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스스톤의 직업별 덱 |
[[죽음의 기사(하스스톤)/덱 일람| 죽음의 기사 덱 ]][[악마사냥꾼(하스스톤)/덱 일람| 악마사냥꾼 덱 ]][[드루이드(하스스톤)/덱 일람| 드루이드 덱 ]][[사냥꾼(하스스톤)/덱 일람| 사냥꾼 덱 ]][[마법사(하스스톤)/덱 일람| 마법사 덱 ]][[성기사(하스스톤)/덱 일람| 성기사 덱 ]][[도적(하스스톤)/덱 일람| 도적 덱 ]][[주술사(하스스톤)/덱 일람| 주술사 덱 ]][[흑마법사(하스스톤)/덱 일람| 흑마법사 덱 ]][[전사(하스스톤)/덱 일람| 전사 덱 ]] |
1. 개요
사냥꾼의 어그로 아키타입이다. 1마나로 1 이상의 피해를 입힐 수 있다면 1+2+3+4+5+6+7=28 이므로 7턴 언저리에 게임이 끝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필드 장악에 주력하는 일반적인 어그로 덱과 달리 딜 누적에 중점을 둔다.많은 사람들이 굉장히 쉽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난이도가 높은 덱으로 1턴부터 매턴 딜 누적을 해야 할지 하수인을 정리해 역킬각을 방지해야 할지 생각해야 한다. 거기다 적은 손패로 게임을 풀어나가야 하기 때문에 프로들은 매번 돌진 사냥꾼을 난이도 높은 덱으로 꼽는다.
2. 이름에 대해
해당 덱이 성립된 당시 국내에서는 돌진 카드의 비중이 높으니 돌진 사냥꾼, 해외에서는 초상화만 친다고 해서 명치 사냥꾼(Face Hunter)[1]라고 불렀다. 그러나 정규전 도입 이후 돌진 카드들이 줄줄이 하향되면서 이름과 달리 돌진 하수인이 한두 장만 들어가는 상황이 되자 해외 명칭대로 명치 사냥꾼이라고 부르는 유저가 점차 늘었고, 현재는 돌진 사냥꾼과 명치 사냥꾼이 공존하고 있다. 단 줄여부를 때는 명치 사냥꾼도 돌냥이라고 한다.한편 낙스라마스의 저주, 코볼트와 지하 미궁 때는 어그로 사냥꾼으로 부르기도 했다. 이후로는 쓰이지 않는 표현이다.
3. 역사
- 베타: 냉기 마법사의 빙결기들이 하향되고[2], 도발 하수인의 인기가 줄어들고, 주문 도적이 등급전을 지배하기 시작하자 그의 반작용으로 정립되었다. 여기에 개들을 풀어라가 2마나로 상향되면서 1티어까지 넘보게 되었다.
- 오리지널: 2014년 5월 개들을 풀어라가 3마나로 하향되면서 1티어에서 3티어로 굴러떨어졌다. 그러나 비셔스, 템포스톰같은 권위 있는 통계 사이트가 없던 시절이라 하향된 이후에도 상위 티어로 매기는 경우가 많았다.
- 낙스라마스의 저주: 어그로 사냥꾼이라는 이름으로 장의사를 사용하는 돌진 사냥꾼이 종종 시도되었으나 미드레인지 사냥꾼이 훨씬 나아서 도태되었다.
- 고블린 대 노움: 역시 미드레인지 사냥꾼에 밀려 보이지 않다가 장의사 하향 이후 Xixo를 필두로 늑대인간 침투요원+수리검포를 사용하는 돌진 사냥꾼이 정립되어 메타에 등장했다.
- 검은바위 산: 속사(현재 신속 사격)가 추가되었다. 하지만 미드레인지 사냥꾼과 하이브리드 사냥꾼에 밀렸다.
- 대 마상시합: 늑대기수 대신 은빛십자군 기수(3코, 2/1 천보 돌진)를 쓰게 되었다. 전쟁노래 사령관 하향 이후로는 성기사, 악마 흑마법사가 늘어서 반사이익을 얻었다.
- 탐험가 연맹: 리노 잭슨을 사용하는 리노 덱이 메타에 정착하면서 타격을 입었다. 또한 덱 파워가 더 센 어그로 주술사가 정립되면서 점유율을 상당수 빼앗겼다. 여기에 더해 정규전 직전 밸런스 패치에서 단검 곡예사, 비전 골렘, 오염된 노움, 무쇠부리 올빼미 등 주력 카드들이 죄다 하향되었다.
- 고대 신의 속삭임:
- 정규전: 이글거리는 박쥐를 제외하면 제대로 된 지원을 못 받은데다 과학자와 수리검포가 야생으로 떠났기 때문에 완전히 몰락했다.
- 야생전: 역시 하향된 카드들의 공백 때문에 부진했다.
- 한여름 밤의 카라잔:
- 정규전: 덫과 비밀지기, 여사냥꾼을 넣는 비밀 돌진 냥꾼이 연구되었으나 미드레인지 사냥꾼에 비해 비주류 신세였다. 그러다가 밸런스 패치로 야생의 부름이 하향되어 미드레인지 사냥꾼이 몰락하면서 대부분의 사냥꾼이 이 비밀 돌진 사냥꾼으로 회귀했다.
- 야생전: 역시 야생의 부름 하향 이후 비밀 돌진 사냥꾼이 연구되었으나 정규전만큼 크게 성공하지는 못했다.
- 비열한 거리의 가젯잔:
- 정규전: 해적과의 시너지가 부족해 거의 보이지 않았다.
