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6:41:13

본래면목

1. 개요2. 설명3. 수행4. 관련
4.1. 인도 철학4.2. 서양 철학4.3. 심리 철학4.4. 물리학4.5. 진화생물학4.6. 신학
5. 견해

1. 개요

본래면목(本來面目). 본래부터 갖추어져 있는 모습. 나 자신과 우주만물의 궁극적 실체.

2. 설명

혜능이 이 용어를 선불교의 주요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불교텍스트에 따라 부처, 깨달음, 열반, 도(道), 다르마, 불법, 불이, 참나, 진리, 이것 등 다양한 언어로 표기된다. 본래면목은 불교적 자아성찰에 국한되지 않으며 근본적으로 궁극적인 세계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다. 설법 중인 스님이나 재가법사가 중간 중간에 책상을 내리 치는 것은 언어사유에 함몰되지 말고 이 禪의 본질적 요체에 집중할 것을 청중들에게 환기시키기 위함이다. 족첸, 현성공안은 본래면목이 이미 드러나 있기에 구태여 찾을 필요가 없음을 말하고 있다.

3. 수행

혜능: "무슨 물건이 이렇게 왔는가?"
남악회양: “설사 한 물건이라고 하더라도 곧 맞지 않습니다.”[1]
깨달음이란 것은 자기 자신에게서 증명되는 거기 때문에, 남한테 뭐 무슨 뭐 합격을 통지받고 이런 게 아닙니다. 시험 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스스로가 알 수가 있어요. 그냥 이 일 하나뿐인 겁니다. 이 자리뿐이고. 바깥도 없고 안도 없어요. 바로 지금 이 일뿐이라! 이 일 하나뿐! 이 일 하나뿐! 이레 가리키면 인제 분별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저거 뭘 가지고 자꾸 이렇게 하는고? 모르는 거지. 당연히! 분별 속에 있기 때문에. 그걸 생각을 가지고 뭐 손가락을 든다, 뭐 놓는다. 무슨 뭐 눈앞에 보이는 뭐 동작이다. 뭐 별에 별 이해를 해봐야 그거 아무 쓸 데 없습니다. 전연 그런 게 아닙니다. 어떤 티끌만한 이해도 용납하지 않습니다.
2010년 김태완 설법 중[2]
선수행은 본래면목을 깨닫는 일이다. 수행자는 참선을 통해 본래면목을 언어사유(분별)로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먼저 깨닫는다. 또한 자신이라는 존재의 근원으로 여겨왔던 생각, 느낌, 육체가 본래면목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깨달음의 역할에 대해서는 견해가 나뉜다. 모든 분별은 망상이며, 만물은 하나기에 아상을 버리고 서로 자비심을 베풀어야 한다는 것이 선수행에 대한 불교계의 주류적 견해이다. 조사선은 생각으로부터의 자유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설지스님은 존재론적인 어리석음을 해소하는 실존적 효용을 강조한다. 테오도르 준 박은 '이뭣고' 수행을 통해 마음의 고통을 다스릴 수 있다고 말한다.[3] 티베트 불교에서 수행이란 공성을 이해하고 보리심을 실천하는 것이다.[4]

4. 관련

4.1. 인도 철학

우파니샤드의 철학자 야즈냐발키야는 참된 아트만을 언어적, 개념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기껏해야 ‘~가 아니다, ~가 아니다’(neti neti,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라고 부정하는 말을 늘어놓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5] 불이일원론은 우리의 자각이 이미 본래면목임을 말하고 있다.

4.2. 서양 철학

서양철학에서 말하는 진리와 통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라톤이데아, 칸트물자체, 하이데거존재가 있다. 쇼펜하우어는 칸트를 부분적으로 계승하였고, 이를 '의지'와 '표상'으로 설명한다. 비트겐슈타인은 '말할 수 없는 것'이라며 침묵을 주문했다.

4.3. 심리 철학

로저 펜로즈, 데이비드 차머스, 김재권 등이 공론화 한 의식의 어려운문제와 관련 있다. 불이일원론은 알아차림(awareness), 불교는 일체유심조의 개념을 통해 의식의 주관성이 본래면목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의식이 물질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그 역이 성립됨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의식의 주관성을 환원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비유기체적 물질로 재현 가능한가의 문제는 종교적으로 큰 함의를 가진다. 버나도 카스트럽인공지능으로 의식을 창조하는 것은 의식과 컴퓨터의 계산행위간의 근본적인 차이로 인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4.4. 물리학

“원자가 양립하기 어렵다고 본 파동과 입자의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거나 소립자와 같은 미시세계 상태가 중첩되는 있는 모습은 ‘존재와 비존재의 구분을 떠난다’는 중도 원리와 맞아떨어집니다. 현대물리학이 존재가 아니라 사건을 중심에 두는 것도 불교의 무아론(과정으로서 자아)과 일치해요.”
김성구 교수 한겨례 인터뷰 중[6]
과학과 불교는 관점과 목적이 다릅니다만, 이 세상을 이해하고 싶다는 욕구만큼은 같습니다. 과학과 불교의 세계관에는 모두 인과율이라는 뿌리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무척 흥미로운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오구리 히로시, <지구인들을 위한 진리 탐구>[7]
물리학에서는 모든 것의 이론, 빅뱅 우주론과 관련이 있다. 김성구는 <아인슈타인의 우주적 종교와 불교>에서 불교의 여러 교리가 양자역학상대성 이론과 일치한다고 말한다. 오구리 히로시 또한 불교의 연기론, 무아론, 공 사상 등은 물리학과 겹친다는 점에서 석가모니를 과학자로 평가한다.

4.5. 진화생물학

"부처님은 나란 실체가 본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봤다. 또 제1원인으로서 신은 없다고 했다. 세상일을 일어나게 하는 것은 오직 연기(緣起)이다. 상호의존관계로 설명했다. 제1원인이 없는, 즉 설계자가 없는 설계, 경쟁자가 없는 경쟁이 바로 진화론이다."
강병균, 한겨례 인터뷰 중[8]
강병균은 불교의 무아론과 연기론이 진화론과 정확히 만난다고 주장한다.

4.6. 신학

'무에서 창조'(Creatio ex nihilo), '무는 무에서 나오지 않는다'(ex nihilo nihil fit)와 같은 논의가 있다.

5. 견해


[1] 남악회양이 이 답변을 하는 데에는 8년이 걸렸다.[2] 무심선원 월간소식지 2018년 11월 196호[3] 테오도르 준 박 “마음의 고통을 다스리는 것도 기술” - 예스24 채널예스[4] 달라이라마, 무아를 말하다 - 한겨례[5] 알라딘 - 불교의 탄생[6] “물리학의 양자역학과 불교 중도이론 놀랄만큼 닮았어요”- 한겨례[7] 알라딘: 지구인들을 위한 진리 탐구[8] “부처님은 최초 뇌과학자…불교도 과학 받아들여야”[9] Bernardo Kastrup: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the meaning of life - YouTube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