 기저부까지 내려온 아체 산지의 종을 기준으로 삼는다. 굵은 큰턱을 지녔기에 극태[1]사슴벌레 사육의 종지부라 할 수 있다.보통 외국산 넓적사슴벌레 하면 떠오르는 게 이 종이라고 할만큼 매우 널리 사육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턱을 굵게 만드는 극태계열, 몸길이를 늘리는 체장계열 등으로 육종하는 파가 나뉘어 상당한 물량의 개체들이 유통되며 모든 넓적사슴벌레 아종을 통틀어서 가장 두꺼운 체형을 지녔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인데[2] 두꺼운 체형에서 오는 힘과 싸움 실력도 매우 뛰어나다. 일본의 프로그램에서는 사슴벌레계의 중전차라고 소개할 정도. 하지만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현지 자연에서의 개체수가 과거에 비해 많이 줄었다.
예전에는 D.t.titanus로 원명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2010년 일본 초시목계 학자인 후지타가 yasuokai라는 별개의 아종으로 재분류했다. 왕넓적사슴벌레의 원명아종으로 기록한 삽화를 살펴보면 조금 달라보이는 느낌은 있다. 하지만 후지타의 분류는 논란이 있으므로 맹신하면 안 된다는 주장도 있다.[3]
2. 생태
수마트라 숲에서는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케이론장수풍뎅이는 만날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저지대에서는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를 당해낼만한 갑충이 없다.다른 넓적사슴벌레와 같이 고목에 하늘소들이 파고 들어온 구멍을 넓히며 자신만의 나무굴을 만들어 그 속에서 생활한다. 그래서인지 자연에서 채집된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는 턱 끝이 망가진 개체가 많다.[4]
또한 큰턱에서 가장 큰 이빨 위치가 개체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보통 수마트라 북부 아체에서는 큰 이빨이 머리쪽과 가깝도록 내려간 개체가 많고, 수마트라 남부 븡쿨루 주나 람풍 주에서는 큰 이빨이 큰턱 중간까지 올라간 개체가 많다.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경향성이므로 맹신은 금물. 실제로 아체 산지에서도 큰이빨이 큰턱 말단부에 붙은 일명 상향내치의 개체들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수마트라 남부 븡쿨루 산지의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
수마트라섬의 일급 행정 구역별로 야생개체 입고가 비교적 잦은 산지로 구별한다면 대략 아체, 리아우, 잠비, 람풍, 븡쿨루(벵쿨루)가 있다. 강조하고 싶은 것은 앞서 언급했듯이 산지별로 큰 이빨의 위치 차이가 보이지만 절대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관념 덕분에 일본의 곤충 판매업자들은 야생개체를 판매한 후 후손이 다른 치형이 나왔다는 클레임을 많이 받아 골머리를 썩힌다고 한다. 어떤 산지의 개체를 누대하든, 이빨형태가 부모 세대와 완전히 같은 후손들이 탄생하는 것은 꽤나 드문 일이다. 이것은 다양한 생김새의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가 모두 같은 아종이라는 생물학적 근거가 된다.
덧붙여, 수컷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의 큰턱은 싸움의 역할도 있으나 주로 원시림의 기주식물 겉껍질을 파내어 해체하기 쉽게하는 역할을 한다. 위에서 언급했듯, 조그마한 구멍이 있을때 은신처를 만들기도 하지만 아닌 경우에도 줄기를 뜯어 은신처를 만든다. 사육상태에서도 먹이접시나 놀이목 껍질을 모조리 갉아버리는 경우가 있다.
일본의 유명한 채집가에 따르면 수마트라 섬의 전역을 관찰해보면 하향내치의 비율이 제일 높은데, 그것은 하향내치 형태의 큰턱이 기주식물 껍질을 해체하기 유리한 형태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곤충표본 수집가라면 표본을 구입할 때 아체산지를 선택했더라도 큰이빨이 위로 붙은 개체가 올 수도 있으므로 꼭 참고하자.
3. 사육
사육산의 경우 공식적으로 일본의 곤충사육 전문잡지 BEKUWA의 2025년 10월 기준으로는 수컷이 110.3mm[5] 암컷이 62mm 이며[6], 채집산의 경우 공식적으로는 102.5mm가 기네스 크기이다.국내에서는 관련법령 개정전인 2000년대 초반 기준으로 엄청난 수량의 아체 산지/븡쿨루 산지의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가 들어왔으며 각각 북타(북부 타이타누스)/남타(남부 타이타누스)로 불리며[7] 큰 인기를 끌었었다.
