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복원궁(福源宮)은 고려 예종 때 설립된 국내 최초의 도관(道觀, 도교 사원)이다. 복원관(福源觀)이라고도 한다.2. 연혁
『고려도경』에 따르면 1110년 북송에서 우류(羽流, 도사)들이 고려에 파견됐고, 북송 정화(政和) 연간(1111~1117)에 개경 왕부(王府)의 북쪽, 태화문 안에 복원궁이 세워졌다. 『고려사』에서는 "1120년 음력 6월과 12월에 예종이 친히 행차해 초제(醮祭)를 지냈다"는 기록이 가장 빠르다.1221년 5월 북쪽 성랑(城廊)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조선 초에 들어 예조에서 "초제를 지내는 장소가 너무 많습니다."라고 해서, 대청관과 소격전만을 남기고 신격전·구요당·소전색 등은 폐지됐다.
3. 내부 시설
3.1. 전(殿)
- 삼청전(三淸殿)·소격전(昭格殿)
복원궁 내의 전각. 내부에 삼청상(三清像, 옥청·상청·태청)을 그린 그림이 있었다. 그 중 태청인 혼원황제(混元皇帝)의 그림은 수염과 머리카락이 감색인 점이 송 휘종의 그림과 비슷했다. 1149년 갑자기 삼청전에 있던 작은 종이 울렸다는 기록이 있다. 후 조선왕조에선 복원궁을 없애고 경성(京城, 개경)에 대청관과 소격전만 남겨 중종 대까지 초제를 지낸다. 소격서로 이어지는 한성의 소격전은 1396년 착공해 1402년 완공됐다.
- 태일전(太一殿)
1378년 공민왕이 복원궁에서 태일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이 세워지고 수도가 한양으로 옮겨간 뒤 복원궁에서 태일에게 초제를 지내기도 했다.[1] 1397년 폐지돼 소격전과 합쳐졌다.
3.2. 당(堂)
- 구요당(九曜堂)
9명의 성신(星神)인 구요를 모시는 사당. 고려궁지에도 있었다.
- 천황당(天皇堂)
4. 종사자
- 도사
『고려도경』에 따르면 복원궁에 체재하는 도사의 수는 10여명이었다. 초창기에 도사들은 낮에는 재궁에서 머무르고 밤에는 사실(私室)로 돌아갔는데, 언관들이 이를 문제삼아 법으로 금했다.
- 위숙군(圍宿軍)
각종 관청이나 성문을 지키는 인원. 복원궁에는 잡직장교(雜職將校)와 산직장상(散職將相)이 각각 2인씩 배치됐고, 복원궁 천황당에 산직장상 2인이 배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