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8 15:33:31

송용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의 前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에 대한 내용은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의 前 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파일:플라이 유튜브.jpg
Fly[1][2]
송용준 (Song Yong-jun)
출생 1996년 2월 25일 ([age(1996-02-25)]세)
충청북도 청주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8cm[3]
ID 검은머리사나이 #KR1 #
희진사랑사나이#KR1 #
정서불안 송진리 #FLY #
포지션 미드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12보병사단 병장 만기 전역
(2023년 03월 27일 ~ 2024년 9월 26일)
별명 송무무, 송파리, 송진리, 우리아들, 사파의 정석
협곡의 매그니토, K-송형[4], 무지성 거인, 랄라이[5]
소속 CTU
(2013.06 ~ 2013.11)
Jin Air Stealths
(2014.02.10 ~ 2014.12.01)
Young Glory
(2014.12.01 ~ 2015.12.02)
kt Rolster
(2015.12.02 ~ 2016.11.28)

Longzhu Gaming
(2016.12.05 ~ 2017.05.20)
Gold Coin United
(2017.05.20 ~ 2017.11.30)

FlyQuest
(2017.11.30 ~ 2018.04.27)
Gen.G
(2018.05.17 ~ 2019.11.18)

Afreeca Freecs
(2019.11.19 ~ 2021.11.1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파일:도유 아이콘.pn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SOOP 아이콘.svg

1. 개요2. 플레이 스타일3. 수상 경력4. 선수 경력5. 여담
5.1. 미남 프로게이머5.2. 인터넷 방송
5.2.1. 다음팟의 아들5.2.2. 아주부 TV5.2.3. 치지직으로의 복귀
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선수 시절 포지션은 미드 라이너.

아마추어 시절엔 '송진리'라는 아이디로 유명세를 얻은 천상계 유저였다.[6] 니달리 장인으로도 유명했으며 미마를 대신해서 CTU의 미드 라이너로 LOL Champions Winter 13-14 예선과 NLB에 출전한 이력이 있다.

2. 플레이 스타일

송용준의 플레이 스타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체 플레이 스타일 : 송용준/플레이 스타일
파일:LCK 로고.svg
LCK 내 타 미드와의 비교 상세 해외의 비슷한 미드 결론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송용준/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송용준/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송용준/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수상 경력

우승 기록
2017 CS NA Summer 우승
Gold Coin United Gold Coin United 리그 폐지
2019 LoL KeSPA Cup ULSAN 우승
Griffin Afreeca Freecs DAMWON Gaming
준우승 기록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준우승
ROX Tigers kt Rolster kt Rolster
2018 LoL KeSPA Cup 준우승
Longzhu Gaming Gen.G Esports SANDBOX Gaming

4. 선수 경력

파일:아프리카플라이.jpg
송용준의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통합 선수 경력 : 송용준/선수 경력
파일:LCK 로고.svg
2013년 2014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파일:LCS_text.png
2018년
파일:LPL 로고 세로형.svg
2015년
}}}}}}}}} ||

5. 여담


5.1. 미남 프로게이머

파일:플라이존잘탱.jpg

파일:CZ5PXTGUUAAnAAk.jpg

파일:1537628068-1.jpg

송무무라는 별명 때문에 왠지 고독하고 쓸쓸할 것만 같은 이미지였지만, 방송 경기에 얼굴이 나오자 훈훈한 외모로 인기폭발.

건웅플레임, 정글클템 와치, 원딜 프레이미스틱&벳쿄, 서폿 낀시&레이스에 이은 새로운 존잘 라인이 되었다.[33]

그런데 2021년 들어...

파일:재능낭비중.png

어째서? 랄로?[34] 군대 전까지 역변 테크 입대 전까지 머리를 자르지 않겠다고 선언하고는 머리를 기르고 있다.[35]

파일:ea4753ba89dccf4018cbc08f798d5385.png
파일:플라이얼짱각도.jpg

그래도 전성기 시절의 외모의 편린이 조금이라도 남아있는 편이다.

서머 시즌이 시작되고 나서는 머리를 살짝 다듬었다. 아무래도 롤파크에서 소규모라도 유관중으로 진행하기 때문인듯. 그래도 여전히 막 쓰는편이다.