아체 산지의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는 특유의 굵직한 체형과 그다지 어렵지 않은 사육 난이도 덕분에 옆나라 애완곤충대국 일본에서의 외국산 사슴벌레중 사육량, 유통량 모두 1위를 당당히 차지하고 있으며 [8][9][10][11] 그 인기로 인해 브리더들의 선별누대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왕사슴벌레처럼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에서도 극태혈통이 만들어지게 된다. 원래 원체 턱이 굵은 녀석들인데 거기서 두 배는 더 굵게 만들어놨다. 밑에서 첫번째 사진은 극체형 개체, 2~4번째 사진이 극태혈통들의 사진이다.
매우 두꺼운 가슴을 가진 개체
매우 두꺼운 큰턱을 지닌 개체
매우 두꺼운 큰턱 + 매우 두꺼운 가슴
위와같이 일본의 곤충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다 보면 극태와 극체 사진들을 쉽게 접할 수 있는데 정말 극태 왕사슴벌레와는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굵다. 왕사슴벌레는 악폭(턱의 너비)이 최대 9mm까지 나와 있는데[12], 극태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의 경우 굵은 녀석[13]들은 16mm를 넘어가기도 한다. 극태라고 불리는 왕사슴벌레들보다 두 배 굵은 수준. 또한 극체형 개체들은 알키데스넓적사슴벌레와 함께 사슴벌레중에서 유일하게 흉폭이 40mm[14]를 그냥 넘는 개체 이며[15] 또한 왕사슴벌레는 한국이나 일본의 아종만으로는 극태를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중국의 호페이왕사슴벌레 등 동아시아 각지의 굵은 아종들을 교잡하고 근친교배로 만든 결과물이지만 극태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는 교잡 없이 단일 아종만으로 선별 누대시켜 만든다.
유명 혈통으로는 KDT[16] ,TYRANT[17] ,OAGARI[18],KUNI,타이탄[19],Ever[20],세자[21] 등이 있다.
수명은 보통 2년 정도로 오래 살 수 있는데다 타이타누스 계열 답게 성격이 굉장히 흉폭하고 호전적인데 특히 페어링을 할때 암컷을 죽이는 이른바 메스킬을 자주 내는 사슴벌레로도 유명하다.[22]
3.1. 생태계 교란
2015년 4월, 경기도 한 지역 공단에서 거대한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가 살아있는채로 발견되었다. 누군가가 몰래 기르던것을 방생하였거나, 자력으로 탈출하여 돌아다니고 있던 모양.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와 한국의 넓적사슴벌레는 같은 속-같은 종이고, 교잡종이나 밀수개체가 자연에 방생될 경우 토종 넓적사슴벌레의 유전자를 오염시켜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다.
덧붙여 동남아시아의 왕넓적사슴벌레와 동아시아의 넓적사슴벌레가 분단된지 500만년이나 되었지만,[23] 일본의 한 연구소에서 실제로 두 아종을 교잡시켜 잡종을 아무런 문제없이 만들어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24]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와 넓적사슴벌레의 교잡종
4. 대중매체
최강 곤충왕에서 2회전에 첫 출전해 자귀나무허리노린재를 제압하고 준준결승전에서 페루비안 자이언트 지네를, 준결승전에서 데스스토커를 제압하며 결승전에 올라와서 헤라클레스 장수풍뎅이의 가슴뿔을 물어 부러뜨리며 최강 곤충왕에 즉위한다. 최강 동물왕: 왕중왕전에서는 전작에서의 활약이 무색하게 1회전에서 하마에게 물리며 패배해 광탈한다.[1] 매우 두꺼운 턱 혹은 몸통을 뜻한다.[2] 특히나 모든 사슴벌레를 통틀어 유일하게 두폭 40mm가 나오기도 하며 흉폭 또한 최대 43mm에 근접한다.[3] 일본 학계에서 분류한 사슴벌레나 장수풍뎅이 신종은 장사용으로 생산한다는 우스갯소리도 있고 일본의 곤충 동호인이나 학자들도 넓적사슴벌레 아종을 잘 구별하지 못한다.[4] 수마트라섬 잠비주 채집영상. 