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산 | 무등산 | 금당산 · 매곡산 · 백석산 · 분적산 · 삼각산 · 양림산 · 어등산 · 용진산 · 운암산 · 제석산 · 짚봉산 · |
고개 | 너릿재 · 잣고개 | |
하천 | 영산강 | 양산천 · 풍영정천(진곡천 · 장수천) · 광주천(내지천 · | |
호수 | ||
기타 | 광주분지 · 나주평야 | |
※ | }}}}}}}}} |
운암천 雲岩川 | |
<colbgcolor=#1d3a5a> 발원지 |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 매곡산 |
합류부 | 광주광역시 서구 동천동, 광주천 |
복개연도 | 1980년대 중반~2004년 |
1. 개요
운암천은 광주광역시 북구 매곡동 매곡산에서 발원하여 운암동, 서구 동천동을 지나 광주천에 합류하는 복개천이다.2. 역사
{{{#!wiki | ■ 1970년대 초 운암천 ■ 2024년 현재 복개 구간(추정) ■ 1980년대-2020년대 초 운암주공3단지 복개 구간(추정) |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초반 경지정리와 함께 철도 남쪽 구간이 직강화되었다. 운암동 개발(운암주공아파트 등)과 함께,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철도 북쪽 구간이 직강화되었고,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복개되었다. 2004년 동림2지구 개발로 그 구간이 복개되었다. 2020년대 초반 운암주공3단지 재건축으로 복개 경로가 일부 변경됐다(지도 참조).
운암저수지 아래쪽으로 하서로49번길-황계로-동운로-대자로-하남대로734번길-천변우하로를 지난다. 대자로와 광주선 철도가 만나는 지점에 운암천을 건넜던 철교의 흔적이 있다.
동림2지구 건설당시 복개중인 운암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