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산 | 무등산 | 금당산 · 매곡산 · 백석산 · 분적산 · 삼각산 · 양림산 · 어등산 · 용진산 · 운암산 · 제석산 · 짚봉산 · |
고개 | 너릿재 · 잣고개 | |
하천 | 영산강 | 양산천 · 풍영정천(진곡천 · 장수천) · 광주천(내지천 · | |
호수 | ||
기타 | 광주분지 · 나주평야 | |
※ | }}}}}}}}} |
지방하천 서방천 瑞坊川 | Seobangcheon(stream) | |
<colbgcolor=#1d3a5a> 발원지 |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대치골 |
합류부 | 광주광역시 북구 임동, 광주천 |
길이 | 1.2㎞(하천연장), 10.9㎞(유로연장)[디지털광주문화대전1] |
복개연도 | 1987년 |
1. 개요
서방천은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노고지리산 서쪽 대치골에서 발원하여 임동에서 광주천과 합류하는 복개천이다. 이름은 과거 지명인 서방면에서 유래했다. 신안교 아래쪽 복개되지 않은 1.2㎞구간은 2012년에 지방하천으로 지정되었다.[디지털광주문화대전1]2. 상세
2.1. 경로
|
1970년대 서방천 유로 |
- 상류 부분인 대치골에서 동광주IC까지 비복개 구간이 있다. 도선사 인근, 더샵 광주 포레스트 뒤편, 동광주IC 진입·진출로 등에서 서방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우산동 현대아파트에서 북구청사거리까지는 '전대 후문 복개도로'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리는 호동로 밑에 복개되어 있다.
- 북구청사거리를 지난 다음에는 용봉로, 설죽로를 따라간다. 용봉로는 서방천을 복개한 도로이지만, 용봉동에서 유래한 용봉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도로명] 용봉로 밑으로 용봉천이 흐르는 것이 아니다(관용적 명칭은 4문단 참조). 한편 구지명 서방면에서 이름을 딴 서방로는 두암천을 복개한 도로이다.[도로명]
- 전남대 정문에서 신안교 사이 구간을 유심히 살펴보면 커다랗고 네모난 배수구가 3개씩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밑에 복개 박스가 있다는 의미이며, 배수구 간격으로 박스의 크기도 짐작할 수 있다.
- 신안교까지 흘러온 서방천 물은 신안교 밑에 있는 차집시설에 모였다가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진다.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된 물은 다시 펌프를 통해 신안교 밑으로 보내져 광주천에 합류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평상시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장마철 혹은 태풍에 의해 서방천과 용봉천의 수위가 급격히 늘어나면 물이 역류하여 신안교 주변 일대가 침수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어 왔다.
2.2. 시설물
상류에서 하류 순서. 지류에 있는 경우 들여쓰기했다. 사라진 시설물은 취소선으로 표시했다. |
각화제에서 내려오는 지천은 문화육교 남단에서 서방천에 합류하는데, 이 지점은 2020년 여름 침수 피해가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 |
[왼쪽] 1982년 전남대 용봉캠퍼스 전경. 사진 아래쪽이 서방천, 좌하단이 용봉교와 전남대 정문이다. 좌상단에는 용봉천이 보인다. [오른쪽] 1989년 문흥동 일대. 1990년대에 택지를 조성하기 전이다. 사진 위가 서쪽이며, 가운데는 문화육교, 오른쪽이 동광주IC, 그 위쪽은 송정저수지, 저수지 아래 왼쪽이 송정마을, 오른쪽이 문산마을이다. |
- 문화교(호남고속도로): 1973년 건설된 호남고속도로 천안방향 교량이다. 문화육교 바로 밑에 문화교가 있다.
- 문화육교(서하로): 또는 문흥고가. 문흥동과 각화동을 잇는 고가도로이다.
당산교: 천지인로와 서하로가 교차하는 지점, 문화육교 밑 교통섬 위치.- 송정교(호남고속도로)[송정]: 1973년 건설된 호남고속도로 천안방향 교량이다. 문흥동 라인3차아파트와 우산동 현대아파트 사이에 있다.
중앙2교: 현 북구청사거리에 있었다.- 두암천 합류 지점(북구보건소와 북구청어린이집 사이)
용봉교: 전남대 정문 앞에 있었다. 1980년의 모습은 02-06, 02-07번 사진 참조. 1982년의 모습은 2.1문단 1번째 사진 참조.
| |
[왼쪽] 1989년 신안동 일대. 사진 위가 서쪽이다. 가운데가 신안교이며 오른쪽에서 용봉천이 합류한다. [오른쪽] 1988년 전남대학교 정문 서쪽 복개공사 모습.[8] |
신용교: 전대 농대 입구 근처, 용봉휴먼시아아파트 후문 앞에 있었다. 가설 당시의 모습.[9]- 용봉천 합류 지점
- 신안교(서암대로)
- 보도교
- 광주선 철교
- 경양지천 합류 지점
- 신운교(무등로): 신운교와 유운교 사이 120m, 유운교 아래쪽 100m의 구간이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복개되었던 적이 있다. 당시 무등경기장의 주차장으로 이용되었다.
