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wcolor=#FFF> ◐ | 바둑 관련 정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D5AE59,#AF8D3E><colcolor=#000,#FFF> 규칙 | 국가별 룰 · 초읽기 · 접바둑 · 덤 · 착수금지 | |
기초 원리 | 활로(단수) · 따냄 · 집 · 행마 | ||
기본 형태 | 축 · 패 · 자충 · 빅 · 장문 · 촉촉수 · 환격 · 후절수 · 귀곡사 · 공배 · 궁도 | ||
특수 형태 | 장생 · 삼패 · 진신두 | ||
대국 흐름 | 포석 · 정석 · 끝내기 · 계가 · 복기 · 기보 | ||
수읽기 | 먹여치기 · 사활 · 수상전 · 수나누기 · 교환 · 맞보기 | ||
도구 | 바둑판 · 바둑돌 · 인공지능 · 101weiqi | ||
사람 및 기관 | 바둑 기사 · 품계 · 기원 · 한국기원 · 대한바둑협회 · 일본기원 · 관서기원 · 중국기원 · 바둑 기전 | ||
프로젝트 | 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 | ||
기타 | 용어 · 격언 · 특징 · 화점 | }}}}}}}}} |
1. 개요
빅(한국어), 双活(중국어), [ruby(関, ruby=せき)](일본어), seki(영어)바둑에서 미생인 돌끼리 서로 잡을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 비김수의 줄임말로, 일종의 교착상태(deadlock; stalemate)라고 할 수 있다.
2. 기본 원리
위 형태에서 안쪽에 갇혀서 수상전을 벌이고 있는 흑과 백은 활로가 2개로 동일하다. 수가 동일하니 얼핏 보기에는 먼저 두는 쪽이 이길 것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 두어보면 먼저 둔 쪽이 단수에 몰리기 때문에 오히려 잡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흑과 백이 공유하는 활로 2개가 서로 자충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흑백 중 하나가 저 위치를 팻감으로 쓰지 않는 한 흑과 백 모두 대국이 끝날 때까지 저 돌들은 잡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흑과 백이 서로 잡을 수 없는 형태가 되는 것을 빅이라고 한다.
빅이 있는 상태에서 계가까지 가게 되면 빅에서 발생한 공배를 메우거나 돌을 들어내거나 하지도 않고 그대로 둔 채 계가를 한다. 빅에 발생한 공배는 착수금지 제한이 있는 건 아니라서 돌을 두는 것 자체는 가능하다. 그래서 전술했듯 스스로 빅의 돌을 자폭시키는 것으로 팻감을 쓰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자체로 엄청난 손해팻감이 되므로 정말 급박한 상황이 아니면 빅의 돌을 죽이는 팻감을 쓸 일은 없다.
2.1. 빅의 형태
빅은 다양한 형태로 나올 수 있다. 집이 없는 두 그룹의 빅(왼쪽 위), 집이 있는 두 그룹의 빅(오른쪽 아래) 등등 어떤 형태가 되었건 서로 잡을 수 없는 상태만 된다면 빅의 조건을 충족시킨다.
일반적인 빅의 형태는 크게 수상전 형태의 빅과 궁도와 관계된 빅으로 나눌 수 있다.
- 수상전 형태의 빅
최종적으로 서로 자충이 되어 잡을 수 없을 때의 빅이다.
이 유형은 흑백이 서로 뒷공배를 가지는지의 여부가 매우 중요해진다. 뒷공배를 가지면 빅이 성립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위 형태에서 흑백 모두 뒷공배 없이 막혀있으면 서로 단수를 칠 수 있는 자리가 자충이 되기 때문에 빅이 되지만, 한쪽에 뒷공배를 하나라도 추가하면 뒷공배가 있는 쪽이 단수를 칠 수 있어서 뒷공배를 막아야 빅이 성립한다.
- 궁도와 관계된 빅
안쪽이 먼저 두면 사는 궁도가 되고, 바깥쪽이 먼저 두면 죽는 궁도가 돼서 서로 잡을 수 없을 때의 빅이다. 사활 문제에서 많이 접하게 될 빅의 형태다.
위 형태에서 흑이 먼저 백 3점을 잡으려고 하면 백 3점을 잡아도 사는 궁도가 만들어지지 않는 반면, 백이 먼저 흑의 안쪽에 두면 곡사궁이 되어 사는 궁도가 만들어짐을 알 수 있다.
