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13:43:59

불갑산IC

불갑산 나들목
佛甲山 나들목
Bulgapsan Interchange
불갑산 요금소
Bulgapsan Tollgate
하이패스 전용
목포 방면
함평IC
← 16.5 km
파일:Expressway_kor_15.svg 서울 방면
영광IC
7.8 km →
◀   함평천지휴게소(서울방향)
영광임시휴게소(목포방향)
파일:불갑산IC하행.jpg
불갑산IC(목포 방향) 항공사진
주소
전라남도 영광군 군서면 보라리 (목포 방향)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학정리 (서울 방향)
관리기관
서해안선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함평지사
개통
2021년 12월 29일
접속도로
[[23번 국도|
23
]](함영로) · 성지로

1. 개요2. 구조
2.1. 목포 방향2.2. 서울 방향
3. 역사4. 특징

1. 개요

전라남도 영광군 군서면 보라리와 영광읍 학정리에 위치한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 목포 방향 진출입만 가능하며, 서울 방향 진출입로는 2025년에 완공될 예정이다.[A]

2. 구조

2.1. 목포 방향

2.2. 서울 방향

3. 역사

4. 특징

영광군 영광읍, 묘량면, 불갑면과, 영광군 내에 있는 불갑산, 불갑사 등의 관광지를 연계하기 위해 건설되는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이다.[5]

함평 나들목에서 영광 나들목까지 24km 정도의 상당한 거리라[6], 그간 영광 남부지역은 고속도로를 이용하려면 23번 국도를 이용해 북쪽 고창군 경계지점에 있는 영광 나들목으로 가거나 목포로 갈 때는 그냥 함평군으로 가서 함평 나들목을 이용했는데 이 나들목이 생김으로써 남부 지역에서 고속도로를 이용하기 편해졌다.[7]

목포 방향 진출입로는 영광임시휴게소를, 서울 방향 진출입로는 영광졸음쉼터를 활용한다.[8]
==# 둘러보기 틀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5호선.svg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라남도 죽림JC - 일로IC - 목포TG - 무안IC - 함평JC(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2호선.svg) - 함평천지SA하행(←) - 함평IC - 함평천지SA상행(→) - 영광SA - 불갑산IC - 영광IC -
전북특별자치도 - 대산SA - 고창JC(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253호선.svg) - 고창IC - 고창고인돌SA - 선운산IC - 줄포IC - 부안SA - 부안IC - 서김제IC - 동군산IC - 군산SA하행(←) - 군산IC - 군산SA상행(→) -
충청남도 - 동서천JC(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51호선.svg) - 서천IC - 서천SA - 춘장대IC - 무창포IC - 대천IC - 대천SA - 광천IC - 홍성SA - 홍성IC - 해미IC - 서산SA - 서산IC - 당진JC(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30호선.svg) - 당진IC - 송악IC - 행담도SA -
경기도 - 포승JC - 서평택IC - 서평택JC(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40호선.svg·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53호선.svg) - 발안IC - 화성SA - 팔탄JC(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400호선.svg) - 비봉IC - 매송SA - 팔곡JC(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50호선.svg) - 안산JC(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50호선.svg) - 서서울TG - 조남JC(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0호선.svg) - 목감SA - 목감IC - 광명역IC - 일직JC(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10호선.svg) - 소하JC -
서울특별시 - 금천IC - 서부간선도로 직결 }}}}}}}}}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교통체계
<colbgcolor=#2667A9>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5.svg서해안고속도로(영광IC, 불갑산IC)
국도 22번 국도, 23번 국도, 77번 국도
지방도 15번 지방도, 734번 지방도, 805번 지방도, 808번 지방도, 842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영광군 농어촌버스, 영광종합터미널, 홍농버스터미널, 법성버스정류장
해운 계마항, 안마항 외 20개소
전라남도의 교통


[A] 서해안고속도로 불갑산하이패스IC 상행선 드디어 착공, 영광21, 2022-09-22[2] 서해안고속도로 불갑산하이패스IC(목포방향) 개통, 데일리한국, 2021-12-24[A] [A] [5] 함평군 신광면, 해보면 일대로 갈 때 이 하이패스 나들목으로 가는 게 더 편하다. 하지만 하이패스 미장착 차량은 영광 나들목함평 나들목을 이용해야 한다.[6] 이 정도의 거리는 광주대구선의 함양거창간 거리 및 경부선 옥산이 없었던 시절 청주목천간 거리와 똑같다.[7] 영광읍에서 고창간 23번 국도 왕복 4차로 확장되기 이전에는 목포를 갈 때는 함평 나들목을 이용하는 게 더 나았다.[8] 고속도로 졸음쉼터 활용해 광주간 도로와 연결, 영광21, 2019-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