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08:01:08

무혈 혁명

무혈혁명에서 넘어옴
혁명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696969> 종류 <colcolor=#000,#fff>무혈 혁명 · 시민 혁명 · 공산화 · 혁명의 물결
방식 계급투쟁 · 내전 · 반란 · 보이콧 · 봉기 · 비폭력 · 시민 불복종 운동 · 시위 · 유격전 · 집회 · 쿠데타 · 파업 · 항의
원인 가난 · 기근 · 군주제(전제군주제) · 권위주의(독재 · 전체주의) · 봉건제 · 박해 · 부정부패 · 부정선거 · 실업 · 억압 · 자본주의 · 자연재해 · 점령 · 제국주의(식민주의) · 차별(족벌주의)
비정치적 예시 신석기시대 · 가격혁명 · 산업혁명 · 과학혁명
정치적 예시 <colcolor=#fff><colbgcolor=#696969> 동양 및 중양 역성혁명 · 중국 혁명(신해혁명 · 국공내전) · 한국 독립운동 · 한국 민주화 운동 · 대만 민주화 운동 · 이란 혁명 · 에드사 혁명 · 색깔혁명 · 아랍의 봄 · 중국 재스민 혁명 · 우산 혁명 · 2018년 아랍 시위(신아랍의 봄) · 2024년 방글라데시 시위(몬순 혁명)
서양 포르투갈 독립 전쟁 · 네덜란드 독립 전쟁 · 영국 혁명(명예 혁명 · 청교도 혁명) · 미국 혁명 · 프랑스 혁명 · 아이티 혁명 · 그리스 독립 전쟁 · 벨기에 혁명 · 브라질 독립 전쟁 · 1848년 혁명(1848년 대폴란드 봉기 · 1848년 헝가리 혁명) · 튀르키예 독립 전쟁 · 멕시코 혁명 · 러시아 혁명 · 독일 11월 혁명 · 아이슬란드 독립운동 · 아일랜드 독립 전쟁 · 1956년 헝가리 혁명 · 쿠바 혁명 · 68 운동(프라하의 봄) · 니카라과 혁명 · 카네이션 혁명 · 동유럽 혁명(노래 혁명 · 소련 붕괴) · 색깔혁명 · 유로마이단
기타 연속혁명론 · 토플러의 물결 이론 }}}}}}}}}

1. 개요2. 무혈 혁명의 예3. 무혈 혁명으로 여겨지나 논란이 있는 예

1. 개요

혁명은 피를 부른다. 흔히 혁명은 독재자혁명가의 피를 먹고 꽃핀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혁명은 수많은 인명을 희생하며 이루어지는데, 인류 역사상 매우 드물지만 피를 보지 않고 끝나는 혁명도 일어나긴 한다. 이러한 것을 일컫는 말이 바로 무혈 혁명이다.

무혈 혁명의 경우 여러 타입이 있는데, 일단 군대독재자의 명령을 거부하고 중립을 선언하여 독재자가 하야하거나, 혹은 군대가 시민의 편에 서 독재자가 하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무혈 혁명의 예

3. 무혈 혁명으로 여겨지나 논란이 있는 예



[1] 박근혜의 아버지인 박정희에 대한 향수를 간직한 기득권이 기존의 중심 질서에서 일시적으로 밀려나기만 했을 뿐이며, 박근혜 탄핵 반대 집회와 같이 대립 구도는 심화되었지만 완전한 청산이 이루어지진 않았다.