서머 2라운드 T1전에서 머리를 깔끔하게 자른 모습으로 나와 잘생겨졌다는 평이 많다. 안경만 빼면 전성기로 돌아갈 것 같다는 의견 역시 나오고 있다. 자른 이유에 대해선 본인이 2라운드 젠지전 승리 후 인터뷰에서 밝히길 2라운드에서 지는 경기가 자주 나오면서 분위기를 환기시키는 의미에서 잘랐다고 한다.그리고 귀신같이 팀 성적이 올랐다

본인이 외모를 잘 관리하지 않음에도 30대에 접어든 2025년에도 준수한 외모를 유지하고 있으며[36], 도파 피셜로 본인이 본 숱한 연예인들보다도 잘생겼으며 사진보다도 실물이 더 낫다고 했다.[37] 물론 여전히 얼굴을 막 쓴다며 그렇게 쓸 거면 자기 달라고 하는 시청자들의 원성이 높지만, 본인은 태어난 대로 살 뿐이라며 가져갈 수 있으면 가져가 보던지라는 반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5.2. 인터넷 방송

5.2.1. 다음팟의 아들

우리 아들
-플라이가 등장하거나 활약하면 나오는 채팅
그 이전에는 다음팟 PD로 활동하기도 했는데 그 당시 별명이 송무무. 솔랭을 돌리면서 전체 채팅으로 말을 걸고 해도 받아주는 사람이 없고 픽밴창에서 혼자 말을 하는데 아무도 대꾸를 안 해줘서 붙은 별명이다. 또한 챌린저에게 친추를 걸고 "안녕 친구양?"이라고 귓말을 하는데 아무도 대답을 안 해주기도 했다. 도수 曰, "노잼인데 계속 드립쳐서 짜증남." 이 송무무란 별명 때문에 챌린저 트롤인 줄 알았다는 사람도 꽤 있는 모양이다.[38] 게다가 도 송진리가 처음 진에어 숙소에 오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찐따일 거라 생각했는데 인성 얼굴을 보자마자 깜짝 놀랐다고 한다.

다음팟 PD 출신에 잘생긴 외모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벳쿄와 공통점이 있으며, 벳쿄와 마찬가지로 잘할 때는 다음팟의 아들로 불리나 못할 때는 다음팟의 수치라고 불린다. 클럽 마스터즈에서는 이게 한 경기 내에서 초 단위로 바뀌었다. 그 외에 못할 때는 아이디 Fly에서 따와서 송파리, 똥파리 등으로 까이기도 한다.

다음팟에 대한 의리 때문인지는 몰라도 프로게이머가 되어서도 아프리카를 하지 않고 다음팟에서 가끔씩 와서 방송하는 중. 근데 컴맹인지 마이크 설정으로 한참 헤매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송무무도 그렇고 허당 이미지가 매우 강하다

그렇게 중국으로 떠나고 보기 힘들 줄 알았으나... 어떻게 하는 건진 몰라도 2015년 3월부터 다시 다음팟으로 돌아왔다. 바탕화면이나 가끔 들리는 대화들을 보면 팀 숙소에서 방송하는 듯하다. 실제로 중국 서버를 돌리면 쌩쌩 돌아가는데 다음팟, 인벤, 한국 섭을 돌리니 미칠 듯한 랙이 걸려 보던 팟수들이 고통스러워했다. 그리고 팟수들은 아들의 귀환을 환영하는 중. 챔프 폭이 굉장히 넓은 편이지만 이로 인해 트롤링을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진리'라는 아이디로 한국 솔랭 10권 내외에서 노는 걸 보면 폼은 어디 가지 않는 듯.

스프링 시즌이 끝나고 휴가 받아서 한국에 왔을 때 가장 먼저 진에어 숙소에 놀러간 듯하다. 다음팟에서 여러 가지로유명한 PD인 요플래가 방송에서 큐 잡다가 XD가 갑자기 해보지도 않은 바드를 픽하더니 '나 바드 잘함'하면서 어필하는 걸 보고 촉이 온 요플래가 '너 송진리가 시켰지'라며 몰아가자 부정하면서 중간중간 시비거는 말을 한 걸 보고 '저거 송진리네'라고 감별하기도. 이후에도 리그 도중인데 짬짬이 다음팟 방송을 키는 걸 보면 의리 하나는 알아줘야 할 듯하다. 가끔 새벽에 송진리 아이디로 1인방에 비번을 걸어 놓는 걸 본 팟수가 '너 왜 새벽에 1인방 키고 하냐'고 하니 송무무 왈 '그거 벳쿄가 하는걸 껄'이라고 답했다.

그리고... 중국에서도 키던 다음팟은 KT롤스터에 새로운 미드 라이너로 입단하면서 볼 수 없게 되었다. 다른 프로들처럼 Azubu에서 방송을 한다는 듯.

그 후로도 다른 PD들 방송에 AD로 얼굴을 자주 비췄으며 젠지의 롤드컵 탈락이 확정된 후 롤 PD들 방송에 등장해 어그로를 끌고 있다.

