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9 16:46:09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colbgcolor=#006494><colcolor=#FFF> 하계 올림픽 <colbgcolor=#448CCB><colcolor=#ffffff> 개인 가라데 · 근대 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 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단체 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동계 올림픽 개인 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 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 스케이팅
단체 아이스하키 (·여) · 컬링 (남·여·믹스더블)
* 대회명에 세계선수권대회(World Championship)가 있는 경우만 기재함
파일:IAAF 로고(2009-2019).svg 파일:월드 애슬레틱스 로고.svg
IAAF 로고 (2009년 ~ 2019년) 월드 애슬레틱스 로고 (2019년 ~ )

1. 개요2. 세계 육상 월드컵3. 역대 대회 개최지4. 메달 집계5. 멀티 메달리스트6. 한국의 수상자

[clearfix]

1. 개요

세계육상연맹에서 주관하는 육상 종목 국제 대회이며 주기적으로 2년마다, 시기는 8월에 주로 열리고 있다.

2019년 10월, 국제육상경기연맹이 IAAF에서 월드 애슬레틱스로 개명함에 따라 해당 연맹에서 주관하는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의 공식 명칭이 IAFF World Championships에서 World Athletics Championships로 개칭되었다. 기사

실내에서 경기를 치르는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World Athletics Indoor Championships)가 따로 있으며, 그냥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라고 하면 실외 경기를 일컫는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의 경우 공식 기록으로 국가별 성적을 집계한다. 선수의 성적에 따라 국가는 금메달부터 8위까지 8 ~ 1 포인트를 각각 받게 되며, 이 포인트를 합산한 것이 국가별 순위가 된다. 즉 올림픽 등에서 집계하는 방식의 메달 집계는 어디까지나 비공식 순위에 불과하며, 이 포인트로 계산한 순위가 참가국들의 공식 순위가 된다.[1]

2. 세계 육상 월드컵

이 대회에서 파생되어 2018년부터 새롭게 세계 육상 월드컵이 시작되었다. 전해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상위 8위를 기록한 국가대표팀들이 월드컵에서는 국가대항전 형식으로 진행하게 된다. 대회도 전년 세계 선수권 대회 개최지에서 진행한다.

3. 역대 대회 개최지

파일:월드 애슬레틱스 로고.svg 역대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202020,#DFDFDF>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1983
헬싱키
1987
로마
1991
도쿄
1993
슈투트가르트
1995
예테보리
<rowcolor=#202020,#DFDFDF>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1997
아테네
1999
세비야
2001
에드먼턴
2003
파리
2005
헬싱키
<rowcolor=#202020,#DFDFDF>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2007
오사카
2009
베를린
2011
대구
2013
모스크바
2015
베이징
<rowcolor=#202020,#DFDFDF>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17
런던
2019
도하
2022
오리건
2023
부다페스트
2025
도쿄
<rowcolor=#202020,#DFDFDF>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2027
베이징
2029
미정
2031
미정
2033
미정
2035
미정
}}}}}}}}} ||
<rowcolor=#ffffff> 회기 연도 개최국 개최지 주경기장
1 1983 핀란드 헬싱키 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
2 1987 이탈리아 로마 스타디오 올림피코
3 1991 일본 도쿄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4 1993 독일 슈투트가르트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
5 1995 스웨덴 예테보리 울레비
6 1997 그리스 아테네 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
7 1999 스페인 세비야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데 세비야
8 2001 캐나다 에드먼턴 커먼웰스 스타디움
9 2003 프랑스 파리 스타드 드 프랑스
10 2005 핀란드 헬싱키 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2]
11 2007 일본 오사카 나가이 육상경기장
12 2009 독일 베를린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
13 2011 대한민국 대구 대구스타디움
14 2013 러시아 모스크바 루즈니키 스타디움
15 2015 중국 베이징 베이징국가체육장
16 2017 영국 런던 런던 스타디움
17 2019 카타르 도하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18 2021
2022[3]
미국 오리건 헤이워드 필드
19 2023 헝가리 부다페스트 내셔널 육상 센터
20 2025 일본 도쿄 도쿄 국립경기장
21 2027 중국 베이징 베이징국가체육장

