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9 15:13:49

마세라티 MSG 레이싱

벤추리 그랑프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파일:포뮬러E 신로고.jpg2024-25 포뮬러 E
참가 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jaguartcs450200.png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000000; font-size: 0.7em;"
파일:TAGHeuerPorshe450200.pn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dspenske450200.png
파일:미국 국기.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color: #dfbd69; font-size: 0.8em;"
파일:Nissan450200.pn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AndrettiFormulaE450200.webp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Envision450200.pn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NEOMMclaren450200.pn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maseratimsg450200.pn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LolaYamahaABT450200.webp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Mahindra450200.pn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cuprakiro450200.png
파일:미국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파일:포뮬러E 신로고.jpg 2024-25 포뮬러 E
월드 챔피언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A19C,#5efffa
파일:jaguartcs450200.png 파일:TAGHeuerPorshe450200.png 파일:dspenske450200.png 파일:Nissan450200.png 파일:AndrettiFormulaE450200.webp 파일:Envision450200.pn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미치 에반스
No.9
파일:독일 국기.svg
파스칼 베를라인
No.1
파일:독일 국기.svg
막시밀리안 귄터
No.7
파일:프랑스 국기.svg
노먼 나토
No.17
파일:영국 국기.svg
제이크 데니스
No.2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빈 프라인스
No.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닉 캐시디
No.37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안토니오 펠릭스 다 코스타
No.13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No.25
파일:영국 국기.svg
올리버 로우랜드
No.23
파일:스위스 국기.svg
니코 뮐러
No.51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바스티앙 부에미
No.16
파일:NEOMMclaren450200.png 파일:maseratimsg450200.png 파일:LolaYamahaABT450200.webp 파일:Mahindra450200.png 파일:cuprakiro450200.png
파일:영국 국기.svg
테일러 바너드
No.5
파일:벨기에 국기.svg
스토펠 반두른
No.2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디 그라시
No.1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닉 더프리스
No.21
파일:독일 국기.svg
데이비드 베크만
No.3
파일:영국 국기.svg
샘 버드
No.8
파일:영국 국기.svg
제이크 휴즈
No.55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제인 말로니
No.22
파일:스위스 국기.svg
에두아르도 몰타라
No.48
파일:영국 국기.svg
댄 틱텀
No.33
}}}}}}}}}}}} ||
마세라티 MSG[1] 레이싱
Maserati MSG Racing

파일:maseratimsg450200.png

본사 마세라티
타이틀 스폰서 -
서브 스폰서 Richard Mille, Hewlett Packard Enterprise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모나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모나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모나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 연도 2013년
본부 모나코
사령탑 스콧 스위드(CEO)
시릴 블라이스 (감독)
드라이버 #2 스토펠 반두른[2] 파일:벨기에 국기.svg
#55 제이크 휴즈[3] 파일:영국 국기.svg
섀시 Formula E Gen3 Evo
파워 트레인 마세라티 티포 폴고레(Tipo Folgore)[4]
공식 사이트/SN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역대 시즌
2.1. 벤추리 포뮬러 E 팀(2014~2019)2.2. 로킷 벤추리 레이싱(2019~2022)2.3. 마세라티 MSG 레이싱(2022~)
3. 둘러보기4.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1200x800-PHOTO-POST.webp

마세라티 MSG 레이싱은 모나코 국적의 모터스포츠 팀으로, 벤추리 오토모빌의 소유주인 길도 팔란카 파스토르와 미국의 유명한 배우인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공동 설립한 팀이다. 닉 하이트펠트, 자크 빌르너브, 펠리페 마싸 등, 전직 포뮬러 1 드라이버들이 F1 은퇴 후 입문했던 팀이며, 모나코 출신 답게 알베르 2세가 운영하는 재단의 후원을 창단 초기부터 2019-20시즌까지 받은 적도 있다. 이 팀 또한 포뮬러 E 첫 개최 참가 팀들중 한 곳이기도 하고, 가장 높았던 순위는 2021-22시즌에 달성한 2위이다.

2. 역대 시즌

2.1. 벤추리 포뮬러 E 팀(2014~2019)

파일:1-SB1_4679.jpg
2015-16시즌부터 2018-19시즌까지는 벤추리 고유의 파워트레인을 사용했으며 2019-20시즌부터는 메르세데스의 파워트레인을 사용한다. 수지 볼프의 남편 토토 볼프가 메르세데스 F1 팀의 감독이자 메르세데스-EQ 포뮬러 E 팀의 CEO이기 때문에 성사 가능했던 파트너십이었다.

