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09:44:31

서방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의 자연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등산 | 금당산 · 매곡산 · 백석산 · 분적산 · 삼각산 · 양림산 · 어등산 · 용진산 · 운암산 · 제석산 · 짚봉산 · 태봉산
고개 너릿재 · 잣고개
하천 영산강 | 양산천 · 풍영정천(진곡천 · 장수천) · 광주천(내지천 · 용산천 · 소태천 · 증심사천(동산천) · 동계천 · 서방천(두암천 · 용봉천(월산천 · 오치천) · 경양지천) · 운암천 · 극락천(광복천)) · 마륵천 · 서창천(세하천) · 황룡강(평림천 · 선암천 · 운수천 · 소촌천) · 대촌천(송암천 · 수춘천)
호수 경양방죽 · 광주호 · 노대저수지 · 쌍암저수지 · 양산제 · 용지 · 운천저수지 · 전평제 · 진월저수지 · 풍암저수지 · 하남저수지
기타 광주분지 · 나주평야
취소선은 사라진 곳 또는 대부분 복개된 하천, 기울임체는 상당 부분 복개된 하천을 의미한다. }}}}}}}}}

지방하천
서방천
瑞坊川 | Seobangcheon(stream)
<colbgcolor=#1d3a5a> 발원지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대치골
합류부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 광주천
길이 1.2㎞(하천연장), 10.9㎞(유로연장)[디지털광주문화대전1]
복개연도 1987년
1. 개요2. 상세
2.1. 경로2.2. 시설물
3. 지류
3.1. 두암천3.2. 용봉천3.3. 경양지천
4. 명칭 관련

1. 개요

서방천은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노고지리산 서쪽 대치골에서 발원하여 임동에서 광주천과 합류하는 복개천이다. 이름은 과거 지명인 서방면에서 유래했다. 신안교 아래쪽 복개되지 않은 1.2㎞구간은 2012년에 지방하천으로 지정되었다.[디지털광주문화대전1]

2. 상세

2.1. 경로

파일:서방천_1970+.png
1970년대 서방천 유로

2.2. 시설물

상류에서 하류 순서. 지류에 있는 경우 들여쓰기했다. 사라진 시설물은 취소선으로 표시했다.
* 송정교[송정]: 1973년 동광주IC가 평면교차로로 개통될 때 교량으로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989년 호남고속도로 확장으로 입체교차로가 될 때 암거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2009년 동광주IC의 구조 변경 후 도로는 지나가지 않고 암거만 남아 있다.* 각화제: 1954년 농업용 저수지로 준공되었다. 1990년대부터 각화동이 개발되면서 기능을 상실해 2007년에 용도폐지되었다. 공원화되어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각화제에서 내려오는 지천은 문화육교 남단에서 서방천에 합류하는데, 이 지점은 2020년 여름 침수 피해가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파일:전남대_1982.jpg 파일:서방천_1989(1).jpg
[왼쪽] 1982년 전남대 용봉캠퍼스 전경. 사진 아래쪽이 서방천, 좌하단이 용봉교와 전남대 정문이다. 좌상단에는 용봉천이 보인다. [오른쪽] 1989년 문흥동 일대. 1990년대에 택지를 조성하기 전이다. 사진 위가 서쪽이며, 가운데는 문화육교, 오른쪽이 동광주IC, 그 위쪽은 송정저수지, 저수지 아래 왼쪽이 송정마을, 오른쪽이 문산마을이다.
파일:서방천_1989(2).jpg 파일:용봉천_1988.jpg
[왼쪽] 1989년 신안동 일대. 사진 위가 서쪽이다. 가운데가 신안교이며 오른쪽에서 용봉천이 합류한다. [오른쪽] 1988년 전남대학교 정문 서쪽 복개공사 모습.[8]

3. 지류

3.1. 두암천

두암천
斗巖川 | Duamcheon(stream)
<colbgcolor=#1d3a5a> 발원지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 밤실골
합류부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 서방천
길이 3.78㎞(유로연장)[디지털광주문화대전2]
복개연도 1990년대
두암동 밤실골에서 발원해 북구청 앞에서 서방천에 합류한다. 밤실골은 밤나무가 많아서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2순환도로 동쪽, '무진성길'이라는 이름이 붙은 도로가 있는 골짜기이다.
파일:두암천_1970.png
1970년대 두암천 유로

3.2. 용봉천

일곡동에서 발원해 설죽로와 용봉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서방천에 합류한다. 지천으로 월산천과 오치천이 있다.

3.3. 경양지천

파일:경양지천_1910+.png
{{{#!wiki 1910년대 유로 추정.
1950년대, 경양지천·경양방죽·동계천만 표시한 것.
태봉산.
}}}||
광주교대-두암지구교차로 일대에서 발원하여 경양방죽을 지나 중흥동, 신안동의 경작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한 뒤 서방천에 합류했던 하천이다. 지도에서 경양방죽 제방 북쪽에서 나오는 것이 경양지천이다.[11] 1950년대에 경양방죽에서 서방천을 직선으로 잇는 수로가 건설되었으며, 1980년대에 복개되었다. 독립로367번길-광주역 앞-자미로6번길-자산로를 지나 신운교와 광주선 철교 사이에서 서방천에 합류한다.

4. 명칭 관련



[디지털광주문화대전1] 서방천[디지털광주문화대전1] [도로명] 도로명주소 지도 도로명 부여 사유 참조.[도로명] [송정] 지금의 문흥동 근린상업지역에 있었던 '송정마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광산구 송정과는 관련이 없다.[송정] [송정] [8] 사진 왼쪽 3층 건물은 '동진주택'이고 그 오른쪽 5층 건물은 '화정맨션'인데, 2024년 현재도 그대로 있다.[9] 왼쪽 건물들은 용봉동 693-6, 693-16번지이다. 2021년 새 건물이 들어섰다. 오른쪽은 692-12번지인데 2024년 현재도 그대로 있다.[디지털광주문화대전2] 두암천[11] 제방 남쪽은 동계천이다. 동계천은 본래 서방천으로 합류했으나 1930년대 공사 후 광주천에 합류하는 하수도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편, 19세기 광주 지방지도를 보면 경양방죽에서 물줄기 2개가 흘러나와 태봉산 근처에서 합쳐지는데, 경양지천과 동계천이 경양방죽 제방의 북쪽·남쪽에서 흘러나와 하류에서 만나는 것을 표현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