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당 지역을 연고로 한 EFL 챔피언십 소속 잉글랜드의 축구단}}}에 대한 내용은 [[브리스톨 시티 FC]]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브리스톨 시티 FC#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브리스톨 시티 FC#|]]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해당 지역을 연고로 한 EFL 리그 투 소속 잉글랜드의 축구단}}}에 대한 내용은 [[브리스톨 로버스 FC]]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브리스톨 로버스 FC#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브리스톨 로버스 FC#|]]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지역을 연고로 한 EFL 챔피언십 소속 잉글랜드의 축구단: }}}[[브리스톨 시티 FC]]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브리스톨 시티 FC#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브리스톨 시티 FC#|]]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해당 지역을 연고로 한 EFL 리그 투 소속 잉글랜드의 축구단: }}}[[브리스톨 로버스 FC]]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브리스톨 로버스 FC#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브리스톨 로버스 FC#|]]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1em" {{{#!folding [ 잉글랜드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 |||||||
그레이터런던 | ||||||||
시티오브런던 | 그레이터런던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도시주 | |||||||
그레이터 맨체스터 | 머지사이드 | 웨스트 미들랜즈 | ||||||
사우스요크셔 | 웨스트요크셔 | 타인&위어 | }}} | |||||
주 | ||||||||
베드퍼드셔 | 버킹엄셔 | 버크셔 | 브리스톨 | |||||
케임브리지셔 | 체셔 | 콘월 | 컴브리아 | |||||
더비셔 | 데번 | 도싯 | 더럼 | |||||
이스트서식스 | 이스트라이딩오브요크셔 | 에식스 | 글로스터셔 | |||||
햄프셔 | 헤리퍼드셔 | 하트퍼드셔 | 와이트 섬 | |||||
켄트 | 랭커셔 | 레스터셔 | 링컨셔 | |||||
노샘프턴셔 | 노퍽 | 노섬벌랜드 | 노스요크셔 | |||||
노팅엄셔 | 옥스퍼드셔 | 러틀랜드 | 슈롭셔 | |||||
서머싯 | 스태퍼드셔 | 서퍽 | 서리 | |||||
워릭셔 | 웨스트서식스 | 윌트셔 | 우스터셔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스코틀랜드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도시 구역 | |||||||
에든버러 | 글래스고 | 애버딘 | 던디 | }}}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단일 구역 | |||||||
애버딘셔 | 앵거스 | 아가일 & 뷰트 | 이스트렌프루셔 | 스코티시보더스 | ||||
인버클라이드 | 스털링 | 클라크매넌셔 | 덤프리스 & 갤러웨이 | 웨스트로디언 | ||||
파일:coat_of_arms_of_Midlothian.png 미들로디언 | 이스트로디언 | 파이프 | 이스트던바턴셔 | 웨스트던바턴셔 | ||||
노스래너크셔 | 사우스래너크셔 | 머리 | 퍼스 & 킨로스 | 렌프루셔 | ||||
폴커크 | 하이랜드 | 이스트에어셔 | 사우스에어셔 | }}}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도서 구역 | |||||||
아우터헤브리디스 | 오크니 제도 | 셰틀랜드 제도 |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웨일스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keep-all" |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도시 구역 | |||||||
카디프 | 스완지 | 뉴포트 | }}}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단일 구역 | |||||||
몬머스셔 | 덴비셔 | 펨브로크셔 | ||||||
카마던셔 | 케레디기온 | 플린트셔 | ||||||
귀네드 | 앵글시 | 포이스 | }}}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주급 자치구 | |||||||
렉섬 | 베일오브글러모건 | 카이어필리 | 론다커논타브 | |||||
콘위 | 니스포트탤벗 | 머서티드빌 | 블라이나이궨트 | }}} | ||||
보존 주 | ||||||||
클루이드 | 더베드 | 그웬트 | 귀네드 | |||||
미드 글래모건 | 포위스 | 사우스 글래모건 | 웨스트 글래모건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북아일랜드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구 | |||||||
