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2 15:09:02

민주주의민족동맹

민족민주동맹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E1126> 파일:미얀마 국장.svg미얀마 연방의회
원내 구성
}}}
현재 2021년 2월 1일 국가비상사태 선포로 인한 의회 해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해산 이전 의회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왼쪽에서부터 민족원(상원) · 인민원(하원) 의석 수 순서)
여당 군부 지명
[[민주주의민족동맹|파일:민주국민동맹 마크.png
민주주의민족동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미얀마군|파일:미얀마군 마크.png
땃머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야당
[[통합단결발전당|파일:통합단결발전당 로고.png
통합단결발전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아라칸 국민당|파일:Flag_of_the_Arakan_National_Party.jpg
아라칸 국민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샨 민주주의민족동맹|파일:SNLD_Flag.jpg
샨 민주주의민족동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빨라웅 국민당|파일:Ta'ang_National_Party_Flag.png
빨라웅 국민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조미 민주주의회의|파일:Zomi_Congress_for_Democracy_flag.png
조미 민주주의회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몬 단결당|파일:몬 단결당 당기.png
몬 단결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국민통합당(미얀마)|파일:National_Unity_Party_(Myanmar)_logo.png
국민통합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빠오 국민조직|파일:1280px-Flag_of_the_Pa-O_National_Organisation.svg.png
빠오 국민조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리수 국민발전당|파일:Lisu_National_Development_Party_flag.png
리수 국민발전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까친 민주당|파일:Flag_of_the_KSDP.png
까친 민주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꼬깡 민주통합당|파일:1280px-Flag_of_the_Kokang_Democracy_and_Unity_Party.png
꼬깡 민주통합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와 민주당|파일:1280px-Wa_Democratic_Party.png
와 민주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무소속
2석 · 1석
선거 미실시
7석 · 15석
재적
217석 · 425석
}}}}}}}}}

파일:국민민주연맹 당기.svg
အမျိုးသား ဒီမိုကရေစီ အဖွဲ့ချုပ်
<colcolor=#EC1B23> 영문 명칭 <colbgcolor=#fff,#1f2023>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NLD)
한글 명칭 민주주의민족동맹
창당일 1988년 9월 27일
해산일 2023년 3월 28일
주소
양곤
대표 아웅 산 수 치
명예대표 틴오오
대통령 윈 민
이념 자유주의
대중주의
스펙트럼 빅 텐트
국민의회(하원)
258석 / 440석 (58.6%)
인민의회(상원)
138석 / 224석 (61.6%)
지방의회
476석 / 850석 (56.0%)
민족장관
21석 / 29석 (72.4%)
당색
빨간색 (#EC1B23)
국제 조직

아시아 정당 조직 아시아자유민주연맹 (옵서버)
당원 수 미상
공식 사이트 nld-official.org[1]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창당과 집권2.2. 쿠데타 이후
3. 성향4. 지지 기반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미얀마정당. 2015년 이래 집권 여당이었으나, 2020년 선거 결과에 불만을 품은 군부 세력의 2021년 쿠데타로 위기를 맞고 있다.

약칭인 NLD로 잘 알려져 있으며, 미얀마 군사독재 정권에 맞서 투쟁한 아웅 산 수 치가 소속된 정당이기도 하다.

당기 오른아래쪽의 새는 미얀마의 국조인 버마공작 쿳다웅(khoot-daung)이라고 한다.[2]

2. 역사

2.1. 창당과 집권

1988년 9월 27일 아웅 산 수 치에 의해 창당되었다. 당시 미얀마는 민주화 운동과 이를 진압하고자 일어난 군부 쿠데타 등으로 혼란스러웠는데, 민주화 투사로 이름을 알리던 수지가 창당한 NLD는 이러한 상황에서 주도권을 가지게 된다. 이들은 1990년 총선에서 492석 중 무려 392석이라는 의석을 차지하며[3][4] 집권을 코앞에 두고 있었으나, 군사 정권이 결과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없었던 일이 되었다.