영상 15분05초쯤 굴안에서 턱 끝이 부러진 개체가 나온다. https://youtu.be/ybp7YnPdTCU[5] 다만 수컷은 111mm,111.1mm,111.5mm 완품도 있으며 부전이긴 하지만 112.8mm, 114.6mm도 있다.[6] 암컷은 부전 65.6mm도 있다.[7] 사슴벌레 동호인들이 넓적사슴벌레의 아종들을 학명 '타이타누스(titanus)'로 부르는 것은 이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로부터 시작되었다.[8] 워낙 물량이 많고 흔해서 가격도 꽤나 저렴한 편이나 흔치 않은 초대형 108mm 완품은 가격이 혈통에 따라 다르지만 저렴해도 약 80,000엔이며 비쌀 경우엔 250,000엔 까지도 오른다.[9] 2025년 2월 12일 일본 옥션에 유명 KDT혈통의 109.2×58.5mm 개체가 경매로 올라왔는데 가격이 600,000엔(한화 564만 4,590원)이며 또한 2025년 5월 10일에 올라온 109.3XFree 개체는 무려 620,000엔(한화 583만 2,743원)이고 6월 9일에 올라온 109.6XFree개체는 700,000엔(한화 658만 5,355원)으로 책정되었다. 그러나 너무 비싼 가격 때문인지 입찰이 정말 아예 없어서 경매기간이 종료되어도 다시 기간을 늘려서 옥션에 올리고 있다 이쯤 되면 가격을 내려야 한다이 브리더는 해마다 본인의 기록을 갱신해 나가고 있다 최대 111mm 완품까지 만들었다.[10] 여담으로 KDT 사토상의 110mm 완품 개체는 무려 1,200,000엔(한화 1,128만 9,180원)에 예약 되었다고 한다.[11] 2025년 9월 26일에는 세자 라인의 109.1mm 특대 페어가 시작가 500,000엔(한화 470만 5,000원)으로 책정 되었으나 너무 비싼 가격으로 인해 입찰하는 사람이 없었다.[12] 2025년 7월 10일 국내 유명 곤충 카페인 곤충아카데미에서 극태 브리더가 몸길이 70mm 좌악 9.6 우악 9.4 극태 비율이 13.7%라는 개체를 인증하였다.[13] 2025년 7월 21일에 99.5mm(두36.9/흉38.0) 턱폭 14로 극태 비율이 14.2%짜리 단품 개체가 42,000엔(한화 39만 3,540원)에 낙찰 되었으며 앞선 6월 4일에는 98.6mm(두37.6/흉38.0) 턱폭 14.5 로 극태 비율 14.71% 짜리 페어가 62,000엔(한화 59만 1,480원)에 낙찰 되었고 5월 10일에는 99mm(두36.5/흉37.5) 좌턱 14.7 우턱 14.8로 극태 비율 14.95% 짜리 페어가 25,000엔(한화 23만 9,750원)에 낙찰 되었다.[14] 체감이 잘 안될수 있는데 40mm는 통상 일반적인 사슴벌레 암컷의 몸길이 수준이다.[15] 일본 유명 브리더인 Tyrant개체들중에서 날개 부전인 초대형 108mm 개체는 두폭 38.1에 흉폭이 무려 42.9mm가 나왔으며 이 개체는 58,000엔(한화 526,060원)에 낙찰되었고 2025년 5월 11일 108.2mm 두폭 39.2 흉폭 42.7 부전 페어가 62,001엔(한화 593,969원)에 낙찰되었다.[16] 최대 111mm 완품 개체와 부전 110.6mm,111.3mm를 만들어 냈으며 매년 본인 기록을 갱신중이다.[17] 흉폭이 타 혈통에 비해 유달리 두껍게 나오며 위에서 언급된것 처럼 흉폭 42.9mm급 부전 108mm를 만들어 냈으며 최대 109.5mm까지 만들어냈다.[18] 최대 109.1mm를 만들어냈으며 이쪽은 주력이 팔라완넓적사슴벌레인데 최대 114.1mm를 만들었다.[19] 이쪽은 체장보단 극태 개체들 위주이며 주력은 OAGARI 혈통 처럼 팔라완넓적사슴벌레이고 최대 114mm를 만들었다.[20] kuni와 함께 완품률이 높으며 최대 109.3mm와 두흉이 굵직한 개체들도 대거 착출했다.[21] 최대 110.3mm를 만들어 냈으나 우화한지 얼마 안된 기준이어서 몸이 마른후 사이즈가 줄어서 109.4mm로 측정되었다.[22] 세자가 본인 유튜브에서 핀셋으로 핸드 페어링을 쉽게 하는 영상을 업로드 하였다[23] 보통 종이 분화된지 1만년 이상 지난 종들의 잡종 자손은 생식 능력을 잃고, 그 이상으로 분화가 오래된 종들은 서로를 다른 종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4] 실험에 사용된 넓적사슴벌레는 쓰시마의 넓적사슴벌레 즉 한국과 같은 아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