벨파스트 | 데리 & 스트러밴 | 아즈 & 노스다운 | 앤트림 & 뉴튼애비 | |||||
리즈번 & 캐슬레이 | 뉴어리, 모운 & 다운 | 아마,밴브리지 & 크레이개번 | 미드 & 이스트 앤트림 | |||||
코즈웨이코스트 & 글렌즈 | 미드 얼스터 | 퍼매너 & 오마 | }}} | |||||
{{{#!wiki style="margin: -16px -10.5px" | 주 | |||||||
런던데리 | 앤트림 | 다운 | ||||||
아마 | 퍼매너 | 타이론 |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해외 영토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keep-all" | 영국의 해외 영토 | |||
몬트세랫 | 버뮤다 | 지브롤터 | 케이맨 제도 |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 앵귈라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영국령 인도양 지역 |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포클랜드 제도 | 핏케언 제도 |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 |||||
<nopad>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 <nopad> | |||||||
세인트헬레나 | 어센션섬 | 트리스탄다쿠냐 | ||||||
* 남극조약에 의해 영유권 동결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왕실령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keep-all" | 영국 왕실령 | ||||||
맨섬 | 채널 제도 | |||||||
[[건지 관할구| 건지 행정관 관할구]] | [[저지섬| 저지 행정관 관할구]] | |||||||
[[건지섬| 건지섬]] | [[올더니| 올더니섬]] | |||||||
[[사크| 사크섬]]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지역 | 전례주*의 구성 |
노스웨스트 잉글랜드 | | |
노스이스트 잉글랜드 | | |
요크셔&험버 | | |
웨스트 미들랜즈 | | |
이스트 미들랜즈 | | |
이스트 오브 잉글랜드 | | |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 | | |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 | | |
그레이터런던 | | |
* 도시주(녹색, 6개), 비도시주(청색, 28개), 단일 자치주 및 기타(흑색/다크모드에서는 백색, 14개)로 구분된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rowcolor=#fff> 순위 | 이름 | 중심 도시 | 구성국 | 인구 |
1 | 그레이터 런던 | 런던 | | 10,558,797 | |
2 | 그레이터 맨체스터 | 맨체스터 | | 2,720,316 | |
3 | 웨스트 미들랜즈 | 버밍엄 | | 2,590,363 | |
4 | 웨스트요크셔 | 리즈/브래드포드 | | 1,860,546 | |
5 | 그레이터 글래스고 | 글래스고 | | 1,026,688 | |
6 | 리버풀 | | 891,211 | ||
7 | 사우스 햄프셔 | 사우샘프턴/포츠머스 | | 888,145 | |
8 | 타인사이드 | 뉴캐슬어폰타인 | | 790,636 | |
9 | 노팅엄 | | 762,786 | ||
10 | 셰필드 | | 688,981 | ||
11 | #s-1 | | 680,981 | ||
12 | 벨파스트 | | 622,000 | ||
13 | 레스터 | | 559,017 | ||
14 | 에든버러 | | 529, 580 | ||
15 | 브라이튼 앤 호브 | | 518,745 | ||
16 | 본머스/풀 | | 485,976 | ||
17 | 카디프 | | 464,635 | ||
18 | 코번트리 | | 388,758 | ||
19 | 티사이드 | 미들즈브러 | | 383,613 | |
20 | 스토크온트렌트 | | 380,351 | ||
21 | 레딩 | | 355,514 | ||
22 | 선덜랜드 | | 332,932 | ||
23 | 버컨헤드 | | 331,588 | ||
24 | 프레스턴 | | 328,924 | ||
25 | 킹스턴어폰헐 | | 323,634 | ||
출처: 2021년 인구조사 | |||||
틀 바로가기 | }}}}}}}}} |
브리스톨 Bristol Bristolliensis | ||
| ||
도시 정보 | ||
지역 |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 | |
설립 | 1155년 | |
면적 | 110 km² | |
인구 | 707,412명 | |
인구 밀도 | 4,248/km² | |
인종 구성 | 82.9% 백인, 6% 흑인, 5.5% 아시아계, 4.7% 혼혈 | |
시간대 | UTC+0 (GMT) | |
지역 전화번호 | 0117 | |
ISO 3166-2 | GB-BST | |
위치 | ||
<nopad> |
1. 영국 잉글랜드의 주 및 도시
<nopad> |
브리스톨 |