- 야생전: 수리검포에 착안해 해적 카드들을 넣고 어찌어찌 명맥을 이어갔다.
- 운고로를 향한 여정:
- 정규전: 속사가 야생으로 떠나면서 더욱 약화되었다. 극소수 유저들이 파지직거리는 무쇠턱 랩터를 기용한 비밀 돌진 사냥꾼을 연구했으나 대회 같은 특수한 상황이 아니면 보기 힘들었다.
- 야생전: 사냥꾼 직업 자체가 약세라서 보이지 않았다.
-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 정규전: 역시 부진했다.
- 야생전: 후기에 신규 카드인 곰상어와 비밀을 이용하는 비밀 돌진 사냥꾼이 연구되었다.
- 코볼트와 지하 미궁:
- 정규전: 얼왕기 때 사냥꾼의 주력 댁이었던 하이브리드 사냥꾼이 해적까지 기용하면서 돌진 사냥꾼으로 발전했다.[3] 사냥꾼 덱 중에서 유일하게 2티어를 차지하는 위엄을 뽐냈으나 밸런스 패치로 패치스와 징그러운 지하 벌레가 하향돠면서 사장되었다.
- 야생전: 역시 정규전처럼 해적 중심의 돌진 사냥꾼이 2티어를 차지했다. 정규전과 동일하게 밸런스 패치 이후 사장되었다.
- 용의 강림:
- 정규전: 무려 2년 만에 용학살포와 차원의 추적자가 추가되면서 1티어 덱으로 올라섰다. 갈라크론드 주술사나 죽음의 매아리 도적이 뭘 해보기도 전에 게임을 끝내버렸기 때문이다. 이후 패치로 갈라크론드 주술사와 죽메 도적이 모두 사장되고 갈라크론드의 부활 모험모드가 발매되면서 그 수가 크게 줄었다.
- 야생전: 사냥꾼 자체가 약세인데다 잡아먹을 갈라크론드 주술사와 죽음의 메아리 도적의 수가 정규전에 비해 많이 적어서 부진했다.
- 황폐한 아웃랜드:
- 정규전: 생존가의 재간, 사로잡힌 지옥마귀가 추가되었다. 생존가의 재간 하향 이전까지 1티어를 유지했으나 그 이후 용 사냥꾼에 밀려 그 수가 크게 줄었다.
- 야생전: 사냥꾼 자체가 약세라서 부진했다.
- 스칼로맨스 아카데미:
- 정규전: 깜직한 침략, 독서가, 노루토끼, 폴켈트가 추가되어 하이랜더 사냥꾼과 함께 1티어를 유지했다.
- 야생전: 사냥꾼 자체가 약세라서 부진했다.
- 광기의 다크문 축제:
- 정규전: 비밀 관련 카드들이 추가되면서 비밀 돌진 사냥꾼이 다시 연구되었으나 메타가 정립된 후에는 스칼로맨스 덱으로 화귀했다. 1차 밸런스 패치에서 현자 폴켈트와 열렬한 독서가 등이 하향된 후에는 단검 상인, 코볼트 강습병 등 즉발 피해 위주로 덱을 재구성해 2티어를 유지했으나 점유율은 매우 낮았다. 그리핀의 해 5일 전에는 하향되었던 카드들이 대거 롤백되면서 오염된 노움, 단검 독예사, 굶주린 대머리수리(안 넣는 덱도 존재)를 넣은 돌진 사냥꾼이 5일간 메타를 뒤흔들었다.
- 야생전: 사냥꾼 자체가 약세라서 부진했다. 대규모 롤백 이후 다시 연구되기도 했으나 묻혔다.
- 불모의 땅:
- 정규전: 전쟁노래 사육사, 관통 사격, 콜카르 야수조련사가 추가되었다. 메타 내내 무난하게 1~2티어를 유지했다.
- 야생전: 사냥꾼 자체가 약세라서 부진했다.
- 스톰윈드:
- 정규전: 조준 사격이 추가되어 1티어를 유지하다가 1차 밸런스 패치에서 콜카르 야수조련사가 하향되면서 기가 꺾였다. 승률은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지만 점유율은 정제를 거듭한 암흑 사제에 지속적으로 갉아 먹혀 크게 떨어졌다. 그러다가 일루시아가 하향되면서 빼앗겼던 점유율을 대부분 되찾는 데 성공했다. 죽음의 폐광에서는 멍멍이의 간식이 추가되어 비전 변형물까지 투입하는 주문 위주 덱으로 덱 구성이 크게 바뀌었다.
- 야생전: 파생 덱인 홀수 사냥꾼이 선전하고 있다. 크라켄의 해 미드레인지 사냥꾼 이후 무려 5년 만에 사냥꾼 덱으로서 1티어를 차지했다.[4]
4. 기타
[1] 직역하면 얼굴 사냥꾼이겠지만, 국내에서는 얼굴을 친다고 하지 않고 명치를 한다고 하므로 대부분 명치 사냥꾼으로 의역한다.[2] 눈보라, 얼음 회오리, 냉기 돌풍의 마나가 1씩 올라갔다.[3] 상술했듯이 돌진 하수인이 없눈 수준임에도 관성 때문에 계곡 돌진 사냥꾼으로 부르는 유저가 많았다. 단 비셔스에서는 어그로 사냥꾼, 하스리플레이에서는 명치 사냥꾼으로 구분해서 호칭했다[4] 그나마 선전했던 기계 사냥꾼, 거인 사냥꾼, 비밀 사냥꾼은 2티어 상위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