2.2. 로킷 벤추리 레이싱(2019~2022)

파일:ROKiT-Venturi-Racing-2-scaled.jpg
시즌 초반 5경기에서는 나름 순항했으나 코로나 이후 마련된 베를린 헥사헤더에서는 삽질만 거듭했고 결국 최종 순위 10위에 머물렀다.
파일:81E0855E-C8B3-41B3-AB68-8A9CA270D845.jpg
2019-20시즌 이후 마힌드라 소속 드라이버였던 제롬 담브로시오를 부감독으로 선임했다. 드라이버 라인업에도 변화가 생겼는데 포뮬러 E를 떠난 펠리페 마사 대신 노먼 나토가 합류했다.

최종 컨스트럭터 순위는 7위에 그쳤지만 에도아르도 몰타라가 좋은 활약을 펼치면서 총점 92점으로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2위를 기록했다.
파일:Spacesuit-Media-Peter-Minnig-FE-Valencia-11-21-68407-1024x681.jpg
2020-21시즌 종료 이후 루카스 디 그라시를 영입하고 노먼 나토[5]를 방출했다.

기존 감독이었던 수지 볼프가 2021-22시즌 초반 CEO로 승진하면서 부감독 담브로시오가 차기 감독이 되었다. 그리고 팀은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부문에서 포뮬러 E 데뷔 이후 가장 높은 순위인 2위를 기록했다.

2.3. 마세라티 MSG 레이싱(2022~)

파일:Maserati-Gen3-livery-2.webp
수지 볼프와 담브로시오가 팀을 떠나면서 감독과 CEO가 바뀔 예정이다. 결국 새로운 감독은 2022년까지 푸조 스포트에서 활동했던 전 레이싱 드라이버 출신인 제임스 로시터로, CEO는 스콧 스위드로 결정되었다.

루카스 디 그라시마힌드라로 이적하면서 2021-22시즌 닛산의 드라이버였던 막시밀리안 귄터를 대신 데려왔다.

6라운드 종료 기준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포인트 3점으로 벤추리 시절 포함 창단 이래 최악의 폭망을 보여주고 있다. 막시밀리안 귄터는 아예 무득점이고 작년 시즌 드라이버 챔피언 타이틀 경쟁을 했던 에두아르도 몰타라마저 3점밖에 득점하지 못하면서 작년 시즌 준우승 팀이 이번 시즌에는 뒤에서 2등을 달리고 있는 중이다. 이는 벤추리 초창기 시절과 별반 다를 것이 없는 성적으로 감독 제임스 로시터의 한숨은 경기를 치를수록 깊어져만 가고 있다.

이후 베를린 E-프리에서 막시밀리안 귄터가 3위로 포디엄에 오르며 반등하나 싶었지만 홈 경기인 모나코 E-프리에서 무득점으로 다시 주춤했다. 그렇게 이번 시즌에 대한 전망이 다시 어두워지는 중이었으나..
파일:dppi_03423008_1265.jpg
자카르타 E-프리에서 막시밀리안 귄터가 팀의 1번째 포뮬러 E 우승을 일궈냈다! 연습주행 내내 빠른 기록을 세우며 좋은 모습을 보이던 귄터가 더블헤더 동안 2번의 폴 포지션을 독식했고 2차전에서 마침내 우승을 거머쥐었다. 여담으로 사진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인물이 현재 팀 감독인 시릴 블라이스이며 당시 우승 팀 대표로 포디엄에 올랐다.
파일:1200x800-PHOTO-POST.webp
시즌 10 프리시즌 테스트를 불과 1주 앞둔 시점에서 제임스 로시터가 갑자기 팀을 떠나게 되었으며 해가 바뀌고 나서도 새로운 팀 감독에 대한 오피셜이 나오지 않고 있다. 마힌드라 레이싱으로 이적한 에두아르도 몰타라의 공백은 제한 다루발라가 대체할 예정이다.

시즌 10 종료 이후 DS 펜스키에서 스토펠 반두른을 영입하고, 맥라렌에서 제이크 휴즈를 영입하면서 드라이버 라인업이 완전히 바뀌었으며 다루발라는 1시즌만에 팀을 떠나게 되었다. 여기에 시즌 11을 앞두고 수석 엔지니어[6]였던 시릴 블라이스를 팀 감독으로 승진시켰다.

