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2:13:35

민수사옥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F1400><tablebgcolor=#bf1400><:>
조선 국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c22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black,#ddd> 태조 <colbgcolor=#fff,#1f2023>생애 | 건원릉 | 왕씨 몰살 | 이성계 여진족설 | 조선태조어진 | 전어도 | 종계변무 | 평가 | 여담 | 대중매체 | 가족 관계
<rowcolor=black,#ddd> 태종 생애 | 평가 | 헌릉 | 태종우 | 일화 | 가족 관계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세종 업적 | 비판과 반론 | 특이한 기록들 | 한양 대화재 | 가족 관계 | 영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세조 생애 | 평가 | 광릉 | 어진 | 대중매체 | 기타
<rowcolor=black,#ddd> 예종 남이의 옥 | 민수사옥
<rowcolor=black,#ddd> 성종 생애 | 선릉
<rowcolor=black,#ddd> 연산군 생애 | 여담 | 연산군묘
<rowcolor=black,#ddd> 선조 평가 | 목릉
<rowcolor=black,#ddd> 광해군 생애 | 대동법 | 평가 | 광해군묘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인조 평가 | 장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영조 생애 | 인물(성격) | 원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정조 생애 | 정조 어찰첩, 정조 한글어찰첩 | 가계 | 정조 어진 | 건릉 | 대중매체
<rowcolor=black,#ddd> 순조 홍경래의 난 | 세도정치
<rowcolor=black,#ddd> 철종 생애 | 임술농민봉기
<rowcolor=black,#ddd> 고종 생애 | 즉위 배경 | 홍릉 | 평가 | 여담
<rowcolor=black,#ddd> 순종 유릉 | 대중매체
}}}}}}}}} ||



閔粹史獄

1. 개요

1469년(예종 1년) 4월 민수(閔粹)의 사초(史草) 개서로 인하여 발생한 옥사. 민수의 옥이라고도 한다.

2. 내용

세조가 죽고나서 이듬해 한명회·신숙주 등은 세조실록 편찬을 위해 사관들에게 사초를 제출하란 명을 내린다. 그런데 문제는 제출하는 사초에 사관의 이름을 적어야 하는 것이었다. 봉상시첨정(奉常寺僉正) 민수는 사초에 대신(大臣)들에 대해 온갖 욕을 적었기에 이로 말미암아 대신들의 원한을 살까 두려워했다. 그리하여 기사관(記事官) 강치성(康致誠)에게 간청해 사초를 빼내어 고쳤다. 그러나 결국 발각되었고 예종에게 친국을 당하기에 이른다.

그 와중에 원숙강(元叔康)[1]도 사초를 고친 사실이 들통난다.

3. 결과

민수는 예종의 스승이었던 인연이 반영되어 목숨을 건지고 제주의 관노가 되었으며, 강치성·원숙강은 참형에 처해졌다.


[1] 생육신 원호의 손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