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재령 朴宰令 | Park Jae-Ryung | ||
출생 | 2000년 3월 8일 ([age(2000-03-08)]세) |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 ||
국적 |
| |
신체 | 170cm, 48kg, 250mm, O형 | |
별명 | 령블리, 재롱이, GOAT, 령고트, 박짱구 | |
학교 | 온천초등학교 (졸업) 남천중학교 (졸업) 계성여자고등학교 (졸업) | |
소속 | 스카이치어리더 에이전시 (2017~2023) JR커뮤니케이션 (2024~2025.4) | |
경력 | 부산 kt 소닉붐 (2017, 2019~2021)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2017~2020) 울산 현대 (2017~2023)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17~2023) 한화 이글스 (2019~2023) 부산 BNK 썸 (2019~2020, 2021~2023)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2020~2023) 서울 삼성 썬더스 (2023~2024) 용인 삼성 블루밍스 (2023~2024)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2024~2025) SSG 랜더스 (2024~2025.4) | |
링크 |
1. 개요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前 치어리더.2. 활동
2.1. 치어리더
2017-2018 시즌 배구에서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와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서 본격적으로 치어리딩을 시작했다. 그 시기 2017년 하반기에는 울산 현대 축구에서 데뷔시기를 가졌다. 같은 고향 출신의 대선배이기도 한 김연정 치어리더의 소속사인 스카이치어리더 에이전시에서 치어리더를 시작하게 된다.2018 시즌 울산 현대 축구부터 준비를 했고 2019 시즌부터 한화 이글스의 치어리더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참고로, 2018 시즌 한화 이글스 야구의 시범경기 출정식에서 잠깐 활동을 하면서 선배들과 함께 영향을 받았다.
2019-2020 시즌에는 농구에서 3년전 잠시 데뷔무대를 가졌던 고향의 농구팀인 부산 kt 소닉붐에서 풀타임으로 활동을 하기도 했고 KDB 생명 위너스와 OK 저축은행 읏샷 여자농구단을 인수하여 새로 창단한 고향의 여자농구팀인 부산 BNK 썸에서도 같이 활동을 하며 대선배인 김연정 팀장과 함께 창단급 치어리더로 고향인 부산 연고 남녀 프로농구단을 모두 응원을 했다.
2020 시즌에도 한화 이글스 야구는 2년 연속으로 이어가고 있고 울산 현대 축구 또한 경기 일정상 응원전을 이어가기도 했다. 2020-2021 시즌에는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배구로 이적했다.
추가로 2022년에는 울산 현대에서 팀의 17년 만에 K리그 우승을 함께했다. 김연정 팀장을 포함해서 선배 강지유와 허수미 그리고 동갑인 박지민과 함께 K리그 챔피언의 주역으로 영광의 기쁨을 누렸다.
2021-2022 시즌 부산 BNK 썸에 2년 만에 재복귀를 하면서 고향의 여프로팀을 다시 응원하게 되었다. 2022-2023 시즌에는 WKBL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했다.