Gen4 규정이 적용되는 2026년에 잔류할 팀이었으나 26년을 끝으로 오펠 모터스포트가 대신해서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3. 둘러보기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padding-right:15px; margin-right:15px;
[[스텔란티스|[[파일:Stellantis_Logo.png|height=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주요 주주
아녤리 가문(엑소르 N.V.)푸조 가문(EPF)프랑스 공공 투자 은행둥펑자동차블랙록
주요 인물
존 엘칸회장-CEO로베르 푸조부회장
계열사 및 사업부
승용차 푸조시트로엥DS 오토모빌오펠복스홀피아트알파 로메오마세라티크라이슬러닷지지프란치아
상용차 스텔란티스 프로 원(피아트 프로페셔널램 트럭스세벨)
고성능
브랜드
SRT아바스
모터스포츠 푸조 스포트시트로엥 레이싱DS 퍼포먼스마세라티 레이싱오펠 모터스포트알파 로메오 F1 팀계약 종료
조립
공장
아시아 사이파 공장이란 카샨코드로 공장이란 테헤란둥펑 우한 후베이 공장중국둥펑 청두 공장중국카라치 공장파키스탄
아프리카 스텔란티스 케니트라 공장모로코
유럽 스텔란티스 뮐루즈 공장프랑스스텔란티스 프와시 공장프랑스스텔란티스 렌 공장프랑스스텔란티스 소쇼 공장프랑스세벨 노르드프랑스오펠 아이제나흐 유한회사독일오펠 뤼셀스하임 유한회사독일오펠 젠트가트하르트헝가리스텔란티스 미라피오리이탈리아스텔란티스 카시노 공장이탈리아마세라티 모데나 공장이탈리아스텔란티스 포미글리아노 디아르코 공장이탈리아SATA이탈리아세벨 수드이탈리아오펠 매뉴팩처링 폴란드스텔란티스 망괄데 공장포르투갈크라구예바츠 공장세르비아스텔란티스 트르나바 공장슬로바키아스텔란티스 비고 공장스페인오펠 자라고자 공장스페인스텔란티스 부르사 공장튀르키예복스홀 엘즈미어 포트영국
아메리카 스텔란티스 브램턴 조립 공장캐나다스텔란티스 윈저 조립 공장캐나다살티요 트럭 조립 공장멕시코살티요 반조립 공장멕시코톨루카 자동차 조립 공장멕시코디트로이트 조립 단지 - 제퍼슨미국디트로이트 조립 단지 - 맥미국스털링 하이츠 조립 단지미국워렌 트럭 조립 단지미국톨레도 조립 단지미국세벨 아르헨티나폐지
자동차 연구 센트로 리서치 피아트크라이슬러 프루빙 그라운즈
엔진 제조사 VM 모토리
부품 제조사 모파테크시드PCMA
산업 시스템 COMAU
자율주행 ai모티브
차량 공유 쉐어 나우
헤리티지 재단 FCA 헤리티지
금융 스텔란티스 파이낸셜 서비스
리스 리지스
소매 스텔란티스&고객, 세일즈 앤드 서비스
합작사 ACC둥펑 푸조-시트로엥50%E모터50%PSA AVTEC50%사이파 시트로엥50%IKAP푸조 50%GAC-스텔란티스(파산)NextStar Energy50%
지분 제휴 립모터20%(립모터 인터내셔널51%)|토파쉬37%베르자야 오토 얼라이언스29%
해외 지사 스텔란티스 유럽스텔란티스 캐나다스텔란티스 폴란드FCA 인디아 오토모빌스피아트 크라이슬러 호주피아트 아일랜드시트로엥 칠레시트로엥 인디아피아트 세르비아스텔란티스 아르헨티나스텔란티스 구룬말레이시아스텔란티스 코리아 }}}}}}}}}

4. 관련 문서



[1] Monaco Sports Group의 약자[2] 레이스 엔지니어는 티보 아르날(Thibault Arnal)[3] 레이스 엔지니어는 피에르폴 페리(Pierre-Paul Fery)[4] Thunderbolt Type이라는 뜻의 이탈리아어[5] 이후 재규어 레이싱에 리저브 드라이버로 합류했으며 부상당한 샘 버드 대신 서울 E-프리에 출전했다.[6] 막시밀리안 귄터의 레이스 엔지니어 역할도 병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