카카오 PD로써의 의리로 파카와 듀오를 하기도 하고, 젠지 피넛이 방송이 끝나고 시청자를 누구에게 호스팅할지를 송진리에게 묻자 '랄로에게 호스팅해라'라고 대답하기도 했다.[39] 이에 피넛은 '하... ㅋㅋ 형 진짜 그거(팟수)구나' 라며 어이없어하고 트위치 평균 시청자수가 카카오와 10배 차이나는(300명대) 랄로에게 6000명을 호스팅하며 방종했다.

하지만 아프리카로 이적하면서, 당분간 트위치와 카카오TV에서의 개인방송은 볼 수 없을 가능성이 높아졌다.[40]

2020년 스프링 시즌이 끝나고 아프리카에서도 개인방송을 켜기 시작했고, 프릭스 홈페이지에서도 매드무비 및 하이라이트를 업로드하고 있다. 다만 팀컬러에 맞게 가뭄에 콩 나듯 아프리카에서 개인방송을 켠다. 롤드컵 선발전 패하자마자 아프리카는 안 켜고 트위치에서 파카와 듀오를 했다 그리고 시즌 종료 후 한상용 전 진에어 감독의 트위치 방송 채팅에 나타나 미스틱에게 귀신같이 딜교를 시전했다. 귀신같은 3인칭화

2021년 스프링 시즌이 끝나고 아프리카에서 가끔씩 방송을 켜는데[41], 방송을 켜 솔랭을 돌리고 있다. 이유는 방송을 안 켜면 그대로 잠들 것 같아서인데, 휴가 동안 솔랭 숙제를 안 해서 휴일이 잘릴 것 같다고 푸념을 늘어놓았다. 서머 시즌 종료 이후에는 스타크래프트를 하다가 트롤을 한 팀원들에게 욕을 퍼부은 적이 있다.

아프리카 프릭스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시즌이 끝나면 듀오 등으로 트위치에 자주 출몰한다. 돈은 직장에서 벌지만 취미생활은 트수라는 괴리[42]

시즌 종료 후 라이엇게임즈 공식 유튜브의 <챔프판다>에 벡스를 소개하는 역할로 나왔다.

2025년부터 치지직에서 방송하는 중인데 대체로 다음팟 출신이라는 기본적인 정체성은 있지만 도랄팤쥐로 대표되는 다음팟 출신 스트리머들이 파카를 제외하면 대체로 막 나가는 성향의 방송이라 본인 스타일과 거리가 멀고 너무 체급이 커졌다는 이유로 구 다음팟 출신들과는 상당히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특히 다음팟 특유의 소속감과 우월의식, 배척 문화를 드러내는 시청자들이 보일 때 이에 대해 간간히 비판하는 편.

5.2.2. 아주부 TV

kt로 이적하며 다시 아주부 방송을 시작했는데, Azubu의 시청자와 다음팟 시절의 팟수들과의 다른 채팅 문화로 인해 한편으로는 클린해졌지만 다소 지루해보이는 면이 없지 않아 있다. 아무튼 환경이 바뀐 만큼, 본인도 욕을 자제하려는 모습. 자기 얼굴이 갑자기 확대되어 "시ㅂ"이라고 하다 입을 막고 깜짝 놀라는 표정을 지은 적도 있다. 욕을 쓸 때는 '죄송함다 죄송합니다~~'라고 한다.

초창기쯤에 동영상들을 보면 요즘과는 다른 조금 차분한 모습들도 볼 수 있고 개인적인 이야기들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타로 이야기나 크리스마스 고민 등등.

소양 교육을 받은 후 방송에서는 "소통방송입니다 소양교육받고왔어요 컨텐츠 좀 쳐 만들라고"이 이야기를 한 후 옷 입히기 게임을 했다. 처음 해 본 듯한 티를 엄청 많이 내서 시청자들을 웃게 만들었다.

1월 9일 새벽, 연패로 인해 멘탈이 나가자 '약빨고하는방송'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몇 시간 동안 노래 메들리를 보여주며 팟수는 어디 가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했다.

결국 약 5시간 동안 노래를 불렀는데, 바로 그 옆자리에서 랭크를 돌리던 썸데이는 플라이의 무반주 라이브를 생생하게 들었다는 것은 덤이다. 플라이가 직접 캠으로 옆자리 썸데이를 비춰주기도 했다. 심지어 썸데이의 무덤덤함이 압권이다.

중간에 체이, 트레이스와 큐베, 플로리스가 들어오기도 했다.