하지만, 2023-2024 시즌 겨울시즌을 앞두고 7년 만에 정들었던 소속사인 스카이치어리더 에이전시에서 떠나게 되었다. 당초 2024 시즌에도 한화 이글스와 함께할꺼라 예상했으나 선후배들이 KBO리그 9번째 구단으로 창원시 연고인 NC 다이노스로 진출하게 되었으며 창원 출신 선후배들의 진출과 함께 끝내 이별을 하고 말았다. 이로 인해 울산 현대는 겨울 시즌 일정문제 상 10월 8일과 11월 12일을 끝으로 떠나게 되었으며 한화 이글스 야구가 포함된 대다수 종목에서 이별을 하게 되었다. 팬들에게 편지로 이별인사를 남겼다. 이로 인해 부산에서 남녀농구 동반 한지붕 두가족에서의 치어리더 꿈을 더이상 이루지 못하게 된다. 4년전 부산 kt 소닉붐과 부산 BNK 썸에서 같이 활약했기에 더 믿어지지 않았다. 부산 kt 소닉붐의 수원 연고이전 이후 2년간 남자농구에서 응원을 못했으며 떠난 시기 전주 연고였던 부산 KCC 이지스가 부산에 연고이전으로 돌아오게 되면서 남자농구가 돌아왔기에 부산 농구 팬들은 특히 더 아쉬워했다. 부산 KCC 이지스에서 보지 못하게 되면서 부산 농구 팬들의 그리움을 남겼다. 이로 인해 울산 현대의 2023년 K리그 우승식을 보지 못하고 떠나게 되었다. 1년뒤 부산 KCC 이지스 또한 정규리그 5위의 부진을 겪었으나 KBL 프로농구 사상 첫 5위팀으로 플레이오프 우승의 역사를 달성했는데 함께하지 못해서 아쉬워했던 부산 농구 팬들도 있었다.
스카이치어리더 에이전시에서 떠나게 된 이후 프리랜서 형태로 대신 통합 삼성 남녀 농구단인 서울 삼성 썬더스와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에서 활약하게 된다. 선배들인 나혜인 치어리더 팀장과 SSG 랜더스 응원단에서 활약중인 JR커뮤니케이션 소속의 이주희 치어리더 그리고 키움 히어로즈 응원단에 있는 김하나 치어리더 마지막으로 한화 이글스 시절 인연이 된 조다정 치어리더와 함께하게 된다. 언급된 4명의 선배들 모두 통합 삼성 남녀농구팀들에서 활약하며 친분을 쌓기도 했다.
2024년 2월 29일자로 SSG 랜더스로 이적하게 된다. 소속사 또한 JR커뮤니케이션 소속으로 이적을 통해 활약하게 된다. 공교롭게도 유통 라이벌인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한 목나경 치어리더의 후임으로 SSG 응원단 중 부산경남 출신으로 이적사를 새로 쓰게 된다. 2023년 기준으로 대선배인 도정은 치어리더가 있었는데 이 자리 또한 대신하게 된다. 추가로 부산경남 출신인 박민수 응원단장과 함께 응원하게 된다. 통합 삼성 남녀 농구단에서 같이 응원했던 이주희 치어리더와 조다정 치어리더와도 한 시즌 함께하게 된다.
2024년 7월 22일에는 일본 니혼햄 에스콘필드에서 개최되었던 한일 드림 플레이어즈 게임에서 한국대표로 해외 응원 출장을 떠나게 되었다. 박민수 응원단장과 치어리더들인 김도아, 배수현, 유보영, 이엄지, 이주희와 함께 한국야구의 자존심을 건 응원전을 진행했다.
2024년 11월 대만에서 개최된 2024 WBSC 프리미어 12 조별라운드 B조 예선에서 대한민국 대표로 박민수 응원단장과 배수현, 김도아, 이연진과 함께 원정응원단으로 활동했다.
2024-2025 시즌에는 SSG 랜더스 응원단 진출과 함께 통합 삼성 남녀 농구팀들을 떠나게 되었으며 KOVO 배구를 다시 응원하게 되었다. 대선배인 배수현 치어리더와 절친 선배인 김도아 치어리더가 터를 잡은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배구를 응원하게 되었다. 안산 OK금융그룹 읏맨 시절 이후 KOVO 남자배구는 2년 만에 복귀하게 된다.
2025 시즌에는 같은 고향 선배들로 과거 겨울 시즌에 같이 응원한 이후 재회하게 된 NC 다이노스에서 활동했던 허수미 치어리더와 이지원 치어리더와 한솥밥을 또 먹게 되었다. 추가로 한화 이글스에서 같이 활약했던 선배인 조연주 치어리더와도 재회하게 되었다.