이 유형의 빅은 수상전 형태의 빅과 달리 뒷공배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궁도의 형태만 관계가 있을 뿐 단수/자충 여부와는 큰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예시 이미지만 봐도 뒷공배가 5개나 비어있음에도 빅이 성립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뒷공배가 없거나 더 많이 비어있어도 빅에는 영향이 전혀 없다.
단, 안쪽의 돌을 잡으면 무조건 사는 궁도가 만들어지는 형태라면 궁도와 관계된 빅이 되지 않는다. 흑이 백 4점을 잡으면 무조건 사는 궁도가 만들어지므로 뒷공배가 막혀있어야 빅이 성립되는 수상전 형태의 빅이 된다.
2.2. 빅이 되지 않는 형태
빅은 주변 여건이나 형태에 따라 성립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빅을 구분하는 방법은 해당 형태에서 백이나 흑이 추가로 두었을 때 돌의 생사를 확인해보고 백이 두어도 흑이 두어도 죽음이 확실하다면 빅이 성립되지 않으며, 한 쪽은 죽고 한 쪽은 사는 형태가 만들어진다면 빅이 될 수 있다.- 빅을 둘러싸고 있는 돌의 생사
빅을 구성하는 바깥의 돌이 살아있지 못하면 빅이 성립되지 않을 수 있다.
위 형태에서 ○로 표시된 돌은 당장 서로 잡을 수는 없다. 그런데 바깥을 보면 ▲로 표시된 흑돌이 두 집을 내지 못한 채 백돌에 완벽하게 포위되어 죽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약 백이 흑 ▲을 따내거나 한다면 아까는 서로 잡을 수 없는 ○돌들이 백이 일방적으로 잡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설령 백이 흑 ▲을 따내지 않더라도 계가를 할 때는 흑 ▲을 들어내야 하기 때문에 흑 ○도 자동으로 죽은 형태가 된다. 따라서 빅이 성립되지 않고 흑만 일방적으로 죽은 형태다.
- 무조건 죽는 궁도가 만들어지는 형태
궁도와 관계된 빅을 만드려 할 때, 바깥쪽이 둬도 죽는 궁도, 안쪽이 둬도 죽는 궁도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다.
위 형태를 보면 흑이 백 3점을 포위한 채 2개의 공간을 확보했으니 윗 문단에서 설명했던 '궁도와 관계된 빅'을 만든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흑이 먼저 두면 백의 치중으로 죽는 건 똑같지만, 백이 먼저 흑의 안쪽에 둬도 삿갓사궁이 만들어져서 치중으로 죽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백이 먼저 두어도 죽고 흑이 먼저 두어도 죽기 때문에 위 형태는 백이 추가로 둘 필요 없이 흑이 죽은 것으로 취급된다.
- 추가 가일수가 필요한 형태
흑이 백 3점을 포위하고 있고, 아까랑 달리 백이 안쪽 어디를 두더라도 곡사궁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빅처럼 보인다. 그런데 백이 바깥쪽 A를 막으면 흑 두 점이 단수에 몰리기 때문에 B 자리가 온전한 공간이 아니다. 그래서 이 형태는 빅이 성립되지 않는다.
- 귀곡사
빅 처럼 보이지만 귀의 특수성으로 인해 빅이 성립되지 않는 형태를 의미한다. 해당 문서 참조.
2.2.1. 헷갈릴 수 있는 형태
위 형태를 얼핏 보면 흑이 오궁도화로 죽은 것처럼 보이는 형태다. 흑이 먼저 안쪽을 메우면 당연히 백을 잡아도 살 수 없고, 백이 먼저 두었을 때 흑이 다섯점을 잡아도 살 수 없기 때문.
그런데 백이 안쪽을 두었을 때 흑의 안쪽 공간이 하나가 아닌 두 개가 남아있어 뒷공배가 메워져도 흑은 단수에 몰리지 않는다. 따라서 흑은 백을 단수치지 않고 내버려두는 선택지도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백은 A랑 B 어디를 메꿔도 죽는 궁도가 나오지 않는다. 백이 1의 자리가 아닌 A나 B쪽을 먼저 메워도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 따라서 위 형태는 오궁도화가 아닌 빅이 된다.
다만 위 형태는 비슷해보여도 빅이 성립되지 않는다. 백이 1과 3의 자리를 메우면 매화육궁이 되어서 흑이 죽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왼쪽의 모양은 흑이 A나 B를 두면 오궁도화로 죽고, 백이 두면 무조건 사는 궁도가 나와서 빅이 된다. 그런데 오른쪽은 뒷공배가 메워지면 흑이 유가무가에 몰리기 때문에 흑이 살려면 A로 두어 백을 단수치는 것이 강제된다. 그런데 흑이 A로 단수치면 백이 B로 이어서 오궁도화가 되기 때문에 흑이 가일수해도 죽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오른쪽은 빅이 아닌 흑이 잡히는 형태다.
