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8 21:20:24

박혁규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광주군)
선거구 분리
정영훈
제16대
박혁규
선거구 개편
박혁규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광주시)
선거구 개편
박혁규
제17대
박혁규
[1]
제17·18대
정진섭
대한민국 제16·17대 국회의원
박혁규
朴赫圭 | Park Hyuk-kyu
파일:1110521_1015840_3633.jpg
<colbgcolor=#e61e2b> 출생 1954년 9월 5일 ([age(1954-09-05)]세)
경기도 광주군 실촌면
(현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재임기간 제5대 경기도의회 전반기 부의장
1998년 7월 9일 ~ 2000년 2월 12일
배우자 배우자 홍의정
자녀 슬하 1녀
학력 곤지암초등학교 (졸업)
곤지암중학교 (졸업)
광주상업고등학교 (졸업)
동원대학교 (기계학 / 학사)
가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 석사)
종교 개신교
병역 대한민국 해병대 병장 만기전역 (병 260기)
(1973년 3월 26일 ~ 1975년 12월 15일)[2]
의원 선수 2
의원 대수 16, 17[3]
소속 정당

약력 동광주 해병 전우회 회장
동광주 장학 회장
한국 B.B.S 광주시 부지부장
㈜성진특수공업 상무
한국자유총연맹 광주군 청년회장
누리 유치원 설립 이사장
동광주 로타리 클럽 부회장
경기도 건축문화상 심사위원
지역계획위원회 위원장
제5대 경기도의회 부의장
곤지암 초등학교 축구부 후원회 초대회장
광주시 장기 발전 위원회 지역개발 위원장
한나라당 경기도당 광주시 지구당 위원장
한나라당 부총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국회 재해대책특별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운영위원회 위원
한나라당 원내부총무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
새누리당 국책자문위원회 행정안전분과위원회 부위원장

1. 개요2. 생애3. 기타4. 선거 이력5.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정치인, 교육자이다. 종교개신교이다.

2. 생애

1954년 9월 5일 경기도 광주군 실촌면(현 광주시 곤지암읍)에서 태어났다. 곤지암초등학교, 곤지암중학교, 곤지암고등학교, 동원대학교,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졸업, 수료하였다. 1973년 3월 26일 대한민국 해병대에 병 260기로 입대하여[4]로 입대하여 1975년 12월 15일 병장으로 만기전역하였다. 이후 성진특수공업에서 근무하면서 상무이사까지 역임하였다.

1991년 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8년부터 2000년 초까지 경기도의회 부의장에 선출되어 근무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 광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새천년민주당 문학진 후보에게 단 3표 차로 승리하였다. 문학진은 소송을 냈고, 첫공판에서 재검표까지 갔을 때 표차가 2표 차로 줄어들었으나, 당시 소송에서 당시 문제제기된 표가 42표에 달해, 대법원까지 가게 되었고 각각의 표에 대해 대법관들이 확인을 한 뒤 판결했는데 다시 3표차가 되었다.[5] 이것으로 최종판결을 내려버리는 바람에 3표차가 공식 결과로 확정되어 버렸다. 그래서 공식기록은 지금도 3표 차이다. 이로 인하여 문학진은 문세표, 문두표라는 별명을 얻었고, 이 기록은 영원히 깨질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수준의 전설로 남게 되었다. 이후 한나라당에서 원내부총무를 역임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 광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나, 2005년 1월 뇌물죄로 구속된 후 대법원에서 징역 6년이 확정되어 결국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이로 인하여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는 같은 당에 정진섭이 당선되면서 지역구는 그나마 수호하게 되었다.

이후 2014년부터 새누리당 국책자문위원회 행정안전분과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3. 기타

2022년 2월 24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지지 선언을 한 대한민국 헌정회원 중 316명의 명단에 포함되었다.#

2024년에 그의 외동딸이 결혼하였다.#

2025년 4월 7일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대선 출마를 촉구하는 125인의 전직 의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

2025년 7월 10일 김문수 전 대통령 후보의 국민의힘 당대표 추대를 촉구하는 209인의 전직 의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

4. 선거 이력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E61E2B><rowcolor=#fff>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91 지방선거 경기 광주 2

4,835 (40.3%) 당선 (1위) 초선
1995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5,418 (39.85%) 재선
1998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한나라당|
한나라당
]]
9,487 (52.91%) 3선 [6]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광주 16,675 (34.15%) 당선 (1위) 초선 [7]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한나라당|
한나라당
]]
37,316 (44.44%) 당선 (1위) 재선 [8]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박혁규 91지.jpg 파일:박혁규 1지.jpg
1991년 지선 (경기 광주군 제2선거구) 1회 지선 (경기 광주군 제2선거구)
파일:박혁규 2지.jpg 파일:박혁규 16총.jpg
2회 지선 (경기 광주군 제2선거구) 16대 총선 (경기 광주군)
파일:박혁규 17총.jpg
17대 총선 (경기 광주시) }}}}}}}}}

5. 둘러보기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경기도의회 부의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2대 의회[1]
주원기 이기우 이윤용
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한근이 이진철 천낙범 이달승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유천형 정형만이광구 조원근 이계석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이영성 박혁규[2]이성범 이상락 이성범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김학용 서영석 신광식 이진용[3]황치문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이주상 장정은 장경순 이재혁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김경호 강석오 이삼순임채호 장호철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김유임 천동현 김호겸 염동식
제10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10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김원기 안혜영 진용복 문경희
제1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11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남경순 김판수 정윤경 김규창
파일:민선8기 경기도의회 슬로건.png
[1] 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의회 해산.[2] 16대 총선 출마를 위한 사퇴.[3] 4회 지선 가평군수 출마를 위한 사퇴.
}}}}}}}}}

