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01:58:03

불합격


1. 의미2. 설명3. 비슷한 말

1. 의미

不合格

말 그대로 합격하지 못함. 즉, 취업입시에서 원하는 곳에 가지 못하는 경우, 시험에서 일정 점수 미만을 득점하여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반대말은 합격이다. 전통적으로 불합격을 이르는 표현 중 ‘미역국 먹다’라는 표현도 있으며, 신조어로는 '뜨거운 합격' 등으로 다듬어지기도 한다.

2. 설명

수능생이 대학 입학을 위해 입시수시 내지는 정시에서 떨어지거나, 취업준비생이 서류전형을 합격하여 회사에 면접을 보러 갔다가 면접에서 최종 탈락하거나 응시생이 시험에서 과락이나 낙방 등의 이유로 불합격을 당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불합격은 어떠한 보상손해배상을 받지 못하는 것은 물론 자신이 투자한 모든 시간노력이 물거품이 되어버린 것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재응시 일시까지 시간을 다시 투자하거나 극심한 절망감을 느껴 낙오자가 되어버리기도 한다.

취미를 위한 공부나 인생 공부 등 넓은 의미의 공부, 합격하기 쉽거나 준비 기간이 짧은 종류의 자격증, 면허증, 채용 관련 시험 공부 등은 공부 조언 문서로.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다수의 자리에 지원을 하는 수험이나 입시 공채 시즌의 경우 종종 예비번호를 받기도 한다. 이런 경우, 합격자가 자리에 들어오지 않는 경우 예비 순번대로 해당 자리에 들어올 자격이 생긴다. 이 예비번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 불합격이라 하며, 예비번호가 자기 순번까지 돌지 못하면 불합격이 된다. 예비번호 자리 수가 매우 큰 "우주 예비"의 경우, 간혹 추가합격한 수험생도 존재한다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불합격으로 본다.

업체들의 경우 구직자의 불합격 여부를 직접 알려주는 경우보다 기간 내에 아예 연락을 안 보내는 식으로 간접통보를 하는 경우가 더 많다. 그래서 취준생 불합격자들의 불만이 상당하다. 불합격자들 입장에선 업체가 불합격을 통보하지 않아 희망고문을 하는 것보다 면접본 곳에서 빨리 불합격 통보가 돼야 다른 곳을 준비하기가 편해지기 때문이다.

도로주행시험에서 점수가 70점 미만이면 불합격이다. 운전면허 장내기능시험은 80점 미만이면 불합격이다. 국가기술자격국가전문자격 필기/실기 시험에서는 60점 미만의 점수를 득점하면 불합격이다. 기능사 단계까지는 과락이 없어서 60점 이상 득점하면 무조건 합격이나 산업기사 이상의 등급(기사, 기능장, 기술사)에서는 과락이 존재하여 한 과목이라도 40점 미만의 점수를 득점하면 과락을 불합격당한다.

3. 비슷한 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