3월 16일 LG 트윈스와의 랜필 시범경기 홈에서 박민수 응원단장이 2024-2025 시즌 응원중이자 본인이 몸담았던 부산 BNK 썸의 2024-2025 시즌 WKBL 챔피언결정전 1차전 아산 우리은행WON과의 아산 원정 응원으로 인한 공석 때 임시 응원단장을 맡기도 했다. 2025 시즌 치어리더들 중 막내급인데도 마이크를 잡고 응원하면서 인천 야구 팬들에게도 호평을 받았다.
2.2. 불의의 은퇴
그러나 2025년 5월 불미스런 일[2]에 연루되면서 SSG 응원단 라인업에서 제명되었다. 5월 17일, 본인의 SNS에서 치어리더 은퇴 선언을 하는 글을 남겼다.9년간 다양한 구단도 모자라 국가대표 치어리더로도 활약하며 많은 사랑을 받아왔던 그녀였지만, 한 순간의 선택에 의해 씁쓸한 마무리를 하게 되었다.
SSG 팬들은 구설수에 시달렸으니 냉정했으나 정들었던 한화 팬들은 큰 충격에 빠지면서 안타까움을 전했다.
SSG 랜더스 야구단은 응원단의 인력부족까지 시달리게 되었다. 한 때 비수도권 원정 응원도 진행하지 못할 정도였으며 어리둥절했다. 이 소식에 SSG 팬들은 구단에 질타를 했다. 결국 SSG 구단은 같이 떠나게 된 이리안의 빈자리까지 7월에 2명의 새 치어리더들을 영입하기 이전까지 큰 홍역을 앓았다. 대구/경북의 대선배인 이수진과 축구와 배구에서 활약했던 선배인 임은비가 대신 2025 시즌을 함께하게 되었다.
2.3. 스트리머
2025년 6월 3일, SOOP에서 첫 개인방송을 시작했다. 조만간 엑셀 방송 출연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6월 13일부터는 SOOP 대신 유튜브 생방송을 하고 있다.
2025년 6월부터 엄태웅의 엑셀 방송 엄브리뉴에 고정 멤버로 출연 중이다.
8월 김윤태의 YT크루 방송에 게스트로 출연하였다.
3. 특징
- 성량이 크고 허스키 보이스에다, 가끔 고향 사투리가 튀어나온다고 한다. 당시 함께 활동하던 동향에 비슷한 특징을 가진 선배 김연정과 함께 응원하면 멀리서도 쩌렁쩌렁하게 들린다는 제보도 많았다.
- 본인의 매력 포인트는 볼살이라고 고백했다.
- 사석에서 먹방방송 때 불닭볶음면을 좋아한다. 또한 고기도 좋아한다고 한다.
- 고등학생 때 학교 스포츠 클럽을 통해 치어리딩을 경험했고, 이후 치어리더가 된 케이스이다.
- 긴 기럭지와 귀여우면서도 시크한 매력이 공존하는 외모 덕분에 무표정일 때는 도도한 냉미녀로 보이지만 팬 서비스를 하거나 웃을 때는 상당히 귀엽고 친절하며 몸매도 글래머러스하다.
- 퍼스널컬러는 봄 라이트이다.
- 또 하나의 특징으로는 우천중단 후 펼쳐진 팬들의 떼창에 감동받아 울컥했다는 것으로 보아 눈물이 많고 여린 성격인 듯 하다. 다만 경기 중에 응원유도나 팬들한테 팬서비스를 할 때는 항상 행복하고 밝은 표정으로 임하는데, 이를 통해 그녀의 프로정신을 알 수 있다.
- SSG 랜더스에서도 한화 시절부터 유명했던 성량으로 인해 선배인 조다정 못지 않은 인간확성기라는 별명도 생겼다.
- 치어리더 활동 시 개별 등번호는 늘 38번을 달았는데, 자신의 생일인 3월 8일에서 유래했다.