이렇게 빅일 것 같으면서 빅이 아니고, 빅이 아닐 것 같으면서 빅인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래서 빅을 정확하게 구분하려면 사활 감각이 어느 정도 쌓여있어야 한다. 그래도 본 문단에서 소개한 구분하기 어려운 형태를 기계적으로 외울 필요는 없다. 구분하기 어려운 만큼 실전에서 보기 정말 힘들기 때문이다.
2.3. 특수 형태
- 양패빅
패 문서에서도 소개한 바 있는 양패의 형태에서 빅이 되는 극히 드문 형태다. 흑과 백은 모두 패를 잇는 순간 단수에 몰려 잡히고, 흑백 모두 패를 따내도 상대가 반대쪽의 패를 따내는 것이 가능하다.
실전 기록으로는 2018년 1월 26일 제23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 24강 강태훈 初단 vs 심재익 初단의 대국에서 발생한 적이 있다. 강태훈이 심재익의 대마를 다 잡으러 갔는데, 심재익이 타개를 하면서 양패빅으로 살아버린 것이다. 강태훈은 심재익 대마를 다 잡으러 갔는데, 대마가 살아버리니까 심재익이 유리해져서 바둑을 이겼다.
- 권오민 五단의 빅
프로기사 권오민 五단이 고안한 특수한 빅. 권오민 五단의 저서인 신기묘수에 이 형태가 소개되어있다.
위 형태를 보면 흑이 살려고 A나 B를 두면 백이 C나 D를 두었을 때 아래쪽의 흑 2점이 잡히기 때문에 흑 전체가 죽어버린다. 그렇다고 C나 D로 이으면 오궁도화의 형태가 되어 백이 B나 A로 치중해서 잡히게 된다. 그런데 백의 입장에서도 A나 B로 두면 흑이 B나 A로 단수치면 흑은 단수에 몰리지 않은 채 백돌만 잡혀서 흑이 살아버리고, C나 D로 흑 두 점을 단수치면 흑이 이었을 때 백이 곡사궁 형태로 단수에 몰려서 역시 흑이 살아버린다.
즉, 얼핏 보면 가일수가 필요할 것 같은 형태인데 기묘하게도 흑백 모두 가일수를 할 필요가 없고 서로 잡을 수 없으니 결국 빅이 된다. 자충을 이용하지도 않고 궁도의 형태도 일반적인 빅과 차이가 있고 양패빅처럼 패를 이용하지도 않는 매우 독특한 빅이다. 이 형태는 몇몇 바둑 유튜버들도 소개한 적이 있다.
2.4. 빅의 전략
- 사활
단어 자체는 무승부에 가까운 의미다보니 얼핏 보기에는 삶과 죽음의 중간지점에 있는 형태처럼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서로 잡을 수 없다는 것은 잡으러 가는 쪽이 잡지 못한다는 의미이므로, 사활에서 빅은 살아있는 형태로 친다. 이 점으로 따지면 중국어 명칭인 쌍활(双活, 서로 살아있음)이 빅의 특징을 좀 더 직관적으로 나타낸다고 볼 수 있으며 삶과 죽음의 중간에 있는 형태는 빅이 아니라 패에 해당된다.
그래서 정말 수가 안 날 것 같은데 빅이 되어 다 잡히기 직전의 대마가 살아가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면 잡으러가는 쪽에서는 돌을 잡아서 얻을 수 있는 집이 사라지는 꼴이므로 큰 낭패다. 어디까지나 해당 형태에 한해서만 무승부지 대국 전체를 무승부로 만드는 것과 연관이 있지는 않으므로 무승부로 하지 않을래 같은 소리를 할 건덕지도 없다. 사활에서 빅이 나면 잡으러가는 쪽이 무조건 실패했다고 생각하면 된다.
- 끝내기
빅은 서로가 잡을 수 없는 형태이므로 살아있는 돌의 사활을 추궁해서 빅으로 만들면 상대의 집을 없앨 수 있다. 그래서 잡으러가는 목적이 아니라 집을 없앨 목적으로 빅을 만들기도 한다. 위 형태는 백이 귀에 직사각8궁을 내서 살아있는 형태다.