NLD의 확장에 경각심을 느낀 군사 정권은 곧바로 수지에게 가택연금형을 선고했으며, NLD 또한 불법화 되었다. 이후 군부는 기존의 사회주의 정권을 대신하는 신독재 정권을 수립하면서, 반대파 및 민주화 인사들에 대한 탄압을 더욱 더 강화한다.[5]

시간이 흘러 2001년 군사 정부는 NLD 소속 인사들을 부분적으로 사면하는 조치를 취했으며, 수지 또한 2002년 석방되었다. 하지만 이들이 곧바로 활동을 재개하자, 이에 위협을 느낀 정부는 1년 뒤 해당 인사들을 대거 살해하는 만행을 저질렀으며, 수지는 다시 투옥되었다. 잠시 합법화 되는 듯 싶었던 당도 다시 불법화되었고, 급기야 2006년에는 군부가 자신들의 당인 통합단결발전협회(후 통합단결발전당)를 앞세워 당의 인사들에 대한 전방위적인 협박을 단행, 강제로 탈당시킨다.

그러나 군사 정권에 대한 비판은 더욱 더 거세졌고, 이러한 여론의 압력을 의식한 군사 정권은 2010년 총선을 치르며 민주화를 약속했다. 이에 NLD에 대한 합법화 조치를 취했지만, 정작 거물급 인사들은 풀어주지 않은 상태에서 힘도 없는 약체급 인사들만 출마를 허락했고, 이에 NLD는 정면으로 총선 보이콧을 선언한다. 그리하여 군사 정권의 신당인 통합단결발전당(USDP)이 승리했고, 테인 세인이 집권하면서 사실상 민주화는 이루어지지 못한다.

하지만 테인 세인은 거세지는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2011년 수지를 사면하는 조치를 취한다. 곧바로 수지가 전면전에 나선 가운데, 2012년 보궐선거에서 초압승을 거두며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고, 마침내 2015년 총선에서 군사 정권이 만들어 놓은 덫[6]에도 불구하고 440석 중 255석을 차지하며 집권 여당이 된다.

NLD의 집권은 1962년부터 지속된 독재 정권의 종말을 고하게 되었으며, 국민들로부터 매우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기본적으로는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중도좌파였지만, 군사 독재에 염증을 느낀 일부 중도·보수층의 표도 적지 않게 흡수했으며, 당 내부에도 이러한 인사들이 적지 않은 지분을 차지하였다. 당시에는 오히려 자유주의 계열의 포괄정당에 가까웠다. 이들은 집권하자마자 과거사 청산을 내세우며 민주화를 약속했고, 이에 따라 군사 정권이 쌓아 놓은 적폐를 청산하는 작업 등을 펼치며 거침 없는 개혁을 단행했다.

중간에 지지율이 빠지기도 했지만 미얀마 군부가 계속 헌법 개정을 거부하자 이에 염증을 느낀 미얀마 국민들은 다시 이들에게 힘을 몰아준다. 결국 2020년 미얀마 총선에서 선거 가능 국회의원 83.2%를 확보, 전체 의석 62.4%를 장악하며 압도적인 여당이 된다.

그러나 이 의회는 그 임기를 제대로 시작조차 해 보지 못했다.

2.2. 쿠데타 이후

새 국회 임기 첫날인 2021년 2월 1일, 쿠데타로 인하여 권력을 다시 군부에게 빼앗기고 말았다. 민주주의도, 개혁도, 헌법 개정안도 모두 일장춘몽으로 돌아갈 형국.

쿠데타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의회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군부가 한 때, 해산시킬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아웅산 수치의 당이라는 위상을 보면 군부에게 부담이 돼서 못하는 중이다[7].

그러나, 2023년 3월 28일. 군부가 새판을 짜기위해 강제해산 해버렸다.#

3. 성향

기본적으론 정치적 자유화를 외치면서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던 중도좌파 정당이었으나, 이것도 수지를 포함한 주류가 해당된 것이며, 실제로는 민주화를 위해 목을 높였던 인사들이 포괄된 관계로 포괄정당에 가까운 편이다. 그래서 중도 ~ 중도우파 성향의 인사들도 적지 않았는데, 집권 이후엔 상대적으로 우클릭한 점과 사회문화적으로 다소 보수적이라는 성격 때문에 자유보수주의[8] 정당으로 보는 시각도 있고, 사회민주주의보다 온건한 형태의 경제적 재분배를 지지한다는 측면에서 사회자유주의[9] 정당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결론적으론 미얀마의 특이한 권력구조로 인해 군부독재에 맞서는 좌우 정치인이 일시적이든 뭐든 대거 뭉친 빅 텐트 정당으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해보인다.