3.1. 동갑(2000년생) 치어리더들
기본적으로 친화력이 좋은 편이지만, 특히 동갑인 2000년생 치어리더들과 좋은 케미를 발휘했다.- 고향인 부산 인근의 통합창원시 출신 3인방으로 한화 이글스 시절 함께했던 통합 전 창원 출신의 안민정과 박지민, 그리고 통합 전 마산 출신의 목나경과는 거의 친구로 지냈다.[3]
- 2019년에 같이 호흡을 맞췄던 박지민은 응원동기였고 2018년 한화 응원단이었던 안민정은 울산 현대에서 응원동기였으며 목나경은 데뷔가 늦은 바람에 2020년 한화 이글스 응원단으로 동기였다.
- 박지민의 친구로 알려진 감서윤과도 동갑으로 알려졌다.
- 2021년에 한화 이글스에서 같이 호흡하게 된 박소영과도 친구다.[4] 2021년 당시 박지민과 박소영과 셋이 함께 00즈로 불렀다.
- SSG 랜더스에서는 2024 시즌 한해 자신은 홀로 00이 되었다. 1년 선배로 99인 이리안이 있었고, 절친이었던 KBO리그 최연소 치어리더 팀장인 목나경과 3년을 함께 했으나 목나경의 이적으로 유통 라이벌인 롯데 자이언츠 응원단의 치어리더 팀장이 되면서 SSG 팬들은 아쉬워했다. 1년 후배로 01인 이연진이 있었다. 2025년에 SSG 활동 처음으로 동갑인 김현영과 호흡을 맞췄다.
4. 여담
- 한화 이글스 응원단에 공식적으로는 2019년에 입단했으나, 사실 1년전 2018년 시범경기에서 데뷔한 사실을 아는 이글스 팬들이 많지 않다.
- 대선배인 김연정의 영향을 받은 치어리더 중 하나다. 지금도 그 선배들과는 대다수 친분이 있다. NC 다이노스로 이적한 선배인 강지유 치어리더와도 친분이 있다. 같은 부산 출신인 이아영과 친분을 유지하고 있다.
- 과거 부산 출신 치어리더 중 프로 4대 종목 치어리더를 맡은 몇 안된 치어리더 중 하나다.
- 2023년에 네이버 검색에 프로필이 생겼다.
- 부산 농구 팬들은 부산 KCC 이지스와 부산 BNK 썸에서 함께 응원하지 못하면서 아쉬움을 보였다. 과거 몸담았던 부산 kt 소닉붐은 수원으로 연고 이전을 했고, 2년 뒤 전주 KCC 이지스가 부산으로 연고 이전을 하면서 기대를 했으나 아쉬워했다. 부산 KCC 이지스가 연고 이전 첫해에 2023-2024 KBL 플레이오프 우승을 하면서 함께 못하게 된 부산 농구 팬들은 특히 더 안타까워했다.
- 부산 BNK 썸에서는 대선배인 김연정과 함께 창단급 치어리더로 평가받았다. 2022-2023 WKBL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해서 준우승을 기록했다.
- 삼성 남매 농구팀인 서울 삼성 썬더스와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를 응원을 하던 시절, 선배들인 나혜인과 이주희를 시작으로 마서연과 김하나와 친분이 있다. 후배로 이예빈과도 친분이 있다.
- 한화 이글스와 SSG 랜더스에서 함께 응원한 선배인 조다정과 재회한 평행이론이 있다. 그리고 한화 이글스 시절 1년 함께 응원했던 선배인 김해리와도 친분이 있다.
- SSG 랜더스 응원단 이적 이후 선배인 김도아와 친분이 생겼다.
- 대구 출신 치어리더 선배인 이정윤과도 친분이 있다. 2025년에 같은 팀이 되었다.
- 팀이 전혀 겹치지 않은 부산 출신 언니인 박예진과도 친분이 있다.