썸데이는 결국 참다못해 중간에 방송 채팅창까지 들어와선 "이 색기 어떻게좀 해보셈 존나 몇시간동안 왜이러는거임" 이라는 채팅을 남겼지만 플라이는 그대로 계속 라이브를 진행했다는 후문...그것도 5시간동안...
중간중간 멜론 플레이어를 끄고 생 목소리 자체만을 들려준 부분이 있는데 차마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을 정도.

방종을 하는 순간에도 이마트 브금을 틀었다...역시 송무무.

2월 6일에는 여러 가지 의미로 1월 9일급의 역대급 방송이 나왔다. 슈퍼 계정 배치를 하다가내가 잘하는 거였구나 이게 바로 양학인가 롤 말고 다른 게임을 하면 다른 사람들이 얼마나 빠져나가는지 보자며 화이트앨범 미연시를 했다. # 썸데이는 이 방송을 보고 플라이에게 '너가 kt의 미래라니...'라고 롤챗으로 보냈다.

애로우 방송에서 체이가 말하길, 지금 현재 플라이가 보여주는 4차원또라이의 모습은 사실 진에어에서 선수 생활을 했을 때는 이 정도까지는 아니었다고 한다. 체이의 증언으로는 중국에 한 번 다녀오더니 향수병에 걸려서 이렇게 된 게 아닌가 하고 추측할 뿐.

3월 19일 방송에서는 여러 가지 볼 만한 장면들이 나왔다. 방송 시간은 7시간이 조금 넘는 시간이라 그런지 수면 방송, 팀원들과 마인크래프트 방송 등 볼거리가 많았다. 마인크래프트는 애로우, 썸데이와 함께 했는데 집 짓는 애로우를 화살로 쏘면서 자기가 아니라 몬스터가 쏘는 거라고 시치미 떼는 플라이의 모습이 백미였다.

5.2.3. 치지직으로의 복귀

한편 다음팟도 사라졌고 트위치마저 한국을 떠난 와중에 개인 방송도 잘 키지 않으며 전역한 그가 과연 어디서 방송을 킬지에 대한 궁금증이 상당히 있었고 2025년 4월 지인들이 많이 방송하는 플랫폼인 치지직에서 방송을 켠다는 공지를 올렸다. 다만 지금은 숲이랑 번갈아 키다가 동출하는 방향으로 잡고 방송 중이다. https://chzzk.naver.com/6e00c76a7c58f7f3936346742428bb9d 그러나 숲에서 진행하는 CK 등지를 참여할 때 빼곤 사실상 치지직 단독 송출로 가닥을 잡은 듯. 본인 말로는 동시송출이 불가능하다고. 현재는 숲 대회에 참여할 때만 숲에서, 나머지는 치지직 고정이라고 밝혔다. 본인 말로는 숲은 외화벌이라고(...).

공식 카페가 있는데 장기 휴방을 제외하면 공지를 일절 안 올리기 때문에 언제 방송을 킬지 예측할 수 없다. 거의 항상 방송을 키긴 하므로 참고할 것.

본인과 친분이 있는 흔히 일컬어지는 도랄팤쥐의 방송 규모가 너무 커져 쉽사리 낄 수가 없다고 한탄하기도 했다. 그냥 본인이랑 같이 놀던 애들인데 쉬고 온 사이 너무 컸다고.

얼마 안 가 도파와 합방을 했는데, 도파는 초면인 줄 알았으나 실은 2013년 PC방 대회에서 본 적이 있었다고 한다.

티어는 챌린저 중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43], 기본적으로 본인과 잘 맞는 치지직에서 주로 방송하나 가끔 숲에서도 방송을 키거나 동시송출을 하고 있다. 평균 시청자는 30~50명. 송무무 특유의 방송 스타일 덕에 다음팟 시절만큼의 화력은 안 나오지만, 올드비 시청자도 상당수 있는 등 꽤 탄탄한 고정 시청자를 보유하고 있다. 본인은 300~500명 정도까지 방송을 키우는 게 목표라고.

방송 시간은 낮 시간 랜덤하게 켜서 기본 10시간은 하고 끌 정도로 엄청나게 오래 진행한다. 시청자들 대다수가 최소 대학생에 보통 직장인이기 때문에 방종 시간은 직장인들이 자러 갈 시간대에 맞춰 하는 편.

방송 카메라를 보면 방 전등 외의 조명이 없어서 플라이 뒤로 후광이 비치거나(...) 얼굴이 지나치게 어둡게 나오는 문제가 있는데, 시청자들로부터 조명 좀 사라고 혼나는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조명을 사기로 했다.

게임이 터지면 시청자들로부터 캠이랑 게임 화면의 비율을 바꾸라는 말이 종종 나온다.