1.1. 개요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의 전례 주 겸 주요 도시. 인구는 약 70만 명. 사실 남서부의 인구 밀도가 그리 높은 편이 아니라 맨체스터나 버밍엄 같은 대도시들이 없다. 런던에서는 기차 등의 대중교통으로 약 1시간 거리에 있다. 로마 시대의 유산에 힘입어 영국 관광산업을 책임지는 바스, 항공우주 산업이 발달한 글로스터셔와 함께 남서부 지방의 경제를 책임진다.1.2. 상세
주와 도시의 경계가 일치한다. 전통적으로 브리스톨을 가르는 에이번강을 경계로 북쪽은 글로스터셔[1], 남쪽은 서머싯으로 행정구역이 구분되어 두 지역 경계에 걸친 도시였다. 1970년대 들어 생활권-행정구역 일치를 위해 브리스톨을 중심으로 바스와 인근 근교 지역을 묶은 에이번 주가 생겼다가, 여기서 1996년 브리스톨 도시지역만 남긴 브리스톨 주를 만들고, 나머지 지역은 글로스터셔와 서머싯으로 되돌려 오늘과 같은 행정구역을 갖게 되었다.1.3. 역사
브리스톨은 에이번(Avon) 강 하구에 위치하며, 고대부터 영국 서부 해안의 전략적 거점으로 기능해 왔다. 12세기에는 왕실 특허를 받아 무역항으로 공식 인정되었다. 주로 양모, 모직물, 주석, 납 등을 유럽 대륙에 수출하고, 와인·소금·향신료를 수입하였다. 이 시기 브리스톨은 영국 내에서 런던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도시 중 하나였다. 항만 시설 확충과 상업 길드 형성이 도시 경제를 뒷받침하였다. 16세기 후반, 존 캐벗의 북아메리카 항해(1497)는 브리스톨의 대서양 진출을 상징했다. 16세기 이래 뉴펀들랜드의 그랜드 뱅크에서 어업을 하던 브리스톨의 어부들은 17세기에 대규모로 뉴펀들랜드에 영구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17세기에 영국의 미국 식민지가 성장하면서 브리스톨은 대영제국의 서쪽에 위치하여 신대륙으로 항해하는 데 유리했고, 도시의 상인들은 이를 최대한 활용하여 18세기 중반까지 영국 전체의 두 주요 외항 중 하나가 되었다. 17~18세기에는 설탕, 담배, 노예무역을 포함한 ‘삼각 무역’에서 핵심 거점으로 기능했다. 이 시기 브리스톨은 영국에서 리버풀 다음으로 대서양 무역에 깊게 관여한 도시였으며, 이로 인한 자본 축적이 제조업·조선업·정유업의 발전을 촉진했다. 1700년부터 1807년까지 브리스톨 노예 무역이 절정에 달했을 때 2,000척이 넘는 노예선이 보수적으로 추산한 대로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노예를 운반하여 50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을 실어날랐다. 그러나 1807년 영국의 노예무역 폐지법과 19세기 산업 중심지가 북부로 이동하면서 상대적 쇠퇴를 겪었다. 그러나 구리와 항동 제조 산업이 발전하면서 브리스톨은 다시 번영하였다.제2차 세계대전 중 브리스톨은 항만·항공 산업 중심지였기에 독일 공군의 브리스톨 대공습의 주요 목표가 되었다. 도시에 살거나 일하는 사람 약 1,300명이 사망했고 거의 100,000개의 건물이 손상되었다. 1970년대 이후 전통 제조업이 축소되면서, 브리스톨은 금융·교육·미디어·창의 산업 중심으로 산업 구조를 재편했다. BBC West, Aardman Animations 등 미디어 기업이 입주했고, 브리스톨 대학교·서부 잉글랜드 대학교가 첨단 연구 및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했다. 2015년 유럽 친환경도시(European Green Capital)로 선정되며 지속가능성과 친환경 산업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1.4. 경제
산업 혁명 이전 18세기 까지는 런던 다음으로 큰 영국의 최대 도시였다. 당시 브리스톨은 대영제국의 무역 거점으로 이용됐었고, 지금도 그 흔적이라 할 수 있는 담배 무역이 꽤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노예무역(삼각무역)의 전초기지로써 번영하였고, 뉴펀들랜드의 식민지와 깊은 관계를 갖는 등 이 도시의 발전은 신대륙으로의 식민지배와 많은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하지만 오늘날의 브리스톨은 무역보다는 항공우주 공업, IT 스타트업 등 첨단 산업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다. 아래의 '브리스톨 항공사'가 이 지역에서 창립한 이후 영국 최대의 방위산업체 BAE 시스템스, 롤스로이스, 에어버스 등 영국 국적의 내로라하는 항공 대기업들과 제너럴 일렉트릭, 프랫 & 휘트니 등 외국계 항공 산업 대기업이 다 브리스톨에 공장이나 R&D센터를 두고 있다. 영국에서 가장 거대한 항공우주 연구 단지로 인근 웨일스의 브로턴과 같이 거대한 항공우주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다. 에어버스 역시 브리스톨과 브로턴에 거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발전된 첨단산업 인프라들을 바탕으로 Deloitte, EY, KPMG, PwC와 같은 세계 4대 회계법인을 비롯한 수많은 글로벌 금융기관들도 브리스톨에 오피스나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영국 부유층이 퇴직 후 거주를 희망하는 지역 중 하나다. 따라서 런던을 제외한 잉글랜드 지역 중 영국 서남부에 위치한 브리스톨, 바스, 엑시터 등의 부동산 가격이 높기로 유명하다. 그 결과 런던까지의 수준은 아니지만 영국 제 2 도시인 맨체스터, 에든버러, 버밍엄와 비슷한 수준의 높은 물가를 보인다.
