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6 16:41:45

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

넓적사슴벌레(Dorcus titanus)의 아종 목록
베트남넓적사슴벌레
중국넓적사슴벌레

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
파일:Dorcus titanus typhon.jpg
학명 Dorcus titanus typhon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딱정벌레목(Coleoptera)
사슴벌레과(Lucanidae)
왕사슴벌레속(Dorcus)
넓적사슴벌레(D.titanus)
아종 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D. t. typhon)

파일:술라웨시넓적사슴벌레.jpg
106.4mm가 공식 최대 크기로 기록되어 있는 대형종으로, 티폰왕넓적사슴벌레라고도 부른다.

1. 개요2. 생태

1. 개요

인도네시아술라웨시(셀레베스) 섬 전역 및 그 부속섬에 서식하는 넓적사슴벌레의 한 아종. 보통 이명으로 셀레베스왕넓적사슴벌레, 티폰왕넓적사슴벌레 등의 명칭으로 불린다. 형태적으로는 큰턱의 큰이빨이 턱의 위쪽에 붙어있는 이른바 '상향내치'의 형태를 띄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일본의 경우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 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에 밀려 전혀 인기를 얻지 못하지만, 1년내내 수입과 사육은 수 천마리 이상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일본의 홈센터나 작은 가게에서 판매되는 왕넓적사슴벌레(オオヒラタクワガタ)라고 적힌 외국산 넓적사슴벌레들은 십중팔구 이 종이다.

예전에는 수마트라왕넓적사슴벌레, 민다나오왕넓적사슴벌레 등과 함께 원명아종(D.t.titanus)으로 분류되었으나 2010년 일본 사슴벌레 학자인 후지타씨가 typhon이라는 아종으로 재분류하였다. 중요한 것은 술라웨시섬 북부 마나도(manado) 지역에 서식하는 하향내치 산지, 펠렝섬에 사는 하향내치 산지등 하향내치를 가진 개체들은 서식지가 겹침에도 불구하고 모두 원명아종으로 불린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는 술라웨시 섬 전역이 서식지이지만 상향내치를 가진 산지만 typhon 아종으로 인정된다는 것.[1]

2. 생태

파일: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1.jpg
파일: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2.jpg
자연산 술라웨시왕넓적사슴벌레.
일반적인 넓적사슴벌레들처럼 수액을 먹고 옹이구멍에서 쉬는 생태를 보인다. 술라웨시섬의 평년기온을 보면 온도의 편차가 거의 없이 중온을 유지하므로 1년내내 성충이 발견되는 것으로 추정 중이다. 사육 기네스는 일본의 유명 브리더 Wood cutter(RTDT) 씨의 G106 혈통 중 106.4mm 개체로 알려져 있다.

서식지는 술라웨시 섬 전역에 걸친다. 마나도 지역 제외 북부에서도 발견되고, 술라웨시 중부에서 많이 발견되며 최근 일본에서도 처음 선보인 술라웨시 남부의 신자이 산(mt.sinjai)에서는 약 80% 가량의 개체가 타이폰의 상향내치를 갖고 있다. 그말인 즉슨, 20%는 다른 내치 형태를 갖고 있게 된다는 것인데 실제 수입되는 개체들을 보면 중향내치, 하향내치가 모두 있다. 이에 대해 아직까지 명확한 연구를 하고 있진 않기 때문에 일본에서 자체 수입시 인도네시아 정부에는 아종명을 D.t.typhon으로 명시하여 들여오고 있다.
[1] 후지타의 아종 기준에는 논란이 있으므로 주의할 것. 한국산 넓적사슴벌레의 학명을 참넓적사슴벌레의 동물이명인 fasolt를 가져다 썼고, 일본 아종을 몇 십 가지로 재분류하는 등 공신력이 높지 않으며, 후지타의 아종을 인정하지 않는 학자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