본인은 남캠 방송이 아니리고 말하며, 실제로 그에 걸맞게 외모 관리도 거의 안 하고 방송을 키지만 시청자들로부터 그 잘생긴 외모 좀 막 쓰지 말라며 종종 타박받는다.

컴퓨터 사양은 충분히 좋으나 원컴 방송이라 그런지 한타에 들어가면 게임 프레임 방어가 잘 되지 않는다며 송출 컴퓨터를 맞출 계획이 있는 모양이다.

거의 매일 방송을 켰으나 본인이 사용하던 로지텍 G1이 고장나면서 마우스가 배송될 때까지 휴방하기로 했다가 때마침 콩밥특별시 3차 모집에 당첨되며 콩밥특별시를 하고 있다. 특별한 컨셉이나 RP 없이 그냥 평범한 송무무(...)로써 플레이하고 있었으나 별로 흥미를 못 느끼고 별로 접속하지 않았다.

LCK 중계는 중요한 경기 위주로 중계하며, 경기 전 특정 팀을 응원한다고 선언해 놓고 사실상 중립 중계를 하는 특이한 성향이 있다. 상대가 누구든 가차없이 까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누가 잘했다, 못했다 정도로만 평가하고 이후 분석을 통해 그러한 플레이가 왜 나왔는지 설명해주기 때문에 평가가 좋은 편이다. 본인 말로는 다른 데 퍼나르지만 않는다면 이런 중계를 계속 할 수 있다고.

릴파가 주최한 데스롤에 참가해 약자 거르기에서 미드 2위로 진출했으나, 강자 선발전에서 게임이 계속 꼬이며 좋은 성적은 내지 못했다.

2025년 6월부터는 묵혀뒀던 부계정을 키우기 시작, 예능 플레이를 종종 보이고 있지만 현재는 에메랄드 티어까지 올려두었다. 매칭은 마스터 하위권과 잡히는 중.

6월 26일 이후로 공지 없는 휴방을 하고 있다가 복귀했다. 잠깐 롤에 현타가 왔다고.

2025 자낳대: 리그 오브 레전드에 감독으로 참여한다. 본인은 선수로 참여하고 싶었던 모양이나 실력이 너무 좋아서 불발되고[44] 감독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이 전까지 자낳대급 메이저급 대회에서 하꼬인 본인을 왜 부르겠냐며 꾸준히 부정했으나, 다들 티가 난다는 분위기였다.

자낳대 이후 한 적이 없다던 스타크래프트를 시작했는데, 뉴비 치고는 높은 APM과 괜찮은 컨트롤로 큰 기대를 받고 있다. 종족은 저그로 정한 모양.

6. 둘러보기

파일:LCK 로고 흰색.svg 1,000킬 달성 선수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white> 순번 달성 일자 선수 포지션 당시 소속 팀 최종 기록
<colbgcolor=#1c192b,#1c192b><colcolor=white> 1 2016.07.11 [[이상혁|이상혁
Faker
]]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
2 2016.07.21 [[김종인(프로게이머)|김종인
PraY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1,685K
3 2017.03.02 [[배준식|배준식
Bang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1,679K
4 2017.03.05 [[고동빈|고동빈
Score
]]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1,509K
5 2017.06.08 [[이서행|이서행
Kuro
]]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 1,556K
6 2018.03.01 [[송경호|송경호
Smeb
]]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1,340K
7 2018.07.26 [[강찬용|강찬용
Ambition
]]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1,009K
8 2019.02.13 [[권상윤|권상윤
Sangyoon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1,191K
9 2019.03.21 [[김혁규|김혁규
Deft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Kingzone_DragonX_300px.png 2,958K
10 2020.02.26 [[박진성(프로게이머)|박진성
Teddy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T1 LoL 로고.svg -
11 2020.04.01 [[박재혁(1998)|박재혁
Ruler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
12 2020.04.08 [[곽보성|곽보성
Bdd
]]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
13 2021.02.20 [[장용준|장용준
Ghost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DWG KIA 엠블럼.svg 1,487K
14 2021.06.24 [[한왕호|한왕호
Peanut
]]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
15 2021.07.01 [[정지훈(2001)|정지훈
Chovy
]]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
16 2021.07.29 [[송용준|송용준
Fly
]]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Afreeca Freecs 로고.png 1,041K
17 2021.08.28 [[허수(프로게이머)|허수
ShowMaker
]]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DWG KIA 엠블럼.svg -
18 2022.03.05 [[김기인|김기인
Kiin
]]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
19 2022.07.06 [[김하람|김하람
Aiming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
20 2022.07.29 [[김광희|김광희
Rascal
]]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1,317K
21 2023.03.04 [[서대길|서대길
deokdam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
22 2023.03.10 [[김건부|김건부
Canyon
]]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
23 2023.06.30 [[문우찬|문우찬
Cuzz
]]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
24 2023.07.09 [[박도현(2000)|박도현
Viper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
25 2023.08.02 [[이민형|이민형
Gumayusi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T1 LoL 로고.svg -
26 2023.08.03 [[최현준|최현준
Doran
]]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
27 2024.08.03 [[김수환(프로게이머)|김수환
Peyz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1,107K
28 2024.08.08 [[김건우(프로게이머)|김건우
Zeka
]]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
29 2024.08.14 [[문현준|문현준
Oner
]]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T1 로고.svg -
30 2024.08.23 [[박증환|박증환
Hena
]]
파일:LCK_BOT.png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BNK FearX 로고.svg 1,009K
31 2025.04.04 [[최우제|최우제
Zeus
]]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
32 2025.04.21 [[홍창현|홍창현
Pyosik
]]
파일:LCK_JGL.png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DN 프릭스 로고.svg파일:DN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
33 2025.05.23 [[황성훈|황성훈
Kingen
]]
파일:LCK_TOP.png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
34 2025.08.03 [[이주현(프로게이머)|이주현
Clozer
]]
파일:LCK_MID.png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
,,
ID
: 현 LCK 소속
ID
: 은퇴/무소속/현 타 리그 소속
☆ : 1,500킬 달성 선수
★ : 2,000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20237> 파일:케스파컵 심볼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KeSPA Cup