학문 연구 쪽도 매우 훌륭하다. 브리스톨 대학교는 영국내 10위권 이내, 세계 순위 50~60위권을 꾸준히 유지하는 최상위권 명문 대학교다. 학위를 취득한 대학원생이나 전문 연구 인력 수요도 높다 보니 젊고 우수한 인력이 도시에 많이 모인다.
1.5. 정치
다른 지역들과 다르게 녹색당의 지지율이 매우 높다. 시 의회 제1당이 녹색당으로, 2024년 영국 지방선거에선 과반을 2석 앞두고 안타깝게 놓칠 정도다.- 녹색당 : 34석
- 노동당 : 21석
- 자유민주당 : 8석
- 보수당 : 7석
1.6. 문화
브리스톨은 영국의 '힙스터 문화'를 주도하는 도시가 됐다. 1980~90년대부터 힙합 및 그래피티 문화도 발달해 트립 합을 배출한 곳이기도 하다. 매시브 어택과 트리키, 그들을 배출한 사운드시스템인 와일드 번치, 포티스헤드가 여기 출신.[2] 영국의 현대미술을 주도한다고 평가받는 뱅크시의 고향이기도 하다.[3] 그 결과 브리스톨 시 곳곳에는 뱅크시의 작품이 매우 많이 포진되어 있다.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모험소설 보물섬의 배경이 된 곳이다.
브리스톨은 쾌적하고 연봉 높은 일자리 많은 살기 좋은 도시다. 영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여러번 선정되기도 했다.#
1.7. 관광
- 클리프턴 현수교 (Clifton Suspension Bridge) : 에이번 협곡 위, 브리스톨과 노스서머싯을 연결하는 다리로 1829년 설계 공모에서 당시 20대 중반의 브루넬이 채택되었으나, 1831년 브리스톨 폭동과 자금난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그의 사후 동료 엔지니어들이 브루넬을 기리기 위해 설계를 약간 수정해 재개했고, 1864년 개통되었다.
- 브리스톨 대성당 (Bristol Cathedral) : 1140년에 설립되어 1148년에 봉헌된 성 어거스틴에게 헌정된 수도원이다. 수도원이 해체된 후 1542년에 브리스톨의 새로운 교구 대성당이 되었다.
- 빅토리아 룸스 (Victoria Rooms) : 19세기 네오클래식 양식 건물로, 현재는 브리스톨 대학교 음악학부 본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원래부터 대학 건물은 아니었고, 처음에는 시민 회관이자 다목적 공연장으로 지어졌다. 개관 당시 왕세자비였던 빅토리아 공주를 기념해 ‘Victoria Rooms’로 명명되었다.
- 브리스톨 산업 박물관 (Bristol Industrial Museum) : 플로팅 하버 옆 프린스 워프에 위치해있는 박물관으로 브리스톨의 산업 발전을 전시하고 있다.
