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8 00:56:13

진곡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의 자연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무등산 | 금당산 · 매곡산 · 백석산 · 분적산 · 삼각산 · 양림산 · 어등산 · 용진산 · 운암산 · 제석산 · 짚봉산 · 태봉산
고개 너릿재 · 잣고개
하천 영산강 | 양산천 · 풍영정천(진곡천 · 장수천) · 광주천(내지천 · 용산천 · 소태천 · 증심사천(동산천) · 동계천 · 서방천(두암천 · 용봉천(월산천 · 오치천) · 경양지천) · 운암천 · 극락천(광복천)) · 마륵천 · 서창천(세하천) · 황룡강(평림천 · 선암천 · 운수천 · 소촌천) · 대촌천(송암천 · 수춘천)
호수 경양방죽 · 광주호 · 노대저수지 · 쌍암저수지 · 양산제 · 용지 · 운천저수지 · 전평제 · 진월저수지 · 풍암저수지 · 하남저수지
기타 광주분지 · 나주평야
취소선은 사라진 곳 또는 대부분 복개된 하천, 기울임체는 상당 부분 복개된 하천을 의미한다. }}}}}}}}}

진곡천
眞谷川
발원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 용사골
합류부 광주광역시 광산구 오선동, 풍영정천
1. 개요2. 시설물

1. 개요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 용사골(신촌마을과 검정마을 사이)에서 발원해 진곡동을 지나 오선동 하남3교 아래에서 풍영정천에 합류하는 하천이다. 하남산업단지 하남산단8번로 밑에 복개되어 있다. 진곡천의 동쪽 분수계가 광주와 장성의 경계이다.
파일:진곡천_2020.png
진곡천 유로. 손재로 복개 구간은 추정이다.

2. 시설물

상류에서 하류 순서. 지류에 있는 경우 들여쓰기했다. 사라진 시설물은 취소선으로 표시했다.
* 진곡제* 신룡2교(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 진성제* 진곡2교(하남진곡산단로)* 저수지: 하남진곡산단로와 손재로 사이에 있었던 저수지. 적어도 일제강점기 때부터 있었으며 1970년대에 경지정리와 함께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발산제* 하남산단8번로 복개 구간
풍영정천에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