역대 우승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연도 우승팀 선수
2015 파일:ESCEVER.png Crazy · Ares · Ryan · Athena · LokeN · Police · KeY · Totoro
2016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Smeb · Peanut · Kuro · Cry · PraY · GorillA
2017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 화이트.svg Smeb · Score · PawN · Deft · Mata
2018 파일:Griffin_new_logo.png Sword · Tarzan · Chovy · Viper · Lehends · Kabbie
2019 파일:아프리카 프릭스(2016~2020.11) 로고.png Kiin · Hoon · Spirit · Dread · Fly · SSUN · Mystic · Ssol · Jelly · Ben
2020 파일:DWG_square.png Khan · Chasy · Canyon · ShowMaker · Ghost · BeryL
2021 파일:DWG KIA 엠블럼.svg Thanatos · Lucid · Pullbae · Saint · Rahel · Bible
2024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Morgan · HamBak · Clozer · Hype · Bull · Pollu
2021 케스파컵은 LCK 소속의 1군 팀들이 전부 참여하지 않았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6460ff><tablebgcolor=#6460ff> 파일:LCSA_white.pngLCS Academy League
역대 우승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460ff> 년도 대회 우승팀 선수
2014 스프링 파일:LMQlogo_square.webp ackerman · NoName · XiaoWeiXiao · Vasilii · Mor
서머 파일:323px-Team8.png calitrolz8 · porpoisepops · slooshi8 · maplestreet8 · dodo8
2015 스프링 Enemy Flaresz · Trashy · InnoX · otter · Bodydrop
서머 파일:Renegades_2019_teamcardimage.png RF · Crumbz · Alex Ich · Maplestreet · Remilia
2016 스프링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600px-Apexsquare.png Cris · Shrimp · Eve · Keane · Police · Xpecial
서머 파일:Cloud9 아이콘.svg Balls · Contractz · Hai · Altec · Caveman
2017 스프링 파일:Gold_Coin_Unitedlogo_square.png Solo · Santorin · Fenix · Mash · MadLife
서머 Solo · Santorin · Fly · Rikara · MadLife
2018 스프링 파일:FlyQuest_only_logo.png Ngo · Shrimp · Keane · Erry · JayJ
서머 파일:Cloud9 아이콘.svg Shiro · Svenskeren · Goldenglue · Keith · Feng
2019 스프링 파일:TSM_Logo.png파일:TSM White Gradient Logo.png Brandini · Armao · Ablazeolive · Tactical · Treatz
서머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Ssumday · AnDa · Soligo · Prismal · Stunt
2020 스프링 파일:Cloud9 아이콘.svg Fudge · Inori · Palafox · K1ng · Diamond
서머 Fudge · Inori · Palafox · Tomo · Diamond
2021 스프링 파일:noorg-arg.png Viper · AnDa · 5fire · Value · Big
서머 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 Gamsu · Chad · ry0ma · Luger · Poome
2022 스프링 파일:Team_Liquid_2020.png Bradley · Armao · Haeri · Yeon · Elya
서머
}}}}}}}}} ||