- 브리스톨 박물관 및 미술관 (Bristol Museum & Art Gallery) : 이 박물관은 시내 중심에서 약 0.8km 떨어진 클리프턴 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브리스톨 시의회에서 운영하며 입장료는 없다. 중국 유리 컬렉션과 1935년부터 1946년까지 브리스톨 시장이었던 막스 쉴러가 물려받아 그의 형인 페르디난트 N. 쉴러가 수집한 동양 미술품 "쉴러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 킹스 웨스턴 하우스 (Kings Weston House) : 18세기 초에 건축된 이 건물은 여러 차례 리모델링되었으며, 가장 최근에는 19세기 중반에 리모델링되었다. 오늘날에는 회의 및 결혼식 장소뿐만 아니라 공동 주택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 랜도거 트로우 (Llandoger Trow) : 1664년에 지어진 술집으로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이 보물섬의 Admiral Benbow Inn에 대해 글을 쓰도록 영감을 주었다고 하며, 대니얼 디포가 그곳에서 윌리엄 댐피어와 알렉산더 셀커크를 만났고, 로빈슨 크루소의 영감을 얻은 술집이다. 이 술집은 또한 유령이 나온다고 하며, 최대 15명의 유령과 한 명의 작은 녹색 귀신이 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꼭대기 층에서 발소리가 들리는 아이이다.
1.8. 스포츠
이 곳에 연고지를 둔 축구팀 브리스톨 시티 FC와 브리스톨 로버스 FC가 있는데 이 두 팀이 맞붙는 경기를 브리스톨 더비라고 부른다.축구 외에도 럭비가 인기 스포츠로, 연고팀으로 브리스톨 베어스가 있다. 주 라이벌은 바스 럭비고, 여기에 다른 잉글랜드 서부 팀인 글로스터 럭비, 엑서터 치프스까지 4개 팀 사이 치러지는 경기들을 통틀어 웨스트 컨트리 더비라고 부른다.
또 영국 농구 리그(British Basketball League, BBL)의 브리스톨 플라이어스가 브리스톨 교외 Stoke Gifford에 자리잡고 있다.
1.9. 자매도시
2. 브리스톨 에어로플레인 컴퍼니
브리스톨에서 버스 및 트램 제작 회사를 경영하던 조지 화이트 경이 1909년 프랑스에서 윌버 라이트[4]를 만난 뒤 항공산업에 대한 전망을 보고 1910년에 콜로니얼 항공사 라는 이름으로 창립했다. 창립직후 프랑스에서 라이센스를 받아 영국 최초의 항공기인 박스카이트(상자연)라는 초도기를 제작하여 날렸다.제2차 세계 대전 중에 폭격기와 중전투기 등 군용기를 개발 및 생산하여 RAF에 납품했다. 2차대전 말기에 헬리콥터 개발도 시작했는데 싱글로터와 텐덤로터 시제기를 만들다가 1960년대에 웨스트랜드사에게 인수되었다.
항공기 뿐만 아니라 항공용 엔진 제작도 했다. 공랭 성형 9기통 주피터를 시작으로 허큘리스, 센타우로스 순으로 발전을 이뤘다. 전후에는 올림푸스 제트엔진을 개발했다.
엔진 사업부는 1958년 암스트롱 시들리와 합병하여 브리스톨 시들리가 되었다가 1966년 롤스로이스에게 인수[5]되었고, 항공기 본사는 1959년 BAC에게 인수되었다.
2.1. 브리스톨에서 제작한 항공기
- 브리스톨 스카웃
- 브리스톨 M1
- 브리스톨 F2
- 브리스톨 불독 : 전간기 개발된 복엽전투기
- 브리스톨 블렌헤임
- 브리스톨-페어차일드 볼링브로크 : 블렌헤임의 캐나다 생산 버전
- 브리스톨 보포트 : 블렌헤임을 기반으로 개발한 뇌격기
- 브리스톨 보파이터 : 보포트를 기반으로 개발한 구축전투기
- 브리스톨 버킹엄 : 중형 폭격기
- 브리스톨 브리건드 : 뇌격 및 지상공격형
- 브리스톨 벅마스터 : 고등 훈련기
- 브리스톨 170 프라이트너/수퍼프라이트너 : 화물기
- 브리스톨 171 시카모어: 헬리콥터
- 브리스톨 188 : 초음속 쌍발엔진 실험기
- 브리스톨 192 벨베디어 : 텐덤로터 헬리콥터
- 브리스톨 브라바존 : 4발 터보프롭 여객기로 대서양 횡단을 위해 보잉 747보다 큰 날개폭, 호화로운 객실 설비를 자랑했으나 개발이 취소되었다.
- 브리스톨 브리타니아 : 4발 터보프롭 여객기로 브리스톨의 마지막 양산 항공기. 추후 이 기체의 설계를 캐내디어[6]에서 인수하여 CL-44 유콘을 개발
2.2. 브리스톨 카스 리미티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리스톨(자동차 제조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브리스톨(자동차 제조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