이 당을 대표하는 정치인 아웅 산 수 치의 행보에 좌우되는 경향도 있는데, 덕분에 일각에선 아웅산 수지의 1인 정당식 반민주적 정당으로 변질되었다는 비판도 한다. 물론 이 비판에 동의하는 사람들조차도 군부 정당보단 낫기에 이쪽을 지지하는 것. 다만 이러다보니 2010년대 중후반 집권 시기 벌어진 로힝야 탄압 문제 관련한 수지의 행보와 엮여[10] 민주주의민족동맹까지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11]

4. 지지 기반

일단 포괄정당답게 지지 기반이 넓은 편이기는 하나, 특히 2030 청년층의 지지가 강하다. 이는 젊은층이 민주주의와 개혁에 대한 열망이 가장 뜨겁다시피 했고, 여느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젊은층의 특징이라는 점은 미얀마라고 크게 틀리지 않다. 반면 노년층은 안정을 추구하며, 상대적으로 군부 계열 USDP를 지지하는 성향이 강한 편이다. 다만 국민민주연맹이 압승한 2020년 총선에서는 노년층도 국민민주연맹에게 마음의 문을 열어 주었다. 그러나...

5. 둘러보기

미얀마 내전
<colbgcolor=#536349> 배경 2020년 11월 미얀마 총선거
2021년 미얀마 쿠데타
경과 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2022년2023년2024년
관련 인물 및 단체 민 아웅 흘라잉아웅 산 수 치윈 민
카렌 민족해방군미얀마 국민통합정부미얀마 시민방위군 · 민주주의민족동맹 · 버마 공산당



[1] 접속불가[2] 미얀마의 국부이자 아웅산 수 치의 부친인 아웅산 장군이 창간했었던 “싸움공작”이라는 잡지명을 당의 상징으로 삼은것[3] 하지만 득표율은 이와는 무색하게 52.5%에 그쳤다. 이는 당시 미얀마가 한국처럼 단순다수득표제를 바탕으로 하는 승자독식제였기 때문에, 저조한 득표율로도 권력을 장악할 수 있었던 것.[4] 반면 구 사회주의 정권 세력이 만든 국민통합당은 21.2%를 득표하는 데 그쳤으며, 의석은 겨우 10석만을 확보했다.[5] 참고로 군사 정권의 축이 탄 슈웨였다. 1992년 권력을 잡은 이후 2011년까지 약 20여년 간 미얀마를 철권통치하며 숱한 비판을 받았다.[6] 군사 정권은 선거법을 개정하여 국회의원 전체의 4분의 1은 군부가 차지하도록 하는 법을 통과시켰는데, 이는 본인들이 야당으로 전락하더라도 권력을 놓지 않으려는 수작이었다. 과거 유신정우회 비슷한 것.[7] 군부가 아무리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른다 해도 아웅 산 수치까지 건드리는 막가파 짓은 못한다. 눈엣가시라지만 미얀마의 국부 아웅 산의 딸이란 신분은 함부로 대할 수 없다. 자칫 잘못했다간 국가에 대한 반역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8] Zappulla, Roberta (2017). Challenges for the National League for Democracy in Achieving Peace and Democracy in Myanmar (PDF). Metropolitan University of Prague – via Research gate. The firm ideology of the NLD founds a new facet amid democratic liberalism and liberal conservatism."[9] "Aung San Suu Kyi's award rescinded by US Museum". Dynamite News. 8 March 2018.[10] 본심이야 어떻든간에 당시 국가고문&외무부장관으로 국제 사회에서 로힝야족 학살은 없었다는 식으로 군부의 입장을 대변해주다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군부 쿠데타가 터진 이후 주류 민족까지 학살당하기 시작하자 이때 이들을 방관한 것에 대해 후회하며 사과하는 몇몇 정부 인사들의 발언과 SNS 게시글들이 올라오기도 했다.[11] 다만 로힝야 탄압의 주체는 미얀마군이었으며, 국민민주연맹은 군부의 눈치가 보여 이를 방관한 포지션에 가깝긴 하다. 그러나 이런 행보 때문에 미얀마내 소수민족 투쟁세력들이, 2021년 군부 쿠데타로 미얀마 사람들이 학살당하는 와중에도 민주주의민족동맹 세력에 무장력을 제공하길 일견 주저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토사구팽 당할까봐 우려하는 것. 이후 미얀마 민주진영과 소수민족들이 합심해 군부에 맞설 연방군 결성에 사실상 합의한 상태지만 실제 군부에 제대로 된 대항을 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