파일:그정도 아니야 ㅎ.png 그정도 아니야ㅎ
<rowcolor=#fff>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치킨쿤
TOP Chickenkoon
인섹
JGL inSec
트롤야
MID Trollya
강퀴
BOT KangQui
크캣
SUP CrazyCat
코치 <colbgcolor=white,#1c1d1f> 플라이
COACH Fly

[1] 前 SongJinRi[2] 그의 첫 프로팀 진에어와 어울리는 닉네임을 찾다가 Fly로 결정했다고.[3] 한동안 "플레임" 이호종 문서에 173cm이라 적혀 있었으나, 플레임은 플라이가 177cm이라고 밝혔었고, 21 시즌 서머 7주차 POG 인터뷰에서 179cm인 레오랑 같이 서있을 때 키 차이가 거의 안 나는 것으로 보아 최소한 175cm은 넘길 것으로 보인다. 콩밥특별시에서 캐릭터를 생성할 때 본인 키와 동일한 178cm로 설정했다.[4] 같은 IG, kt 출신, 같은 송씨 미드인 송의진의 중국 내 별명인 “송형”에서 유래된 별명. lck소속이기 때문에 앞에 K가 붙은 듯.[5] 랄로를 닮아서.[6] 은퇴 이후에도 송진리라는 닉네임으로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7] 트위터를 보면 최소 FlyQuest 때부터 사귀고 있었다. 연애를 시작한 계기는 비밀이라고.[8] 위 게임은 인생의 게임을 10년 20년 갈아넣었던 겜력 높은 하드게이머 아저씨나 추천할 정도로 대회 수상경력이 많은 명작들이다[9]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은 많아도 프로게이머까지 할정도의 실력과 커리어를 가지며 이정도로 게임지식에 해박한 사람은 극소수다[10] 애초에 롤 프로게이머에 오버워치 그랜드마스터 출신이니 일반인이 보기에도 게임을 잘안다[11] 방송에서 해봤던 게임만 해도 처음으로 했던게임을 툼레이더, 라이즈오브 툼레이더로 소개했고 인왕 다크소울 헤비레인 디트로이트 비컴휴먼 위쳐 라이프이즈스트레인지 서브노티카등이고 이걸 되게 아무렇지도 않은듯이 얘기한다[12] 눈에 보이는 게임만 나열해도 폴아웃 뉴베가스 오리와 눈먼숲 와치독스2, 더포레스트 위쳐1 위쳐2등 70개가 넘어가고 이걸 년도별로 정리해놓았다 방송에서 하지만 않을뿐 국내에서 유명하지 않은 명작까지 섭렵한 바 진짜 미친수준에 게임전문가다.[13] 근데 좋아하는 작품이 대부분 옛날작품인 아재다...[14] 물론 방송보는 시청자들은 그렇게 살거면 그 얼굴 자기 달라고 깠다[15] 당시 앱코 스폰을 받고 있었다.[16] 엄밀히는 G1이 아니고 G100s였다.[17] 정작 플라이 본인은 광축인지도 기계식 키보드인지도 몰랐다.[18] 사실 축과 무관하게 앱코 키보드의 고질병 중 하나다.[19] 광축에 비해 갈축, 적축 등의 키보드는 타건감이 확실히 부드럽기 때문에 눅눅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런데 멀미가 나는 이유는 알 수 없다(...).[20] 다만 도파와는 PC방 대회에서 한 번 본 것 외에는 서로 존재만 알 뿐 실제로 만난 적도 연락한 적도 없다고 한다.[21] 트위치 시절 도네로 가재맨의 솔랭을 더 유도해 챌린저에 겨우 주차해 놓은 가재맨을 마스터로 떨어뜨린 전적이 있다.[22] 다만 저 때를 제외하면 가재맨을 언급한 적도 가재맨에 방송에 모습을 보인 적도 없다.[23] 을 시청자가 이름으로 언급하자 배준식이냐 엄준식이냐 묻고 둘 다 친하다고 답했다.[24] 랄로와 도파는 대리기사 전적으로 영구정지 이력이 있고(그나마 랄로는 정지가 풀렸기 때문에 그나마 가끔 언급할 수 있었다.) 괴물쥐 등은 방송에서 숱한 논란을 일으켰기 때문에 입에 올릴 수 없었다.[25] 9분 50초부터. 저 시간대에 나온 목소리는 하차니의 목소리로 추정.[26] 특히 빅토르로 영겁의 지팡이 등 탱키한 아이템을 가는 걸 굉장히 싫어한다. 