4. 메달 집계

<rowcolor=#ffffff> 메달 순위
2023년 부다페스트 대회 종료기준
순위 나라 <colbgcolor=#ffd700> <colbgcolor=#c0c0c0> <colbgcolor=#cd7f32>
1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43 195 134 114
2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171 65 58 48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4] 142 42 52 48
4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149 40 61 48
5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23 39 36 48
6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104 35 38 31
7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121 33 40 48
8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78 23 27 28
9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75 22 26 27
10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63 22 25 16
11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56 21 19 16
12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65 20 20 25
1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45 15 16 14
14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28 15 5 8
15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56 14 19 23
1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51 13 18 20
17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43 12 15 16
18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33 12 12 9
19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27 12 7 8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27 12 7 8
21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24 12 6 6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46 11 19 16
23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46 11 18 17
24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33 10 11 12
25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26 9 9 8
2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5 8 9 18
27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14 8 3 3
28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8 7 9 12
29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23 7 8 8
3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23 7 7 9
31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13 7 2 4
32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25 6 7 12
33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11 6 2 3
3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8 6 1 1
35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25 5 8 12
36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16 5 3 8
37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1 5 2 4
38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11 4 4 3
39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10 4 4 2
4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9 4 3 2
4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7 4 2 1
4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6 4 2 0
43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9 4 0 5
44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5 4 0 1
- 파일:국기.svg 중립 선수단[5] 12 3 8 1
45 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12 3 6 3
46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15 3 5 7
47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14 3 4 7
48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9 3 3 3
49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6 3 2 1
50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6 3 1 2
51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5 3 1 1
52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4 3 0 1
53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16 2 6 8
54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10 2 6 2
55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11 2 2 7
56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7 2 2 3
57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3 2 1 0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3 2 1 0
59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11 1 5 5
60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6 1 4 1
61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9 1 3 5
6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4 1 3 0
63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4 1 2 1
64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3 1 2 0
65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3 1 1 1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3 1 1 1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3 1 1 1
68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2 1 1 0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2 1 1 0
70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5 1 0 4
71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4 1 0 3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4 1 0 3
73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3 1 0 2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3 1 0 2
75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2 1 0 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2 1 0 1
7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 1 0 0
78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15 0 7 8
79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5 0 4 1
8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5 0 3 2
81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4 0 3 1
82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3 0 2 1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3 0 2 1
84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2 0 2 0
85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4 0 1 3
86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2 0 1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 0 1 1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2 0 1 1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 0 1 1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2 0 1 1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2 0 1 1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2 0 1 1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사이프러스 2 0 1 1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2 0 1 1
95 파일:버뮤다 기.svg 버뮤다 1 0 1 0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1 0 1 0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1 0 1 0
파일:영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1 0 1 0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1 0 1 0
100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1 0 0 1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1 0 0 1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1 0 0 1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1 0 0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 0 0 1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1 0 0 1
파일:케이맨 제도 기.svg 케이맨 제도 1 0 0 1