- 유운교(서림로)
- 광운교(천변우로)
광주천에 합류
3. 지류
3.1. 두암천
두암천 斗巖川 | Duamcheon(stream) | |
<colbgcolor=#1d3a5a> 발원지 |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 밤실골 |
합류부 |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동, 서방천 |
길이 | 3.78㎞(유로연장)[디지털광주문화대전2] |
복개연도 | 1990년대 |
두암제: 신광중학교 남쪽에 있었다.
|
1970년대 두암천 유로 |
3.2. 용봉천
일곡동에서 발원해 설죽로와 용봉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서방천에 합류한다. 지천으로 월산천과 오치천이 있다.3.3. 경양지천
| |
{{{#!wiki | ■ 1910년대 유로 추정. ■ 1950년대, 경양지천·경양방죽·동계천만 표시한 것. ■ 태봉산. |
광주교대-두암지구교차로 일대에서 발원하여 경양방죽을 지나 중흥동, 신안동의 경작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한 뒤 서방천에 합류했던 하천이다. 지도에서 경양방죽 제방 북쪽에서 나오는 것이 경양지천이다.[11] 1950년대에 경양방죽에서 서방천을 직선으로 잇는 수로가 건설되었으며, 1980년대에 복개되었다. 독립로367번길-광주역 앞-자미로6번길-자산로를 지나 신운교와 광주선 철교 사이에서 서방천에 합류한다.
4. 명칭 관련
- 서방천, 용봉천
- 공식적 명칭(이 문단에서 굵게 표시한 단어는 이 정의를 따른다): 디지털광주문화대전에 따르면 서방천은 문흥동에서 발원해 광주천에 합류하는 하천, 용봉천은 일곡동에서 발원해 서방천에 합류하는 하천이다. 광주광역시 배수구역 명칭도 그러하다. 또한 하천법에 따라 신안교 교차로에서 광주천에 합류하는 구간이 지방하천 서방천으로 지정되어 있다.
- 관용적 명칭: 1980년대 건설부 하천 일람을 보면 서방천과 용봉천의 정의는 위 항목과 같다. 그렇지만 1970·1980년대에 관용적으로 서방천을 용봉천으로 부르기도 했다. 1977·1984·1987·1991년 국립지리원(현 국토지리정보원) 1:5000 지형도에는 북구청에서 광주천 합류지점까지의 구간이 용봉천으로 표기되어 있다. 1980년대 서류나 신문기사에서도 그렇게 적은 경우가 있다. 광주시청각자료실에는 서방천 사진이 용봉천으로 표기돼있다. 아마도 용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삼각천: 용봉천의 다른 이름으로, 삼각산에서 유래했다. 1975년 국립지리원 1:25000 지형도에는 용봉천이 삼각천으로 표기되어 있다.
- 수순보천(?): 1977·1984·1991년 1:5000 지형도에는 용봉천이 수순보천이라는 뜬금없는 명칭으로 표기되어 있다. 2000년 대한주택공사의 "광주 용봉지구 지반조사보고서"에서도 '용봉지구 동쪽의 복개된 하천'을 수순보천이라고 칭한다. 이 일대에 수순보라는 지명은 찾아볼 수 없는데, 유래가 불명이다.
- 신안천: 신안동 일대, 용봉지구에서 광주천에 이르는 구간을 신안천이라고도 부른 듯하다.###
[디지털광주문화대전1] 서방천[디지털광주문화대전1] [도로명] 도로명주소 지도 도로명 부여 사유 참조.[도로명] [송정] 지금의 문흥동 근린상업지역에 있었던 '송정마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광산구 송정과는 관련이 없다.[송정] [송정] [8] 사진 왼쪽 3층 건물은 '동진주택'이고 그 오른쪽 5층 건물은 '화정맨션'인데, 2024년 현재도 그대로 있다.[9] 왼쪽 건물들은 용봉동 693-6, 693-16번지이다. 2021년 새 건물이 들어섰다. 오른쪽은 692-12번지인데 2024년 현재도 그대로 있다.[디지털광주문화대전2] 두암천[11] 제방 남쪽은 동계천이다. 동계천은 본래 서방천으로 합류했으나 1930년대 공사 후 광주천에 합류하는 하수도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편, 19세기 광주 지방지도를 보면 경양방죽에서 물줄기 2개가 흘러나와 태봉산 근처에서 합쳐지는데, 경양지천과 동계천이 경양방죽 제방의 북쪽·남쪽에서 흘러나와 하류에서 만나는 것을 표현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