- 한화 이글스 치어리더에서 떠나면서 팬들에게 이별의 인사를 했다. 하지만, 한화 이글스 팬들과 한화 이글스 커뮤니티를 포함해서 함께 활약했던 전 한화 이글스 투수였던 김진영 선수의 SNS에도 본인과 해당 팬들의 관련 응원글이 있다. 이로 인해 현재 한화 팬덤 사이에서는 아쉬워했다.
- SSG 이적 이후 한화에서 후임이 된 같은 부산 출신의 1년 선배인 김나연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재평가를 받고 있다. 예전 한화 팬들도 그리움을 표시했고 SSG 팬들 또한 함께 응원할 정도다.
- 백넘버를 보면 한화 이글스에서는 김성근과 안영명이 해당되며 SSG 랜더스에서는 노경은이 해당된다.
- 2024 KBO리그 올스타전에서 나눔 올스타로 응원을 했다. 그 때 친정인 한화 이글스 유니폼을 입으며, 친정 팬들의 그리움을 잠시나마 달랠 수 있게 되었다.
- 한화 이글스와 SSG 랜더스[5]에서 38번을 사용하면서 김성근[6]이 사용한 등번호를 두 번이나 사용하게 됐다. 그러나 김성근의 SK 재임과 박재령의 SSG 활동시절은 겹치지 않으므로, SK-SSG에 관련된 둘의 직접적인 접점은 없다.
5. 역대 프로필 사진
한화 이글스 | SSG 랜더스 |
| |
2020년 | 2024년 |
6. 관련 문서
7. 참고 자료
- 2018 한화이글스 치어리더 응원단의 라인업송 → 오른쪽 조연주 옆이 바로 박재령
- 붐터뷰 응원단장보다 목소리 큰 치어리더가 있습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c4e00,#fc4e00> | 한화 이글스 역대 치어리더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rowcolor=#fff>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rowcolor=#fff>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2011년 이후의 치어리더 명단을 풀기재. ※ 해당 시즌 팀장은 주황색으로 표시.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ce0e2d> | SSG 랜더스 역대 응원단 (SK 와이번스 시절 포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역대 응원단장(8명) | 역대 장내 아나운서(5명) | ||
최기연, 박상돈, 김용문, 원명호, 홍창화, 박홍구, 정영석, 박민수 | 박종민, 전성현, 김우중, 곽수산, 이대현 | ||
역대 치어리더 | |||
고지선, 이하나, 윤시우, 이찬주, 황유라, 김지선, 이소연, 변형경, 김다희, 이유정, 차영현, 김현지, 강윤이, 김나영, 김희진, 이민경, 윤요안나, 나혜인, 오지연, 김맑음, 박한솔, 이다연, 이미래, 이지현, 안이랑, 장은유, 박현영, 오채현, 이시아, 목나경, 도정은, 이엄지, 이주희, 김예빈, 박재령, 이리안, 배수현, 김도아, 유보영, 조다정, 이연진, 안지현, 조연주, 허수미, 이지원, 이정윤, 김현영, 이수진, 임은비 |
[1] 조금 활동하다 유튜브로 옮겼다.[2] 정확히는 이리안과 함께 엄태웅의 인터넷 방송에 출연했다.[3] 2025년 3월 6일, 청주 KB로 활동하고 있는 목나경과 임시 멤버로 들어온 JR커뮤니케이션 소속 치어리더 4명(박재령, 이연진, 조다정, 김예빈)이 들어오면서 목나경과 박재령은 한화의 제 2연고지인 청주를 홈으로 하는 여자농구팀에서 만났다.[4] 2025년 3월 1일, 대전 정관장 치어리더인 박소영과 임시 멤버인 JR커뮤니케이션 소속 치어리더 4명(박재령, 이리안, 조다정, 김예빈)이 들어오면서 박소영과도 한 팀에서 재회했다. 공교롭게도 대전 연고 야구팀 이후로 동일 연고 여자배구팀에서 만났다.[5] 전신 SK 와이번스[6] SK 38, 한화 38번 순서로, 그녀와 사용 순서가 반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