5. 멀티 메달리스트

<rowcolor=#ffffff> 순위 선수 성별 생년 기간[6] 종목[7] <colbgcolor=gold> <colbgcolor=silver> <colbgcolor=#D2691E>
1 파일:미국 국기.svg 앨리슨 펠릭스 1985 2005 ~ 2022 [8] 20 14 3 3
2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우사인 볼트 1986 2007 ~ 2017 [9] 14 11 2 1
3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셸리앤 프레이저프라이스 1986 2009 ~ 2022 [10] 14 10 4 0
4 파일:미국 국기.svg 라숀 메릿 1986 2005 ~ 2015 [11] 11 8 3 0
5 파일:미국 국기.svg 칼 루이스 1961 1983 ~ 1993 [12] 10 8 1 1
6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존슨 1967 1991 ~ 1999 [13] 8 8 0 0
7 파일:영국 국기.svg 모 패라 1983 2011 ~ 2017 [14] 8 6 2 0
8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세르게이 부브카[15] 1963 1983 ~ 1997 [16] 6 6 0 0
9 파일:미국 국기.svg 게일 디버스 1966 1993 ~ 2001 [17] 8 5 3 0
10 파일:미국 국기.svg 사냐 리차즈로스 1985 2003 ~ 2015 [18] 7 5 2 0
11 파일:미국 국기.svg 제레미 워리너 1984 2005 ~ 2009 [19] 6 5 1 0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카 비어드 1989 2009 ~ 2019 [20] 6 5 1 0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티루네시 디바바 1985 2003 ~ 2017 [21] 6 5 1 0
파일:미국 국기.svg 나타샤 헤이스팅스 1986 2007 ~ 2017 [22] 6 5 1 0
15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케네니사 베켈레 1982 2003 ~ 2009 [23] 6 5 0 1
파일:독일 국기.svg 라르스 리델 1967 1991 ~ 2001 [24] 6 5 0 1
17 파일:미국 국기.svg 저스틴 게이틀린 1982 2005 ~ 2019 [25] 10 4 6 0
18 파일:미국 국기.svg 절 마일스 클라크 1966 1993 ~ 2003 [26] 10 4 3 2
19 파일:케냐 국기.svg 에제키엘 켐보이 1982 2003 ~ 2015 [27] 7 4 3 0
20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하일레 게브르셀라시에 1973 1993 ~ 2003 [28] 7 4 2 1
21 파일:모로코 국기.svg 히샴 엘 게루즈 1974 1995 ~ 2003 [29] 6 4 2 0

6. 한국의 수상자

2011 대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남자 20km 경보에서 김현섭이 동메달을 처음으로 받았으며[30], 이후 2022 오리건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남자 높이뛰기에서 우상혁 선수가 2.35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하여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게 되었다.


[1] 올림픽에서의 메달 집계도 어디까지나 비공식임에 유의할 것. 올림픽 같은 경우는 공식적으로는 국가 간 순위를 매기지 않는다. 다만 메달 집계를 일반적으로 순위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편의상 공식 홈페이지 등을 통해 알려줄 뿐이다.[2] 최초로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를 두 번 치른 경기장이다.[3]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2020 도쿄 올림픽이 2021년으로 1년 연기되면서 이 대회도 1년 연기되어 사상 최초로 짝수 해에 열리는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가 되었다.[4] 2017년과 2019년에 도핑으로 인한 출전정지를 받아 선수들이 IAAF의 허가를 받아 개인 자격으로 출전함.[5] 러시아 출전 정지로 인해 IAAF의 허가를 받아 2017년과 2019년 대회에 출전한 러시아 선수들.
정식 명칭은 Authorised Neutral Athletes. 번역하면 출전이 허가된 중립 선수단.
[6] 메달을 획득한 대회 기준[7] 메달 획득 종목[8] 100m, 200m, 400m, 4x100m, 4x400m, 혼성 4x400m[9] 100m, 200m, 4x100m[10] 100m, 200m, 4x100m[11] 400m, 4x400m[12] 100m, 200m, 4x100m, 멀리뛰기[13] 200m, 4x100m, 멀리뛰기[14] 5000m, 10000m[15] 소련 출생. 소련 대표로도 출전한 적 있음.[16] 장대높이뛰기[17] 100m, 100m 허들, 4x100m[18] 400m, 4x400m[19] 400m, 4x400m[20] 4x400m, 혼성 4x400m[21] 5000m, 10000m[22] 4x400m[23] 5000m, 10000m[24] 원반던지기[25] 100m, 200m, 4x100m[26] 400m, 4x400m[27] 3000m 장애물 경주[28] 5000m, 10000m[29] 1500m, 5000m[30] 당시 김현섭은 6위(1시간 21분 17초)로 결승선에 들어왔으나, 훗날 러시아 출신의 선수 4명이 대거 도핑으로 적발되어 3위로 올라서며 2019년 도하 대회에서 뒤늦게 동메달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