흑이 2선에 치중하고 백이 패를 피하면 흑의 선수 빅이 되어 백이 귀에서 난 집을 없앨 수 있다. 백의 입장에서 집을 지키려면 안쪽에 두면 되고 원래 7집이 나는 자리를 흑이 없앴으므로 빅을 내는 것은 7집 끝내기가 된다.
여기서 흑이 3으로 뒀을 때 백이 4로 막으면 만년패가 된다. 만년패는 빅과 연관이 큰데 만년패가 성립하려면 잡으러가는 쪽(해당 형태에서는 흑)이 패를 걸지 않고 그냥 이으면 빅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만년패는 엄연히 살아있지는 않는 형태기 때문에 사활적으로는 빅이 유리하지만, 이 경우는 만년패가 흑의 후수인데다 늘어진 만년패[1]라서 백은 상황에 따라서 후수 빅 대신 선수 만년패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 수상전
수상전에서는 빅이 확실하게 무승부라고 할 수 있다. 수상전의 결과를 백이 흑을 잡음 - 빅 - 흑이 백을 잡음로 나눴을 때 가운데에 있기 때문. 물론 상황에 따라 흑백의 입장이 다를 수 있어서 흑이 잡아야 하는 상황인데 빅이 나버리면 흑이 실패했다고 할 수도 있다.
3. 규칙
한국, 일본의 바둑 규칙상 빅 속의 빈 공간은 공배로 처리한다. 빅 속에 눈모양이 있더라도 그것을 집으로 세어선 안 되고, 빅 속에 따낼 수 있는 상대방의 돌이 있으면 바둑이 끝나기 전에 따내서 한집이라도 벌어야 한다. '빅 속의 눈모양을 공배로 처리한다'는 규정을 숙지하지 않으면 위 그림과 같은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빅이 이 그림처럼 생겼을 때 6집반 공제이고 빅을 제외한 흑집이 5집 더 많은 경우를 가정해 보자. 흑은 빅 속의 2집을 보태면 7집이므로 백에게 덤을 줘도 흑의 반집승처럼 보인다. 그러나 빅 속의 눈은 공배로 처리되는 규정에 의해 흑은 (자신의 계산보다) 두 집이 줄어 흑의 반집승이 아닌 백의 1집반승으로 귀결된다. 흑의 입장에선 억울하겠지만 규칙이 그러니 어쩔 수 없다.
중국 룰에서는 착수 불가능하고 사방[2]에 양쪽 돌이 다 있는 공배를 반씩 나눠가진다[3](물론 사방에 한쪽 돌만 있는 공배는 그쪽 돌의 집). 바로 위 그림의 빅 모양에서 흑집은 1+1+½+½로 3집, 백집은 ½+½로 1집으로 계산한다[4]. 중국식은 한쪽만 계가해도 결과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지분점을 맞출 수 있게 하는 것[5].
돌이 차지한 자리를 집으로 세지 않는 서양식에서는, 백집은 없고 흑은 2집(=1집+1집)으로 본다.
바둑 승부 자체가 무승부로 끝나면 '판빅'이라고 하며 빅의 일종이라고 할 순 없고, 바둑 자체의 하나의 가능한 결말이다.
[1] 흑이 백을 잡으러가려면 패를 따내고 백을 단수쳐야해서 2번 둬야한다. 즉, 흑의 한 수 늘어진 만년패.[2] 팔방이 아니다. 바둑판에 그은 선 방향으로만 같은 빛깔 돌의 연결을 인정하기 때문이다.[3] 원칙대로라면 집 계산에서 빼야 한다. 그렇지만 이걸 뺐다간 전체 바둑판 점 수의 절반(가로세로 19줄이면 19²/2=180½)인 '지분점'을 다시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 위 참고도가 가로세로 19줄에서 나타났다면 (19²-2)/2=179½이 지분점 - 반씩 나눠가지는 쪽이 집을 세기에 그나마 편하다.[4] 여기서는 일본식과 다른 점을 보여주려고 살아 있는 돌은 집 계산에서 뺐다. 실제로는 검은돌(10알)과 흰돌(13알)이 차지한 자리도 모두 세어야 하니 빅인 곳만 본다면 흑 13집, 백 14집.[5] 빅의 지점을 둘러싸고 있는 흑/백 돌의 개수에 비례해서 집을 배분하여 흑집이 2⅔(=1+1+⅓+⅓)집, 백집이 1⅓(=⅔+⅔)집이라고 계산(실제로는 흑 12⅔집, 백14⅓집)하는 건 제1회 응씨배 때 규칙. 참고로 8강전에서 이 계가법을 적용한 바둑이 나왔다. 이제는 응씨배도 중국식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