다만 탱키한 아이템이라 싫어하기보다는 루덴을 제외한 양피지 상위템이나 영겁 등 가성비가 좋지 않은 아이템을 싫어하는 것이고, 핏빛 저주의 재평가 이후로 3가면 템트리 등 마나 아이템보다는 체력 아이템을 여전히 선호하는 성향이 있다.[27] 한 때 프로게이머로 활동했다가 현재는 아프리카 TV BJ로 활동 중이다.[28] 그나마 1년 가량 주전으로 띈 경우는 16 시즌의 KT 때나 20~21 시즌의 아프리카 정도를 꼽을 수 있다. 그마저도 20 시즌 아프리카에서는 스프링 후반에 올인에게 주전을 내준 적도 있었다.[29] 가장 길게 주전으로 활약한 팀은 바로 현재 소속인 아프리카. 올인에게 주전을 내준 20 스프링 2라운드만 빼면 합류한 이후부터 줄곧 주전 미드 라이너로 출전 중이다.[30] 사실 이는 어찌보면 편견이라 볼 수도 있는게 NA CS에서 보낸 2017년 서머 시즌 때도 비록 2군이었지만 눈부신 활약상을 보이며 팀의 우승에 공헌했고, 2021년 서머 때도 단단한 모습을 보여주며 팀의 플옵 진출에 보탬이 되었다. 침체기를 맞았던 롱주에서의 17 스프링과 젠지에서 고전했던 19 시즌의 여파가 크게 남은 듯.[31] 그나마 2018년 서머 때 젠지의 반등을 이끌며 노려볼 만한 상황이 왔지만 하필 선발전에서 당시 경쟁자였던 크라운이 강팀인 그리핀, 킹존을 상대로 부활한 듯한 경기력을 보여주면서 크라운에 밀려 롤드컵 로스터에 들지 못하면서 결국 물거품이 되어버렸다.[32] 타 프로게이머 출신 참여자들도 높아봐야 마스터 600점 정도에 그쳤는데 플라이 혼자 1100점 이상에서 놀고 있으니 포지션을 변경해도 참여가 어렵다.[33] 그런데 정작 LOL 마스터즈에서 미남팀을 뽑았을 때에는 뜬금없이 나그네에 밀려 출전하지 못했다.[34] 2021 써머 SNL에서 하도 많이 들어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말했다.[35] 다만 입대까지는 한참 시간이 남은 것으로 보여 중간에 포기하고 자르지 않겠냐는 의견이 주류. 실제로 본인이 인터뷰에서 군 입대까지 시간이 한참 남았다고 밝히기도 했다.[36] 안경을 쓴 외모도 상당히 준수하지만, 안경 자체의 도수가 꽤 되는지 안경을 벗으면 더 잘생겨진다. 본인이 시력을 마이너스라고 했기 때문에 도수가 높은 건 사실이나, 안경을 벗고 렌즈를 낄 때도 종종 있다. 근데 렌즈 관리를 대충 하는 모양.[37] 합방 직전에 플라이의 유튜브 영상과 나무위키 문서를 보며 2021 시즌 사진을 보고 웬 랄로가 있냐는 반응을 보였는데, 실물을 보고 반응이 180도 달라졌다. 안경을 벗고 나름 꾸미고 나왔기 때문에 외모 면에서 최전성기인 16년도 모습이 보였다.[38] 지금은 더 이상 채팅을 치지 않지만 이는 챌린저 큐가 너무 삭막해져서 채팅을 칠 수가 없을 뿐이라고 말했고, 실제로 부계정 등반을 할 때는 예전처럼 채팅을 치는 모습을 보였다.[39] 그러나, 타종목에선 오버워치 리그는 Sado의 사례로 보듯 랄로와 같이 대리전력이 있는 선수들에 대한 비토가 강하여 개인방송에서 이건호 선수가 트위치 호스팅으로 방송이 꺼진 줄 알고 디스코드로 뒷담화를 했다가 대리전적이 발각되기도 했다.[40] 아프리카는 스트리밍사이트가 구단주임에도 불구하고 선수 개인방송을 보는 게 상대적으로 힘든 편이다.[41] 방송 시청자수가 상당히 적은 편이다.[42] 사실 방송인 중에서도 방송을 하는 플랫폼과 즐겨 보는 플랫폼이 다른 케이스가 심심치 않게 있다.[43] 근 4년을 아예 게임을 잡지도 않았다는 걸 생각하면 거의 녹슬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44] 자낳대에 현직 챌린저가 대회에 참여한 경우는 없었다. 전 프로게이머 등 전직 챌린저들은 앰비션을 제외하면 전부 본인 포지션이 아닌 다른 포지션으로 참여했고, 자낳대 참여 이후에 챌린저를 찍은 경우도 있었지만 이 쪽은 자낳대 참여 때와 챌린저를 찍었을 때의 주 포지션이 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