파일:경기도 휘장(1995-2005)_White.svg 경기도 제16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수원 장안 수원 권선 수원 팔달 성남 수정 성남 중원
박종희신현태남경필이윤수조성준
성남 분당 갑 성남 분당 을 의정부 안양 만안 안양 동안
고흥길임태희홍문종이종걸심재철
부천 원미 갑 부천 원미 을 부천 소사 부천 오정 광명
안동선배기선김문수최선영전재희
평택 갑 평택 을 동두천·양주 안산 갑 안산 을
원유철정장선목요상김영환천정배
고양 덕양 갑 고양 덕양 을 고양 일산 갑 고양 일산 을 과천·의왕
유시민이근진정범구김덕배안상수
구리 남양주 오산·화성 시흥 군포
전용원조정무강성구박병윤김부겸
하남 이천 파주 용인 갑 용인 을
김황식이희규이재창남궁석공석
안성 김포 광주 연천·포천 여주
이해구박종우박혁규이한동이규택
가평·양평
정병국
선거 결과
* 의정부 문희상 사퇴 (2003.3.8.)
* 광명 손학규 사퇴 (2002.5.27.)
* 고양 덕양 갑 곽치영 의원직 상실 (2002.12.9.)
* 용인 을 김윤식 의원직 상실 (2003.12.26.)
* 안성 심규섭 사망 (2002.1.31.)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경기도 휘장(1995-2005)_White.svg 경기도 제17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수원 장안 수원 권선 수원 팔달 수원 영통 성남 수정
심재덕이기우남경필김진표김태년
성남 중원 성남 분당 갑 성남 분당 을 의정부 갑 의정부 을
신상진고흥길임태희문희상강성종
안양 만안 안양 동안 갑 안양 동안 을 부천 원미 갑 부천 원미 을
이종걸이석현심재철임해규배기선
부천 소사 부천 오정 광명 갑 광명 을 평택 갑
차명진원혜영이원영전재희우제항
평택 을 양주·동두천 안산 상록 갑 안산 상록 을 안산 단원 갑
정장선정성호장경수임종인천정배
안산 단원 을 고양 덕양 갑 고양 덕양 을 고양 일산갑 고양 일산을
제종길유시민최성한명숙김영선
의왕·과천 구리 남양주 갑 남양주 을 오산
안상수윤호중최재성박기춘안민석
화성 시흥 갑 시흥 을 군포 하남
고희선백원우조정식김부겸문학진
파주 용인 갑 용인 을 안성 김포
이재창우제창한선교김선미유정복
광주 포천·연천 이천·여주 양평·가평
정진섭고조흥이규택정병국
선거 결과
* 성남 중원 이상락 의원직 상실 (2004.12.10.)
* 부천 원미 갑 김기석 의원직 상실 (2005.8.19.)
* 부천 소사 김문수 사퇴 (2006.4.24.)
* 화성 안병엽 의원직 상실 (2006.11.10.)
* 광주 박혁규 의원직 상실 (2005.9.9.)
* 포천·연천 이철우 의원직 상실 (2005.3.25)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95da,#0095da><tablebgcolor=#0095da,#0095da>
파일:한나라당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95da,#0095da><tablebgcolor=#0095da,#0095d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박진 홍준표 김원길 강인섭 이재오
이성헌 박명환 원희룡 오경훈 이승철
권영세 김덕룡 최병렬 오세훈 맹형규
정의화 정문화 김형오 김병호 도종이
김무성 정형근 허태열 서병수 안경률
엄호성 김진재 유흥수 권철현 현승일
강신성일 강재섭 안택수 김만제 윤영탁
박종근 이해봉 박근혜 서상섭 황우여
이윤성 박상규 이경재 이양희 강창희
이재선 정갑윤 최병국 윤두환 권기술
박종희 신현태 남경필 고흥길 임태희
홍문종 심재철 김문수 전재희 원유철
목요상 이근진 안상수 전용원 조정무
강성구 이재창 이해구 이규택 박혁규
정병국 한승수 최돈웅 최연희 김용학
윤경식 송광호 신경식 심규철 전용학
함석재 김용환 이완구 이병석 이상득
임인배 권오을 김성조 박헌기 이상배
신영국 박재욱 주진우 정창화 이인기
김찬우 김광원 김종하 이주영 김정부
강삼재 김학송 김동욱 이방호 김영일
김용갑 김기춘 윤한도 박희태 이강두
김용균 현경대 양정규 홍사덕 이연숙
강창성 신영균 서정화 박세환 윤여준
이한구 김정숙 김락기 박창달 이원창
이원형 손희정 김영선 유한열 장광근
송병대 김영구 박경섭 이만재 }}}
}}}}}}



[1] 의원직 상실[2] 병무청공고제2004-18호(병역사항공개대상자병역사항공개) 98쪽 참조.[3] 의원직 상실[4] #[5] 대신 각각의 득표수는 2표씩 줄어서 무효처리된 표들이 늘었고 선거개표때의 결과와는 다르게 되었다. 최종 대법원판결은 16673표(박혁규), 16670표(문학진). 선거일 개표때는 16675 vs 16672였다.[6] 2000. 2. 14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사퇴[7]3표 차이로 당선되었다.[8] 2005. 9. 9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